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AAC 중재를 사용한 단일대상연구 메타분석: 로우테크AAC와 하이테크AAC 비교를 중심으로 = A Meta-Analysis of Single-Case Research Using AAC Interventions: Comparison between Low-Tech and High-Tech AAC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948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 conducted a meta-analysis to analyze research articles which (a) were published between 2005 and 2014 in South Korea, (b) employed a single-case study method, and (c) implemented a AAC interven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39 experimental research were searched and selected from peer-reviewed journal articles listed on the Korea Citation Index. Then, we analyzed those articles in terms of both quality and intervention’s effect size facto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st primary participants’ disability was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physical disability for the low-tech and high-tech AAC interventions, respectively. Most of the low-tech and high-tech AAC interventions were conducted in a special education school setting. For article’s quality factors, we used the quality indicators within a single case research (Horner et al., 2005). We also calculated the Percentage of Non-overlapping Data (PND) and Improvement Rate Difference (IRD) for each articles so that we identified an intervention effect size for each articl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39 articles achieved sufficient scores for their quality as a single case research in general. No considerable PND and IRD differences were identified.
      번역하기

      We conducted a meta-analysis to analyze research articles which (a) were published between 2005 and 2014 in South Korea, (b) employed a single-case study method, and (c) implemented a AAC interven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39 experimental re...

      We conducted a meta-analysis to analyze research articles which (a) were published between 2005 and 2014 in South Korea, (b) employed a single-case study method, and (c) implemented a AAC interven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39 experimental research were searched and selected from peer-reviewed journal articles listed on the Korea Citation Index. Then, we analyzed those articles in terms of both quality and intervention’s effect size facto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st primary participants’ disability was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physical disability for the low-tech and high-tech AAC interventions, respectively. Most of the low-tech and high-tech AAC interventions were conducted in a special education school setting. For article’s quality factors, we used the quality indicators within a single case research (Horner et al., 2005). We also calculated the Percentage of Non-overlapping Data (PND) and Improvement Rate Difference (IRD) for each articles so that we identified an intervention effect size for each articl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39 articles achieved sufficient scores for their quality as a single case research in general. No considerable PND and IRD differences were identifi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로우 테크놀로지 AAC 또는 하이 테크놀로지 AAC중재 단일상연구를 (a) 일반인 특징과 동향, (b) 단일상연구의 질적지표의 차이, (c) 양효과 차이에 따라 분석하는 것이었다. 2001년에서 2015년 사이의 국내 특수교육련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39편의 단일상연구를 선정하여 고찰하였다. 분석논문의 AAC 중재의 특징과 동향을 분석한 결과, 로우 테크놀로지 AAC 재의 연구 대상자로는 자폐스펙트럼장애가 가장 많았고, 하이 테크놀로지 AAC 중재의 연구대상자로는 지체장애가 가장 많았다. 로우 테크놀로지 AAC 중재와 하이 테크놀로지 AAC 중재 연구의 부분이 특수학교에서 이루어졌다. 또한 테크놀로지의 수준과 상없이 의사소통 기능을 주요 종속변인으로 다루고 있었으며, 가장 많이 사용된 독립변인은 그림교환의사소통체계(PECS)로 나타났다. Horner 등(2005)이 제시한 질적 지표를 이용하여 논문을 분석한 결과 모든 질적지표를 만족하는 논문은 없었지만 대부분의 논문이 대체적으로 질적지표를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논문에서 사용된 AAC 중재도구의 효과를 PND와 IRD를 사용하여 양적 효과를 산출하였으며, 로우 테크놀로지 AAC와 하이 테크놀로지 AAC를 비 교․분석한 결과에서는 AAC의 테크놀로지 수에 따른 큰 차이 없이 높은 효과를 보여주고 있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로우 테크놀로지 AAC 또는 하이 테크놀로지 AAC중재 단일상연구를 (a) 일반인 특징과 동향, (b) 단일상연구의 질적지표의 차이, (c) 양효과 차이에 따라 분석하는 것이었...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로우 테크놀로지 AAC 또는 하이 테크놀로지 AAC중재 단일상연구를 (a) 일반인 특징과 동향, (b) 단일상연구의 질적지표의 차이, (c) 양효과 차이에 따라 분석하는 것이었다. 2001년에서 2015년 사이의 국내 특수교육련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39편의 단일상연구를 선정하여 고찰하였다. 분석논문의 AAC 중재의 특징과 동향을 분석한 결과, 로우 테크놀로지 AAC 재의 연구 대상자로는 자폐스펙트럼장애가 가장 많았고, 하이 테크놀로지 AAC 중재의 연구대상자로는 지체장애가 가장 많았다. 로우 테크놀로지 AAC 중재와 하이 테크놀로지 AAC 중재 연구의 부분이 특수학교에서 이루어졌다. 또한 테크놀로지의 수준과 상없이 의사소통 기능을 주요 종속변인으로 다루고 있었으며, 가장 많이 사용된 독립변인은 그림교환의사소통체계(PECS)로 나타났다. Horner 등(2005)이 제시한 질적 지표를 이용하여 논문을 분석한 결과 모든 질적지표를 만족하는 논문은 없었지만 대부분의 논문이 대체적으로 질적지표를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논문에서 사용된 AAC 중재도구의 효과를 PND와 IRD를 사용하여 양적 효과를 산출하였으며, 로우 테크놀로지 AAC와 하이 테크놀로지 AAC를 비 교․분석한 결과에서는 AAC의 테크놀로지 수에 따른 큰 차이 없이 높은 효과를 보여주고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혜경, "환경중심 교수절차를 이용한 보완ㆍ대체의사소통 중재가 정신지체아의 화용론과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47 (47): 277-300, 2008

      2 한현진, "특수학교 보완․대체 의사소통체계 사용 실태" 한국특수교육학회 48 (48): 125-144, 2013

      3 권충훈, "특수교육공학" 학지사 2015

      4 김남진, "특수교육공학" 학지사 2010

      5 한선경, "태블릿 PC를 이용한 AAC 중재가 무발화 중도 자폐범주성장애학생의 의사소통 양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7 (17): 92-106, 2012

      6 임장현, "참여모델을 적용한 태블릿 PC기반의 AAC중재가 통합된 장애학생의 의사소통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학회 46 (46): 85-106, 2011

      7 나경은, "질적지표에 의거한 학습장애 학생을 위한 수학중재연구 분석" 한국학습장애학회 7 (7): 145-173, 2010

      8 김정연, "지역사회 상황 스크립트를 이용한 AAC 중재가 비구어 지적장애 학생의 의사소통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아동학회 13 (13): 625-643, 2011

      9 김지화, "중증 뇌성마비아동의 보완·대체의사소통 훈련이 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4

      10 최진혁, "장애인 평생교육 및 직업교육에 대한 국내연구 동향 분석 : 단일대상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8 (58): 137-162, 2015

      1 이혜경, "환경중심 교수절차를 이용한 보완ㆍ대체의사소통 중재가 정신지체아의 화용론과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47 (47): 277-300, 2008

      2 한현진, "특수학교 보완․대체 의사소통체계 사용 실태" 한국특수교육학회 48 (48): 125-144, 2013

      3 권충훈, "특수교육공학" 학지사 2015

      4 김남진, "특수교육공학" 학지사 2010

      5 한선경, "태블릿 PC를 이용한 AAC 중재가 무발화 중도 자폐범주성장애학생의 의사소통 양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7 (17): 92-106, 2012

      6 임장현, "참여모델을 적용한 태블릿 PC기반의 AAC중재가 통합된 장애학생의 의사소통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학회 46 (46): 85-106, 2011

      7 나경은, "질적지표에 의거한 학습장애 학생을 위한 수학중재연구 분석" 한국학습장애학회 7 (7): 145-173, 2010

      8 김정연, "지역사회 상황 스크립트를 이용한 AAC 중재가 비구어 지적장애 학생의 의사소통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아동학회 13 (13): 625-643, 2011

      9 김지화, "중증 뇌성마비아동의 보완·대체의사소통 훈련이 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4

      10 최진혁, "장애인 평생교육 및 직업교육에 대한 국내연구 동향 분석 : 단일대상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8 (58): 137-162, 2015

      11 정유진,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의 의사소통 기술 향상에 관한 단일대상연구의 문헌 분석" 특수교육연구소 13 (13): 219-244, 2014

      12 남경욱, "인지적 장애를 지닌 아동을 위한 보완·대체 의사소통 중재에 대한 메타분석 -단일대상연구를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학회 42 (42): 193-212, 2008

      13 김은경, "아스퍼거 장애학생의 사회적 의사소통 중재에 대한 메타분석과 단일대상연구 효과 크기 적절성 검토" 국립특수교육원 19 (19): 321-359, 2012

      14 김영태, "아동언어장애의 진단 및 치료 (2판)" 학지사 2014

      15 박나리, "시간 지연 및 요구-모델 방법을 이용한 AAC 중재가 뇌성마비 아동의 의사 소통 행동과 통문자 습득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7 (7): 137-158, 2007

      16 김경양, "스위치를 사용한 AAC 중재가 지체중복 장애학생의 의사소통 능력과 스위치 조절 능력 및 AAC 도구 사용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8 (58): 25-54, 2015

      17 정명철, "비구어 자폐성장애 학생의 의사소통과 상동행동에 대한 PDA 활용 보완․대체 의사소통 중재의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8 (28): 447-471, 2012

      18 권명옥, "비구어 의사소통 국내연구 실태 분석: 보완·대체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0 (20): 69-94, 2004

      19 한경임, "블리스심볼의 사용이 중증뇌성마비아동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12 : 73-99, 1994

      20 이현정, "보완대체의사소통(AAC) 서비스 전달 체계 마련을 위한 서비스 제공자의 요구분석" 한국자폐학회 14 (14): 39-63, 2014

      21 박은혜, "보완대체의사소통 분야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 1985년부터 1991년까지" 1 : 177-191, 1996

      22 한경임, "보완․대체 의사소통 체계 사용 지체부자유 학생의 현황 및 중재 방안 연구" 17 (17): 285-320, 2001

      23 한경임, "보완·대체 의사소통 의한 요구하기 기능훈련이 중복장애 학생의 문제 행동 감소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학회 37 (37): 219-242, 2003

      24 한경임, "또래 참여 보완·대체 의사소통 중재가 중복장애학생의 의사소통 능력 변화에 미치는 효과" 한국언어치료학회 16 (16): 109-130, 2007

      25 이현정, "단일대상연구 메타분석을 통한 대화상대자 중재가 보완대체의사소통 체계(AAC)사용자의 언어 및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 8 : 55-71, 2012

      26 김유리, "긍정적 행동지원 관련 단일 대상 연구의 동향 및 질적 지표에 의한 연구방법의 분석" 한국특수아동학회 17 (17): 51-81, 2015

      27 박혜연, "그룹홈 거주 지적장애 성인의 핵심어휘 및 부수어휘 분석을 통한 의미적 언어사용 연구" 특수교육연구소 14 (14): 81-103, 2015

      28 김은경, "국내 보완대체의사소통(AAC) 중재가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효과 분석" 특수교육연구소 13 (13): 25-51, 2014

      29 최희승, "광고지를 활용한 마인드 맵 언어중재 프로그램이언어발달지체 유아의 어휘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4 (4): 101-120, 2013

      30 김경양, "가족-중심 보완대체의사소통(AAC) 중재가 자폐범주성 장애아동의 의사소통 능력과 가족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폐학회 12 (12): 51-72, 2012

      31 이주영, "가정에서의 보완대체의사소통 훈련을 통한 레트 증후군 아동의 요구하기 행동 교수" 한국특수교육학회 40 (40): 245-266, 2005

      32 Charlop-Christy, "Using the Picture Exchange Communication System(PECS)with children with Autism : Assessment of PECS aquisition, speech, socialcommunicative behavior, and problem behavior" 35 : 213-231, 2002

      33 Iwata, B. A., "Toward a functional analysis of self-injury" 27 : 197-209, 1994

      34 Horner, R. H., "The use of single subject research to identify evidence-based practice in special education" 71 : 165-180, 2005

      35 Lilienfeld, M., "The social interaction of an adolescent who uses AAC : The evaluation of a peer training programme" 21 : 278-294, 2005

      36 Scruggs, T. E., "The quantitative synthesis of single-subject research : Methodology and validation" 8 : 24-33, 1987

      37 Parker, R. I., "The improvement rate difference for single case research" 75 : 135-150, 2009

      38 Pelios, L., "The impact of functional analysis methodology on treatment choice for self-injurious and aggressive behavior" 32 : 185-195, 1999

      39 Cooper, H., "The handbook of research synthesis" Russell Sage Foundation 1994

      40 Millar, D. C., "The Impact of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Intervention on the Speech Production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 Research Review" 49 : 248-264, 2006

      41 최진혁, "The Effects of Intensive Tact Instruction on the Emergence of Vocal Verbal Operants in Non-Instructional Setting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SD" 한국특수교육학회 49 (49): 29-44, 2014

      42 Lund, S. K., "Teaching young people who are blind and have autism to make requests using a variation on the Picture Exchange Communication System with tactile symbols : A preliminary investigation" 38 : 719-730, 2008

      43 Meer, L., "Teaching multi-step requesting and social communication to two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with three AAC options" 29 : 222-234, 2013

      44 Johnston, J. M., "Strategies and tactics of behavioral research" Routledge 2009

      45 Kazdin, A. E., "Single-case research design"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46 Kennedy, C. H., "Single-case designs for educational research" Pearson Educational, Inc 2005

      47 Richards, S. B., "Single subject research: Applications in educational and clinical settings" Wadsworth 2013

      48 Cooper, H. M., "Scientific guidelines for conducting integrative research reviews" 52 : 291-302, 1982

      49 Scruggs, T. E., "Research-based practices in special education" Pearson 342-352, 2013

      50 Cooper, H., "Research synthesis and meta-analysis: A step by step approach (Vol. 2)" Sage 2009

      51 Schlosser, R. W., "Promoting generalization and maintenance in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 A meta-analysis of 20 years of effectiveness research" 16 : 208-226, 2000

      52 Lipsey, M. W., "Practical meta-analysis" Sage 2001

      53 Parker, R. I., "Percent of all-non overlapping data(PAND) : An alternative to PND" 40 : 194-204, 2007

      54 Frost, L., "PECS: The Picture Exchange Communication System training manual" Pyramid Educational Products Inc 2002

      55 Jackson, G. B., "Methods for integrative reviews" 50 : 438-460, 1980

      56 Rosenberg, S., "Language and communication in mental retardation:Development, processes, intervention"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93

      57 Bernstein, D. K., "Language and communication disorders in children" Pearson/Allyn and Bacon 2009

      58 Ganz, J. B., "Impact of the Picture Exchange Communication System: Effects on Communication and Collateral Effects on Maladaptive Behaviors" 25 : 250-261, 2009

      59 연준모, "IRD 척도를 활용한 읽기부진학생의 읽기유창성 중재에 대한 메타분석" 국립특수교육원 21 (21): 196-217, 2014

      60 Scruggs, T. E., "How to summarize single-participant research : Ideas and applications" 9 : 227-244, 2001

      61 Lord, C., "Handbook of Autism and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Wiley 195-225, 1997

      62 Byrnes, J. P., "Gender differences in risk taking : A meta analysis" 125 : 367-383, 1999

      63 Campbell, J. M., "Efficacy of behavioral interventions for reducing problem behavior in persons with autism : A quantitative synthesis of single subject research" 24 : 120-138, 2003

      64 Ganz, J. B., "Effects on Communicative Requesting and Speech Development of the Picture Exchange Communication System in Children with Characteristics of Autism" 34 : 395-409, 2004

      65 Haynes, W. O., "Communication disorders in the classroom : An introduction for professionals in school settings" Jones and Bartlett Publishers 2010

      66 Allison, D. B., "Calculating effect sizes for meta-analysis : The case of the single case" 31 (31): 621-631, 1993

      67 Beukelman, D.,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Management of severe communication impairments" Brookes 2005

      68 Cooper, J. O., "Applied behavior analysis" Pearson/Merrill-Prentice Hall 2007

      69 성시연, "AAC 사용자의 초기 문해력 증진을 위한 음운인식 중재 메타분석" 한국언어치료학회 24 (24): 49-59, 2015

      70 Light, "AAC technologies for young children with complex communication needs : State of the science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23 : 204-216,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8-09 학술지등록 한글명 : 특수교육학연구
      외국어명 : Korean Jounral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5-01-27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Special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9 0.99 1.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3 1.3 1.503 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