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생의 자기자비와 실패내성의 관계에서긍정적 재평가와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reappraisal and Experiential-avoid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mpassion and Failure-tolera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093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reappraisal and experiential-avoid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mpassion and failure-tolerance.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reappraisal and experiential-avoid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mpassion and failure-tolerance.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from 404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and the SPSS PROCESS macro program was use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The results showed that positive-reappraisal and experiential-avoidance were significance as media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mpassion and failure-tolerance. In addition, the dual mediated effect of positive-reappraisal and experiential-avoid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mpassion and failure-tolerance was found. That is, the self-compassion of university students in emerging adulthood is an effective emotional adjustment, which plays a positive role in looking at and facing negative situations such as failure from the perspective of growth. Findings of the study shed light on the need of early interventive approach to support self-compassion in young adults, which was fully accompanied by emotional and behavioral variables that facilitate construc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responses to overcome failure consequences. Further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기자비와 실패내성의 관계에서 긍정적 재평가와 경험회피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성인-진입기 대학생 404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자료를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기자비와 실패내성의 관계에서 긍정적 재평가와 경험회피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성인-진입기 대학생 404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으며, PROCESS macro를 통해 이중매개 모형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자기자비와 실패내성의 관계에서 긍정적 재평가와 경험회피의 단순매개효과가 유의하였으며, 자기자비가 긍정적 재평가와 경험회피를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실패내성의 증진을 예측하는 이중매개효과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는 대학생의 자기자비가 실패내성의 증진을 직접적으로 예측할 뿐만 아니라, 인지·정서적 요인인 긍정적 재평가를 높이고 행동 요인인 경험회피를 낮춤으로써 실패에 대한 내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 결과는 성인-진입기 대학생의 실패내성을 키우기 위해 자기자비적인 태도와 이에 수반되는 인지, 행동적 측면의 포괄적 변화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경의, "한국판 자기-자비 척도의 타당화 연구 :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건강심리학회 13 (13): 1023-1044, 2008

      2 안현의, "한국판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척도(K-CERQ)의 타당화" 한국상담학회 14 (14): 1773-1794, 2013

      3 이주연, "한국판 다차원적 경험회피 척도(K-MEAQ)의 타당화 및 단축형(K-MEAQ-24) 개발"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17 (17): 181-208, 2017

      4 오희숙,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와 학업적 실패내성 척도의 타당화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5 황매향, "학업우수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애착과 학업적 실패내성과의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21 (21): 1029-1046, 2007

      6 이영희, "학습자의 통제소재와 자기효능감이 실패내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사고개발학회 2 (2): 117-130, 2006

      7 박경환, "학습된 무기력과 실패내성이 학업성취도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식경영학회 9 (9): 61-76, 2008

      8 김아영, "학구적 실패에 대한 내성의 관련변인 연구" 11 (11): 1-19, 1997

      9 전수현,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학업적 실패내성의 관계에서 낙관성의 매개효과"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17 (17): 513-535, 2018

      10 박은혜, "자아탄력성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과 스트레스 대처의 매개효과" 한국건강심리학회 21 (21): 623-640, 2016

      1 김경의, "한국판 자기-자비 척도의 타당화 연구 :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건강심리학회 13 (13): 1023-1044, 2008

      2 안현의, "한국판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척도(K-CERQ)의 타당화" 한국상담학회 14 (14): 1773-1794, 2013

      3 이주연, "한국판 다차원적 경험회피 척도(K-MEAQ)의 타당화 및 단축형(K-MEAQ-24) 개발"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17 (17): 181-208, 2017

      4 오희숙,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와 학업적 실패내성 척도의 타당화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5 황매향, "학업우수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애착과 학업적 실패내성과의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21 (21): 1029-1046, 2007

      6 이영희, "학습자의 통제소재와 자기효능감이 실패내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사고개발학회 2 (2): 117-130, 2006

      7 박경환, "학습된 무기력과 실패내성이 학업성취도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식경영학회 9 (9): 61-76, 2008

      8 김아영, "학구적 실패에 대한 내성의 관련변인 연구" 11 (11): 1-19, 1997

      9 전수현,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학업적 실패내성의 관계에서 낙관성의 매개효과"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17 (17): 513-535, 2018

      10 박은혜, "자아탄력성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과 스트레스 대처의 매개효과" 한국건강심리학회 21 (21): 623-640, 2016

      11 박세란, "자기자비가 자기조절과정에 미치는 영향: 자기자비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검증" 서울대학교 대학교 2015

      12 박세란, "자기자비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한국상담심리학회 27 (27): 583-611, 2015

      13 유지연, "자기수용과 자기자비가 실패내성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건국대학교

      14 박모란, "외상 경험이 있는 대학생들의 다차원적 경험회피와 외상 후 성장의 관계"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14 (14): 435-453, 2014

      15 김아영, "실패는 나의 힘: 성공을 위한 실패학" 초이스북 2018

      16 서미옥, "실패 내성과 관련 변인들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교육학회 57 (57): 87-118, 2019

      17 김소희, "스트레스 사건,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심리적 안녕감간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4

      18 이숙정, "대학생의 학업 및 진로 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교육심리학회 22 (22): 589-607, 2008

      19 오충광, "대학생의 시험불안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자비와 실패내성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4 (24): 483-511, 2017

      20 김현이,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양식의 매개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4 (34): 316-336, 2018

      21 조윤서,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 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17 (17): 529-546, 2016

      22 박모란, "경험회피, 정서중심 대처능력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3

      23 김환, "경험적 회피(Experiential Avoidance)와 회피적 반응의 관계: 행동적 회피, 감추기 및 거리두기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26 (26): 225-243, 2007

      24 김아라, "감사성향과 역경후 성장의 관계에서 의도적 반추와 긍정적 재해석의 매개효과: 관계 상실 경험 중년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9 (29): 25-45, 2016

      25 Fredrickson, B. L, "What good are positive emotions?" 2 (2): 300-319, 1998

      26 Clifford, M. M, "Thoughts on a theory of constructive failure" 19 (19): 108-120, 1984

      27 Fredrickson, B. L, "The role of positive emotions in positive psychology : The broaden-and-build theory of positive emotions" 56 (56): 218-226, 2001

      28 Germer, C, "The mindful path to self-compassion : Freeing yourself from destructive thoughts and emotions" Guilford Press 2009

      29 Neff, K. D,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to measure self-compassion" 2 (2): 223-250, 2003

      30 Folkman, S, "Stress, positive emotion, and coping" 9 (9): 115-118, 2000

      31 Neff, K. D, "Self‐compassion versus global self‐esteem : Two different ways of relating to oneself" 77 (77): 23-50, 2009

      32 Thompson, B. L, "Self‐compassion and PTSD symptom severity" 21 (21): 556-558, 2008

      33 Allen, A. B, "Self‐Compassion, stress, and coping" 4 (4): 107-118, 2010

      34 Phillips, W. J, "Self-compassion: A resource for positive aging" 68 (68): 529-539, 2012

      35 Breines, J. G, "Self-compassion increases self-improvement motivation" 38 (38): 1133-1143, 2012

      36 Leary, M. R, "Self-compassion and reactions to unpleasant self-relevant events : The implications of treating oneself kindly" 92 (92): 887-904, 2007

      37 Wong, C. C. Y, "Self-compassion and posttraumatic growth : Cognitive processes as mediators" 8 (8): 1078-1087, 2017

      38 Neff, K. D, "Self-compassion and adaptive psychological functioning" 41 (41): 139-154, 2007

      39 Neff, K, "Self-compassion : An alternative conceptualization of a healthy attitude toward oneself" 2 (2): 85-101, 2003

      40 Preacher, K. J, "SPSS and SAS procedures for estimating indirect effects in simple mediation models" 36 (36): 717-731, 2004

      41 Clifford, M. M, "Responses to failure as influenced by task attribution, outcome attribution, and failure tolerance" 57 (57): 17-37, 1988

      42 Kline, R. B,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Guilford Press 2015

      43 Kashdan, T. B, "Post-traumatic distress and the presence of post-traumatic growth and meaning in life : Experiential avoidance as a moderator" 50 (50): 84-89, 2011

      44 Fredrickson, B. L, "Positive emotions broaden the scope of attention and thought‐action repertoires" 19 (19): 313-332, 2005

      45 Jessica Bennett, "On Campus, Failure Is on the Syllabus"

      46 Garnefski, N, "Negative life event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emotional problems" 30 (30): 1311-1327, 2001

      47 Hayes, S. C, "Measuring experiential avoidance : A preliminary test of a working model" 54 (54): 553-578, 2004

      48 Valås, H, "Learned helplessness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II : Effects of learning disabilities and low achievement" 45 (45): 101-114, 2001

      49 Hayes, A. F,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second edition: A regression-based approach" 2018

      50 Erikson, E. H, "Identity, youth, and crisis" Norton 1968

      51 Odou, N,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umination, self-compassion, and mood" 13 (13): 449-459, 2014

      52 Hayes, S. C, "Experiential avoidance and behavioral disorders : A functional dimensional approach to diagnosis and treatment" 64 (64): 1152-1168, 1996

      53 Spencer, L, "Emotion Regulation: Associations Among Cognitive Coping, Avoidance Behaviour and Psychological Distress" RMIT university 2015

      54 Arnett, J. J, "Emerging adulthood : A theory of development from the late teens through the twenties" 55 (55): 469-480, 2000

      55 Roth, S, "Effects of noncontingent reinforcement on tasks of differing importance : Facilitation and learned helplessness" 32 (32): 680-691, 1975

      56 Gámez, W, "Development of a measure of experiential avoidance : The Multidimensional Experiential Avoidance Questionnaire" 23 (23): 692-713, 2011

      57 Affleck, G, "Construing benefits from adversity : Adaptational significance and dispositional underpinnings" 64 (64): 899-922, 1996

      58 Drach-Zahavy, A, "Challenge versus threat effects on the goal–performance relationship" 88 (88): 667-682, 2002

      59 Carver, C. S, "Assessing coping strategies : a theoretically based approach" 56 (56): 267-283, 1989

      60 Neff, K. D, "An examination ofself-compassion in relation to positive psychological functioning and personality traits" 41 (41): 908-916, 2007

      61 Hanley, A. W, "A failure in mind : Dispositional mindfulness and positive reappraisal as predictors of academic self-efficacy following failure" 86 : 332-337,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14 2.14 2.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34 2.47 2.766 0.5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