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신명직, "한국근대문학과 일본" 소명출판 : 485 ~ 522, 2003
2 서은영, "한국 근대 만화의 전개와 문화적 의미" 고려대학교 대학원 고려대학교, 2013
3 최수일, "잡지 [조광]을 통해 본 ‘광고’의 위상 변화 -광고는 어떻게 ‘지(知)’가 되었나" 상허학보 32 : 357 ~ 404, 2011
4 이지혜, "일상에 대한 서사적 표현 연구" 국민대학교, 2005
5 조은정, "안석주의 미술비평에 대한 연구" 한국근현대미술사학(구 한국근대미술사학) (17) : 7 ~ 46, 2006
6 이유림, "안석주(安碩柱) 신문소설 삽화 연구:1920년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2007
7 신명직, "안석영 만문만화 연구" 연세대학교, 2001
8 김진영, "심청전 전집 3" 박이정, 1998
9 이주라, "식민지시기 유머소설의 등장과 그 특징" 현대소설연구 (51) : 217 ~ 255, 2012
10 김규택, "모던 심청전" 조광 1 (1) : 1935 ~ 1936,
1 신명직, "한국근대문학과 일본" 소명출판 : 485 ~ 522, 2003
2 서은영, "한국 근대 만화의 전개와 문화적 의미" 고려대학교 대학원 고려대학교, 2013
3 최수일, "잡지 [조광]을 통해 본 ‘광고’의 위상 변화 -광고는 어떻게 ‘지(知)’가 되었나" 상허학보 32 : 357 ~ 404, 2011
4 이지혜, "일상에 대한 서사적 표현 연구" 국민대학교, 2005
5 조은정, "안석주의 미술비평에 대한 연구" 한국근현대미술사학(구 한국근대미술사학) (17) : 7 ~ 46, 2006
6 이유림, "안석주(安碩柱) 신문소설 삽화 연구:1920년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2007
7 신명직, "안석영 만문만화 연구" 연세대학교, 2001
8 김진영, "심청전 전집 3" 박이정, 1998
9 이주라, "식민지시기 유머소설의 등장과 그 특징" 현대소설연구 (51) : 217 ~ 255, 2012
10 김규택, "모던 심청전" 조광 1 (1) : 1935 ~ 1936,
11 윤기헌, "동아시아 근대만화의 특성 비교 연구" 경북대학교, 2012
12 최혜진, "김규택 판소리 문학 작품의 근대적 특징과 의미" 판소리연구 (35) : 251 ~ 286, 2013
13 공성수, "근대 소설의 형성과 삽화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서강대학교, 2014
14 맹현정, "『별건곤』의 일러스트레이션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2012
15 서유경, "<심청전 > 변이의 소통적 의미 연구" 판소리연구 (18) : 103 ~ 134, 2004
16 고은지, "1930년대 대중문화 속의 ‘춘향전’의 모던화 양상과 그 의미- <만화 모던 춘향전 >을 중심으로" 민족문학사연구 (34) : 272 ~ 303, 2007
17 전미경, "1920~1930년대 ‘남편’을 통해 본 가족의 변화 - 『신여성』과 『별건곤』을 중심으로 -" 한민족문화연구 (29) : 405 ~ 438, 2009
18 최열, "1920년대 민족만화운동:김동성과 안석주를 중심으로" 역사비평 2 : 274 ~ 301, 19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