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樓亭의 儒風에 나타난 性理學 硏究 : 朝鮮朝 江原道를 中心으로 = A study on Neo-Confucianism (性理學) shown in Yupung (儒風) of Pavilions (樓亭) : Focusing on Gangwondo (江原道) in the Joseon Dynasty (朝鮮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734570

      • 저자
      • 발행사항

        춘천 :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 철학과 , 2018. 2

      • 발행연도

        2018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151.52 판사항(6)

      • 발행국(도시)

        강원특별자치도

      • 형태사항

        161 p. : 삽도 ; 30 cm

      • 일반주기명

        강원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유성선
        참고문헌 : p.155-159

      • 소장기관
        • 강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 해당 논문은 저작자의 요청에 따라 [원문보기]가 제공되지 않습니다.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Ⅰ. 序論 1
      • 1. 硏究目的 1
      • 목 차
      • Ⅰ. 序論 1
      • 1. 硏究目的 1
      • 2. 先行硏究 檢討 2
      • 3. 硏究範圍 및 方法 4
      • Ⅱ. 樓亭 儒風의 機能과 性理學 具現 6
      • 1. 樓亭의 範疇와 機能 6
      • 2. 樓亭 儒風의 性理學的 具現 8
      • Ⅲ. 朝鮮朝 江原道 樓亭 儒風의 性理學的 具現 樣相 17
      • 1. 嶺西圈域 樓亭 儒風의 性理學的 具現 樣相 18
      • 1) 춘천(春川)의 樓亭; 남인 및 노론계 유풍의 이상적 구현 18
      • 2) 인제(麟蹄)의 樓亭; 동서 수령들의 교류의 장 29
      • 3) 양구(楊口)의 樓亭; 금강산 경승 탐방의 要路 31
      • 4) 철원(鐵原)의 樓亭; 신라 및 고려의 王氣 명승 32
      • 5) 정선(旌善)의 樓亭정; 不事二君의 忠節 표상 37
      • 6) 평창(平昌)의 樓亭; 동서화합의 정신 구현 39
      • 7) 영월(寧越)의 樓亭; 충의와 절개의 표상 41
      • 8) 원주(原州)의 樓亭; 東人의 충절 구현 51
      • 9) 횡성(橫城)의 樓亭; 성리학적 이론의 기틀 정립 60
      • 10) 홍천(洪川)의 樓亭; 화서학파의 위정척사정신 구현 63
      • 11) 화천(華川)의 樓亭; 주자의 陰陽消息觀 재현 65
      • 2. 嶺東圈域 樓亭 儒風의 性理學的 具現 樣相 70
      • 1) 고성(高城)의 樓亭; 仙界의 이상향 구현 70
      • 2) 양양(襄陽)의 樓亭; 설악산 경승을 통한 浩然之氣 구현 75
      • 3) 구 간성(舊杆城)의 樓亭; 맑은 물가에서 悠悠自適 80
      • 4) 강릉(江陵)의 樓亭; 성리학적 자연인식 구현 85
      • 5) 삼척(三陟)의 樓亭; 남인 및 기호학통의 성리학적 이상향 공존 104
      • 3. 江原以北圈域 樓亭 유풍의 성리학적 구현 양상 114
      • 1) 회양(淮陽)의 樓亭; 유학사상의 충의절의 정신 구현 114
      • 2) 통천(通川)의 樓亭; 금강산 景勝을 통한 호연지기 구현 115
      • 3) 구 흡곡(舊歙谷)의 樓亭; 정치적 이상 구현 122
      • 4) 김화(金化)의 樓亭; 구양수의 「취옹정기」 의미 재현 124
      • 5) 구 금성(舊金城)의 樓亭; 현령들의 여가생활 추구 127
      • 6) 평강(平康)의 樓亭; 시인 및 묵객의 명승탐방 127
      • 4. 京畿 및 慶尙圈域 樓亭 儒風의 性理學的 具現 樣相 130
      • 1) 울진(蔚珍)의 樓亭; 유배객의 望鄕정서 구현 130
      • 2) 구 평해(舊平海)의 樓亭; 자연속에서의 심성수양 140
      • 3) 이천(伊川)의 樓亭; 정이천의 자연인식 구현 145
      • 4) 구 안협(舊安峽)의 樓亭; 율곡의 성리학 구현 149
      • Ⅳ. 結論; 朝鮮朝 江原道 樓亭의 樣相과 意義 150
      • □ 參考文獻 155
      • □ Abstract 16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