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소비에트 공산당원으로 1944년 미국으로 망명한 V·A 크라보첸코의 자서전적 망명수기 『나는 자유를 선택하였다』가 냉전의 맥락에서 세계-동아시아-한국으로 번역되는 양상과 그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490807
이봉범 (성균관대학교)
2024
Korean
『나는 자유를 선택하였다』 ; 빅토르 크라보첸코 ; 냉전 ; 번역 ; 수용 ; 문화냉전 ; 파리재판 ; 미국 중앙정보국 ; 문화자유회의 ; 동아시아 ; 프로파간다 ; 변용 ; 심리전 ; 소비에트 ; 망명 ; 반역 ; 위작 ; I Chose Freedom ; VICTOR A. KRAVCHENKO ; Cold War ; translation ; accept ; Cultural Cold War ; Paris trial ; CIA(Central Intelligence Agency) ; Cultural Freedom Council ; East Asia ; propaganda ; acculturation ; psychological warfare ; soviet ; exile ; betrayal ; pseudograph
KCI등재
학술저널
407-445(3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소비에트 공산당원으로 1944년 미국으로 망명한 V·A 크라보첸코의 자서전적 망명수기 『나는 자유를 선택하였다』가 냉전의 맥락에서 세계-동아시아-한국으로 번역되는 양상과 그 ...
이 글은 소비에트 공산당원으로 1944년 미국으로 망명한 V·A 크라보첸코의 자서전적 망명수기 『나는 자유를 선택하였다』가 냉전의 맥락에서 세계-동아시아-한국으로 번역되는 양상과 그 수용의 특징을 문화냉전의 관점에서 구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회주의 자체를 비판한 내용이 전혀 없는 反스탈린주의 텍스트가 어떻게 빠른 기간 안에 동시다발적으로 번역되어 전 지구적인 냉전텍스트로 변용되었는가에 대한 거시적인 탐문이다. 이 텍스트가 세계 냉전체제하 문화냉전의 세계적 연쇄와 동아시아 및 한국적 변용을 동시에 파악할 수 있는 각별한 냉전텍스트라는 전제 아래 세 가지 논점을 해명하는데 주력했다.
첫째, 『나는 자유를 선택하였다』가 냉전텍스트로 변용·재정위되는 과정을 파리재판을 중심으로 재구성하여 문화냉전의 기원을 탐색한다. 러시아민중사의 자서전적 버전이라 할 수 있는 이 텍스트가 냉전텍스트로 변용된 데에는 反스탈린주의적인 내용에서 기인한 바 크나 1946년 1월 영어로 번역되어 뉴욕에서 출판된 사정과 이와 연관된 크라보첸코 소송사건, 즉 파리재판에서 동서 양 진영 상호 간 프로파간다 도구로 이용됨으로써 반공산주의텍스트서의 확고한 위상을 확보하는 동시에 문화냉전의 심리전 텍스트로서의 가치를 증폭시킨 것이 중요하게 작용했다. CIA가 주도한 조직적인 세계적 문화냉전에 앞선 문화냉전의 징후였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서구發 냉전텍스트가 어떻게 동아시아 지역에 동시대적으로 번역 수용되었는가에 대한 고찰이다. 중국(대만)의 경우 초본 번역으로 노골적인 반공프로파간다보다는 공산주의 소련 이해의 텍스트로 수용되는 양상을 보이는데, 이는 제2차 국공내전의 전황과 관련이 깊다. 다만 1949년 중국 분열 이후 대만의 정치상황을 고려할 때 반공사상전의 프로파간다 텍스트로 활용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일본의 번역에서 가장 큰 특징은 GHQ/SCAP 산하 민간정보교육국의 번역 허가 및 검열을 받았다는 사실과 파리재판을 중점적으로 다룬 점이다. 패전 후 일본의 정치적·사상적 혼란과 아메리카니즘을 부식하려는 미국의 정책적 의도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산물로 볼 수 있다. 동아시아에서의 번역은 자유 동아시아 구축을 목표로 1950년대 본격화되는 미국의 도서프로그램 사업 이전의 동아시아 문화냉전의 전사로 볼 수 있다. 셋째, 한국에서의 번역 및 수용의 장기 지속성이 내포하고 있는 의미 파악이다. 한국전쟁을 계기로 소련 이해의 지침서에서 반소반공 텍스트로의 극적 전환에는 열전의 직접 경험에다 반역과 전향의 사상 의제를 기축으로 한 내부냉전이 연관되어 있었으며 이로부터 『나는 자유를 선택하였다』는 반공서적의 대명사로 대공심리전에 최적화된 텍스트로 자리매김 되기에 이른다. 냉전-열전-분단의 연쇄 속에 반공-멸공-승공 프로파간다 심리전 텍스트로 변용·전유된 한국적 수용은 이 텍스트의 냉전정치성이 가장 극적이고 실질적으로 발휘되었다는 것을 말해준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서 하나의 텍스트가 냉전 초기 지구를 횡단하며 각기 다르게 수용되는 냉전문화사의 보편성과 특수성에 대한 이해와 함께 이를 가로지르며 음각된 냉전과 책의 운명 나아가 사람의 운명이 내포한 냉전의 폭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aspects of the world-East Asia-Korea translation in the context of the Cold War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ceptance of V·A KRAVCHENKO, who defected to the United States in 1944, “I chose freed...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aspects of the world-East Asia-Korea translation in the context of the Cold War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ceptance of V·A KRAVCHENKO, who defected to the United States in 1944, “I chose freedom.”It is a macroscopic inquiry into how an anti-Stalinist text, which has no criticism of socialism itself, was translated simultaneously in a short period of time and transformed into a global Cold War text. Under the premise that this text is a special Cold War text that can grasp the global chain of the world's cultural cold war and East Asian and Korean transformation at the same time, it focused on clarifying three points.
First, “I chose freedom”and then reconstruct the process of being transformed and re-appointed into Cold War text, focusing on the Paris Tribunal, to explore the origin of the cultural Cold War. Second, it is a consideration of how the Cold War text from the West was simultaneously translated and accepted in East Asia. Third, understanding the implications of the long-term persistence of translation and acceptance in Korea. In the wake of the Korean War, the dramatic shift from the guidelines for understanding the anti-Soviet Union and anti-communist texts was related to the direct experience of the war and the internal Cold War based on the ideological agenda of treason and conversion, and from this, “I chose freedom” is the epitome of anti-communism books and has become an optimized text for anti-communism psychological warfare. The Korean acceptance of the Cold War, which has been transformed and transferred into an anti-communist, extinct, and successful propaganda psychological warfare text in a series of Cold War-war divisions, suggests that the Cold War politics of this text were most dramatic and practical. Through the above discussion,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violence of the engraved Cold War, the fate of books, and the fate of people as well as the understanding of the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of Cold War culture, in which one text crosses the Earth in the early days of the Cold War and is accepted differently.
『朝鮮文壇』의 독자 투고와 대중 교양으로서의 서정시― 1920년대 문예시장에서 ‘국민문학론’의 맥락
동아시아에서의 역사 인식과 화해(The Historical Recognition and Reconciliation in East Asia)
K-MOOC 경남대학교 이상만,조진구동아시아에서의 역사 인식과 화해(The Historical Recognition and Reconciliation in East Asia)
K-MOOC 경남대학교 이상만,조진구동아시아에서의 역사 인식과 화해(The Historical Recognition and Reconciliation in East Asia)
K-MOOC 경남대학교 이상만,조진구동아시아에서의 역사 인식과 화해(The Historical Recognition and Reconciliation in East Asia)
K-MOOC 경남대학교 이상만,조진구동아시아의 이해
신한대학교 신경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