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무용전공대학생의 슬럼프가 자기관리 및 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향후 무용전공자들의 자기관리를 통해 무용 지속의사에 도움이 될 수 있는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581941
용인 :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7
학위논문(석사) -- 단국대학교 대학원 , 무용학과 무용학전공 , 2017. 8
2017
한국어
792.8 판사항(23)
경기도
The Effects of a slump by dance major students on self management and continuence intention
vi, 59 장 : 표 ; 30 cm.
단국대학교 학위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김선정
참고문헌 : 장 51-5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무용전공대학생의 슬럼프가 자기관리 및 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향후 무용전공자들의 자기관리를 통해 무용 지속의사에 도움이 될 수 있는 ...
이 연구는 무용전공대학생의 슬럼프가 자기관리 및 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향후 무용전공자들의 자기관리를 통해 무용 지속의사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 경기도지역 내 소재하고 있는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무용전공 대학생이며, 무선 표집방법을 실시하여 총 320명을 표집하고, 설문에 불응답하거나 불성실한 표본을 제외한 300명의 유효표본을 확보한 후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서 가설검정을 위한 자료 분석 방법으로 SPSS/WIN Ver. 18.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분산분석(ANOVA), 독립 T-test,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방법 및 자료 분석 결과를 토대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전공대학생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슬럼프의 차이를 분석해 본 결과 무용 전공 대학생의 1학년집단이 4학년집단 보다 높았으며, 전공에 따른 슬럼프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발레가 한국무용, 현대무용 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무용전공대학생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자기관리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자기관리의 훈련관리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대인관리에서는 1학년, 2학년, 3학년, 4학년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전공에 따른 자기관리의 정신관리, 대인관리에서 발레집단이 현대무용, 한국무용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빈도에 따른 자기관리의 훈련관리에서 5회이상 집단이 3-4회, 1-2회집단 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무용전공대학생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지속의사의 차이를 분석해 본 결과 지속의사의 가능성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넷째, 무용전공대학생의 슬럼프가 자기관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자기관리 하위변인인 신체관리에는 심리적요인이, 훈련관리에는 기술적요인이, 정신관리에는 심리적요인, 신체적요인이, 대인관리에는 신체적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무용전공대학생의 슬럼프가 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본 결과 슬럼프가 지속의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무용전공대학생의 자기관리가 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본 결과 지속의사의 하위변인인 경향성요인에는 신체관리, 정신관리, 대인관리요인이, 가능성요인에는 신체관리, 대인관리요인이, 강화성요인에는 신체관리, 정신관리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해보면, 무용 전공 대학생들이 심리적불안, 연습방법의 결함, 공연 전 몸의 과도한 긴장 등 심리적, 신체적, 기술적요인으로 인한 슬럼프가 평소 자기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곧 무용지속의사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규칙적이고 바람직한 자기관리는 슬럼프를 겪고 난 후 재귀할때에 중요한 요인임을 인지할수 있으며, 자기관리는 무용활동을 지속적으로 할 수 있게 하는 원동력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어 자기관리의 중요성에 대해 시사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