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등학교 시기의 진로지도 및 진로인식이 대졸자의 직무만족도와 직장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The impact on job satisfaction and workplace satisfaction of career guidance and career awareness at high schoo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478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n the focus on the importance of career guidance at high school, job and workplace satisfaction as a professional, this study was analyzed the impact on job satisfaction and workplace satisfaction in the first job after graduation of career guidance at high school, home and career awareness. The wave data of the Korea Education & Employment Panel (KEEP) from the 1st(2004) to 7th(2010) was used for the longitudinal study that tracked the same subjects in this stud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tudy, first, the variables that affected positively on the job satisfaction were sex, location of college, major match, conversation on aptitude and interest, but the variable of conversation on career choice affected negatively on job satisfaction. second, the variables that affected positively on the workplace satisfaction were sex, location of college, wages, firm size and major match. Third, the career guidance at home affected positively and negatively on job satisfaction. In order to activate career guidance that was proven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useful career education and desirable conversation skills with their child will be provided for the parents. And for the desirable career guidance at school, the career coaching education will be provided for teachers to help students form work values and to respect students’ possibilities of career choice away from education for teachers helping students match the existing professional and personal aptitudes, interests, etc.
      번역하기

      On the focus on the importance of career guidance at high school, job and workplace satisfaction as a professional, this study was analyzed the impact on job satisfaction and workplace satisfaction in the first job after graduation of career guidance ...

      On the focus on the importance of career guidance at high school, job and workplace satisfaction as a professional, this study was analyzed the impact on job satisfaction and workplace satisfaction in the first job after graduation of career guidance at high school, home and career awareness. The wave data of the Korea Education & Employment Panel (KEEP) from the 1st(2004) to 7th(2010) was used for the longitudinal study that tracked the same subjects in this stud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tudy, first, the variables that affected positively on the job satisfaction were sex, location of college, major match, conversation on aptitude and interest, but the variable of conversation on career choice affected negatively on job satisfaction. second, the variables that affected positively on the workplace satisfaction were sex, location of college, wages, firm size and major match. Third, the career guidance at home affected positively and negatively on job satisfaction. In order to activate career guidance that was proven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useful career education and desirable conversation skills with their child will be provided for the parents. And for the desirable career guidance at school, the career coaching education will be provided for teachers to help students form work values and to respect students’ possibilities of career choice away from education for teachers helping students match the existing professional and personal aptitudes, interests, etc.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고등학교에서 진로지도와 직업인으로서 개인의 직무와 직장만족도의 중요성에 초점을 두고 고등학교 시기에 학교와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진로지도와 개인의 진로인식이 대학 졸업 후 직무만족도와 직장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동일한 연구대상자들을 추적하는 종단연구가 필요한 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자료 중 2004년도(1차)에서 2010년도(7차)까지 자료를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분석을 통해 첫째, 직무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성별, 대학소재지, 전공일치, 적성․흥미에 대한 대화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진로선택에 대한 대화 변인은 직무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직장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성별, 대학소재지, 임금, 기업규모, 전공일치로 나타났다. 셋째. 가정에서 진로지도는 대학졸업 후 직무만족도에 정적인 영향과 함께 부적인 영향을 동시에 미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렇게 중요성과 필요성이 입증된 진로지도의 활성화를 위해, 학부모들에게 유용한 진로관련 교육을 제공해야 하고 이와 함께 바람직한 자녀와의 대화법에 대한 교육도 실시해야 할 것이다. 또 학교에서 내실 있는 진로지도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담당교사에게 기존에 직업과 개인의 적성, 흥미 등을 매칭하는 것을 돕는 교육에서 탈피해 학생들의 진로선택 가능성을 존중하고 올바른 직업가치관 형성을 도울 수 있는 유능한 커리어코치의 양성이 요구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고등학교에서 진로지도와 직업인으로서 개인의 직무와 직장만족도의 중요성에 초점을 두고 고등학교 시기에 학교와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진로지도와 개인의 진로인식이 대학 졸...

      본 연구는 고등학교에서 진로지도와 직업인으로서 개인의 직무와 직장만족도의 중요성에 초점을 두고 고등학교 시기에 학교와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진로지도와 개인의 진로인식이 대학 졸업 후 직무만족도와 직장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동일한 연구대상자들을 추적하는 종단연구가 필요한 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자료 중 2004년도(1차)에서 2010년도(7차)까지 자료를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분석을 통해 첫째, 직무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성별, 대학소재지, 전공일치, 적성․흥미에 대한 대화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진로선택에 대한 대화 변인은 직무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직장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성별, 대학소재지, 임금, 기업규모, 전공일치로 나타났다. 셋째. 가정에서 진로지도는 대학졸업 후 직무만족도에 정적인 영향과 함께 부적인 영향을 동시에 미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렇게 중요성과 필요성이 입증된 진로지도의 활성화를 위해, 학부모들에게 유용한 진로관련 교육을 제공해야 하고 이와 함께 바람직한 자녀와의 대화법에 대한 교육도 실시해야 할 것이다. 또 학교에서 내실 있는 진로지도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담당교사에게 기존에 직업과 개인의 적성, 흥미 등을 매칭하는 것을 돕는 교육에서 탈피해 학생들의 진로선택 가능성을 존중하고 올바른 직업가치관 형성을 도울 수 있는 유능한 커리어코치의 양성이 요구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방하남, "한국사회의 교육계층화 연령코호트간 변화와 학력단계별 차이" 한국사회학회 37 (37): 2-65, 2003

      2 손창균, "취업자의 사회경제적 환경이 직업 및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노동부. 한국고용정보원 330-353, 2009

      3 김민정, "취업 대상자의 현 직장 만족도 조사 : 취업 대상자 교육에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한국벤처창업학회 6 (6): 149-166, 2011

      4 진미석, "초. 중등 진로교육의 활성화" 50-63, 2013

      5 임영식, "청소년 심리의 이해" 학문사 2000

      6 박성재, "청년층의 직무일치와 노동시장 성과" 한국고용정보원 178-202, 2007

      7 김미숙, "청년층의 구직활동, 직업훈련 실태 및 직무만족과의 관계" 1-19, 2009

      8 조우현, "청년층 노동자의 고용문제와실업확률의 결정요인 분석" 18 (18): 107-128, 1995

      9 박정주, "청년여성 임금근로자의 첫 직장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직업교육학회 30 (30): 213-229, 2011

      10 박미려, "청년 대졸자의 직무만족도에영향을 미치는 요인" 24 (24): 23-52, 2010

      1 방하남, "한국사회의 교육계층화 연령코호트간 변화와 학력단계별 차이" 한국사회학회 37 (37): 2-65, 2003

      2 손창균, "취업자의 사회경제적 환경이 직업 및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노동부. 한국고용정보원 330-353, 2009

      3 김민정, "취업 대상자의 현 직장 만족도 조사 : 취업 대상자 교육에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한국벤처창업학회 6 (6): 149-166, 2011

      4 진미석, "초. 중등 진로교육의 활성화" 50-63, 2013

      5 임영식, "청소년 심리의 이해" 학문사 2000

      6 박성재, "청년층의 직무일치와 노동시장 성과" 한국고용정보원 178-202, 2007

      7 김미숙, "청년층의 구직활동, 직업훈련 실태 및 직무만족과의 관계" 1-19, 2009

      8 조우현, "청년층 노동자의 고용문제와실업확률의 결정요인 분석" 18 (18): 107-128, 1995

      9 박정주, "청년여성 임금근로자의 첫 직장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직업교육학회 30 (30): 213-229, 2011

      10 박미려, "청년 대졸자의 직무만족도에영향을 미치는 요인" 24 (24): 23-52, 2010

      11 김광수, "첫 직장의 직무만족도 결정요인 분석 : 청년층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경영대학원 2010

      12 강순희, "진로지도의 전공 선택,고용 및 임금 효과" 노동부․한국고용정보원 308-329, 2009

      13 Watts, T., "진로교육의 주요 이슈와 과제" 2013

      14 박소영, "진로결정시기가 임금과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일반계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9 (9): 245-271, 2008

      15 김충기, "직업교육과 진로교육" 한국학술정보 2004

      16 배기준, "직무만족도의 변화분석" 84-95, 2008

      17 방하남,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도의 결정요인과 구조분석" 한국사회학회 43 (43): 56-88, 2009

      18 방하남, "직무만족도와 생활만족도의 결정요인과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23 : 133-154, 2000

      19 김상욱, "직무만족과 이직의사의 행태학적 결정요인: 전국 패널자료를 사용한 GLM 및 GEE 추정" 한국사회학회 36 (36): 3-29, 2002

      20 이두형, "중소제조업체 근로자의 직장만족도 및 직원 복지 개선방안"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08

      21 유수열, "중소기업 근로자들의 직장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10

      22 정홍주, "종업원의 직장만족도 결정요인 실증연구-보험회사를중심으로-" 4 : 169-183, 2004

      23 이학종, "조직행동론" 세경사 1998

      24 임창희, "조직행동" 학현사 2007

      25 이은우,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임금 및 직무만족도 차이 분석" 한국경제통상학회 27 (27): 55-78, 2009

      26 김현동, "전문대여성졸업생의 대학생활과 직장만족도의 관계 연구" 한국직업교육학회 30 (30): 241-258, 2011

      27 손정선, "전공과 직업일치에 따른 직무만족도"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8

      28 이자형, "전공계열에 따른 대졸자 노동시장성과의 결정요인: 인문ㆍ사회계열과 자연ㆍ공학계열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22 (22): 199-226, 2012

      29 어윤경, "전공-직무 일치와 직업 가치관에 따른 직무 만족도 변화 추이" 한국상담학회 11 (11): 721-738, 2010

      30 김정숙, "일반계 고등학생의 직업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05-325, 2007

      31 성호용, "여성의 미취업탈출요인에 대한 연구 : 성별비교를 중심으로" 65 : 117-148, 2003

      32 주휘정, "신규 대졸자 임금에 대한 개인 및 대학 효과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0 (30): 603-626, 2012

      33 강은나, "사회적기업 근로자의 직무요구와 고용불안정이 직장만족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미션 지향성의 조절효과 검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1 (31): 237-269, 2011

      34 조주연, "비정규직 근로자의 직장만족도 분석 : 상업계고교 졸업생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35 이병희, "대학전공의 노동시장 성과" 4 (4): 1-20, 2004

      36 장기영, "대학 졸업자의 첫 노동시장 이행 성과 결정요인 : 사회경제적 배경, 교육특성 및 이행준비 효과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8

      37 이규용, "대졸청년층의 노동시장 성과 결정요인" 3 (3): 69-94, 2003

      38 이만기, "대졸자의 일자리적합과 직무만족영향요인에 관한 구조모형분석" 170-191, 2010

      39 정태영, "대졸자 취업결정요인에 관한 연구-학점이 취업확률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경영학회 8 (8): 159-184, 2005

      40 채창균, "대졸 청년층의 취업 성과 결정 요인 분석" 한국직업교육학회 28 (28): 89-107, 2009

      41 노경란, "대졸 청년층의 직업훈련과 인턴 경험이 경제적 효과 및 일자리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교육학회 30 (30): 93-109, 2011

      42 황여정, "대졸 청년층의 노동시장 성과 결정요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1 (11): 1-23, 2008

      43 백병부, "대졸 임금근로자의 일자리 만족도 영향요인에 대한 구조 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2 (12): 123-146, 2009

      44 조윤기, "노동조합이 직장만족도 및 고착성에 미치는 효과 분석" 7 : 357-380, 1997

      45 곽인숙, "남녀직장인의 인적자원개발이 직무만족과 임금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 26 (26): 107-120, 2008

      46 차성현, "교육 및 기술 불일치가 임금, 직무 만족,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19 (19): 177-215, 2010

      47 김기헌, "과잉교육과 전공불일치: 노동시장 결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동연구원 1-25, 2006

      48 임지영, "고학력 청년층의 고실업현상의 원인과 대책"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49 金鳳煥, "大學生의 進路決定水準과 進路準備行動의 發達 및 二次元的 類型化"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7

      50 McCrae, N., "Workplace Satisfaction in a Mental Health Service for Older Adults :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Setting and Professional Status" 21 (21): 17-24, 2007

      51 Herzberg, F., "Work and The Nature of Man" World Publishing Company 1966

      52 Hira, T. K., "Understanding the Impact of Employer-Provided Financial Education on Workplace Satisfaction" 39 (39): 173-194, 2005

      53 Adamson, B. J., "The impact of perceived medical donimance on the workplace satisfaction of Australian and British nurses" 21 : 172-183, 1995

      54 Watts, T., "The Relationship of Career Guidance to VET"

      55 Locke, E. A., "The Nature and Causes of Job Satisfaction, In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Rand Monally 1976

      56 Muchinsky, "Psychology applied to work: an introduction to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Wadsworkth Pub 2000

      57 Spector, P. E., "Job satisfaction: application, assessment, cause, and consequences" Sage Publications 1997

      58 Clark, A. E., "Job satisfaction and gender: Why are women so happy at work" 4 (4): 341-372, 1997

      59 Morris, J. H., "Generalizability of an Organizational Commitment Model" 24 (24): 512-526, 1981

      60 Greg, F.,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Nursing Workplace Satisfaction Questionnaire" 34 (34): 10-18, 2010

      61 Rorchfold, S., "A form of reference approach to investigate par and full-time workers across culture" 31 : 39-51, 1982

      62 한국고용정보원, "2012 한국직업사전"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1차)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86 2.86 2.8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61 2.47 3.62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