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정부의 통합교육 정책의 타당성과 효과 및 향후 발전 방안에 대해 전국의 교사와 학교 관리자, 장애학생 학부모의 인식을 조사하여 비교, 분석하는 데 있었다. 전국에서 4,6...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994862
2016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01-128(28쪽)
2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정부의 통합교육 정책의 타당성과 효과 및 향후 발전 방안에 대해 전국의 교사와 학교 관리자, 장애학생 학부모의 인식을 조사하여 비교, 분석하는 데 있었다. 전국에서 4,6...
이 연구의 목적은 정부의 통합교육 정책의 타당성과 효과 및 향후 발전 방안에 대해 전국의 교사와 학교 관리자, 장애학생 학부모의 인식을 조사하여 비교, 분석하는 데 있었다. 전국에서 4,698명의 일반 및 특수교사, 2,372명의 교장, 교감, 장학사 등의 학교 관리자, 그리고 1,260명의 장애학생 학부모가 설문 조사에 참여하다. 설문 분석 결과, 조사 결과, 통합교육 정책 목적의 명료성이나 타당성, 대부분의 정책 항목의 이해 정도나 집행 정도 등에 대해서는 세 집단 모두 ‘보통’ 이상의 만족도나 인식을 보였으며, 특히 학교 관리자 집단의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반면, 통합교육련 정책 목적이 공유되거나 달성된 정도, 일부 항목에서의 통합교육 효과에 해서는 특히 교사와 장애학생 학부모 집단의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와 함께,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학생, 부모, 교사 등 관련 집단의 지속 인식 개선 및 전문성 강화, 통합교육 실행의 질적 제고를 위한 정책적 지원 강화, 통합교육 성과 관리를 한 체제 마련 및 일반교육과의 협력 강화 방안 모색 등을 정책 중점 추진 사항으로 제안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survey and compare the perceptions of teachers, school administrators, and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on the validity, effects, and tasks to be solved of government’s inclusive education policies. From all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survey and compare the perceptions of teachers, school administrators, and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on the validity, effects, and tasks to be solved of government’s inclusive education policies. From all over the nation, 4,698 teachers, 2,372 school administrators, and 1,260 parents participated the survey.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as followings. First, all the participants expressed satisfaction at or more than ‘average’ on the validity or clarity of the government’s policies about inclusive education. The school administrator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atisfaction than other two groups. Second, however, especially these two groups showed significantly lower satisfaction on the effects in several areas, the share, the accomplishment of the policies. Critical findings of the survey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inferred reasons, the implications, and the suggestions for the further development of the government policies on inclusive education were presented.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남순, "한국 통합교육 평가정책 방향"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7집 : 15-33, 2005
2 윤점룡, "학령기 장애학생 통합교육 현황 실태 조사 연구"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2 (22): 81-117, 2006
3 최진오, "학교장의 개인변인,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및 태도와 통합교육실태간의 상관관계" 한국특수교육학회 43 (43): 137-155, 2008
4 이윤식, "평가지표에 의한 정책평가의 인과성 제고 연구: 학교문화예술교육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성과평가를 기초로" 경인행정학회 10 (10): 261-284, 2010
5 이소현, "특수아동교육" 학지사 2011
6 교육부, "특수교육실태조사서" 교육부 2013
7 교육과학기술부, "특수교육실태조사서" 교육부 2011
8 교육부, "특수교육실태조사서" 교육부 2014
9 김희규, "통합학급교사의 장애학생을 위한 교육과정 수정 실태 및 요구" 한국특수아동학회 11 (11): 19-50, 2009
10 박승희, "통합교육 질 지표의 개발과 활용: 초등 통합교육 평가를 향하여" 한국특수교육학회 47 (47): 87-117, 2012
1 김남순, "한국 통합교육 평가정책 방향"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7집 : 15-33, 2005
2 윤점룡, "학령기 장애학생 통합교육 현황 실태 조사 연구"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2 (22): 81-117, 2006
3 최진오, "학교장의 개인변인,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및 태도와 통합교육실태간의 상관관계" 한국특수교육학회 43 (43): 137-155, 2008
4 이윤식, "평가지표에 의한 정책평가의 인과성 제고 연구: 학교문화예술교육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성과평가를 기초로" 경인행정학회 10 (10): 261-284, 2010
5 이소현, "특수아동교육" 학지사 2011
6 교육부, "특수교육실태조사서" 교육부 2013
7 교육과학기술부, "특수교육실태조사서" 교육부 2011
8 교육부, "특수교육실태조사서" 교육부 2014
9 김희규, "통합학급교사의 장애학생을 위한 교육과정 수정 실태 및 요구" 한국특수아동학회 11 (11): 19-50, 2009
10 박승희, "통합교육 질 지표의 개발과 활용: 초등 통합교육 평가를 향하여" 한국특수교육학회 47 (47): 87-117, 2012
11 김봉세, "통합교육 만족도 측정 모형 및 요인 탐색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3 (13): 373-396, 2013
12 이대식, "초등학교에서의 성공적인 장애아 통합교육을 위한 일반교사 교육의 방향 - 통합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와 일반교사들의 인식에 근거하여 -" 한국초등교육학회 15 (15): 167-188, 2002
13 김은주, "제4차 특수교육 발전 5개년 계획 수립 기초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2012
14 박승희, "전국 중학교 특수학급 및 통합학급 수업의실제: 중학교 통합교육의 실상과 허상" 특수교육연구소 14 (14): 27-62, 2015
15 안지훈, "일반계 고등학교와 실업계 고등학교의 특수학급 운영실태 비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8 (8): 203-229, 2007
16 안영주, "인천지역 초등학교 중도․중복장애학급 학생들의 통합교육 실태 및 특수교사, 통합학급교사, 학부모의 만족도 조사" 34 (34): 23-51, 2014
17 승윤희, "서울시 초등학교 통합교육 실태 및 특수/통합학급 교사들의 의견 조사 - 통합학급 음악교육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 -" 한국예술교육학회 10 (10): 57-82, 2012
18 김영원, "대도시 전문계 고등학교 특수학급 운영 실태 조사" 한국통합교육학회 4 (4): 31-60, 2009
19 국립특수교육원, "교육․복지․노동 협업을 통한 장애학생 취업․창업 교육 현장성 강화 방안" 2016
20 Etscheidt, S., "Least restrictive and natural environment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 A legal analysis of issues" 26 (26): 167-178, 2006
21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Education Act, 20 U.S.C. § 1400"
22 Peterson, J. M., "Inclusive teaching: Creating effective schools for all learners" Allyn and Bacon 2003
23 Odom, S. L., "Inclus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 A quarter century of research perspectives" 33 (33): 344-356, 2011
24 Rozalski, M., "How to determine the least restrictive environmen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18 (18): 151-163, 2010
25 West, J. E., "Federal policy and the educ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 Progress and the path forward" 41 (41): 1-16, 2008
순회특수교사들의 교사학습공동체 운영에 대한 사례연구: 중도․중복 장애학생 수업을 중심으로
AAC 중재를 사용한 단일대상연구 메타분석: 로우테크AAC와 하이테크AAC 비교를 중심으로
발달장애 자녀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동기와 만족도에 대한 부모 인식 분석
직장동료와의 상호작용에 기반한 일기쓰기활동이 자폐성장애 근로자의 화장실 위생 관리기술에 미치는 효과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8-09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특수교육학연구외국어명 : Korean Jounral of Special Education | ![]() |
2005-01-27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Special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of Special Education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9 | 0.99 | 1.1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3 | 1.3 | 1.503 | 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