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등학교 진학 결정시기에 따른 학교생활 및 진로성숙도 분석 = Analysis of School Life and Career Maturity according to the Time of Decision Making for High School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vidence for career education and student guidance in high school and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this purpose, we use the data of the second-year high school students of the first wave data of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KEEP) provided by KRIVET. For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cision-making time and career maturity, ordinary least square was used. To solve the problem of sample selection bias, the generalized propensity score was used in the inverse probability of treatment weight metho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the students who made an early decision on which high school to attend, their mother had a long period of education, and they had a large monthly expenditure on private education, a clear career plan, and high career maturity. Second, career maturity level was higher when the decision on high school was made earlier. Third, there was no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level compared to the average group even when the decision on high school was made early. Fourth, the earlier the school decision time, the higher their satisfaction with school.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is study suggests that a basis for educational support be laid for students who make an early decision on high school, that efforts be made to grasp the needs for career education and educational demand of students, and that policies be prepared for the reform of private educa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vidence for career education and student guidance in high school and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this purpose, we use the data of the second-year high school students of the first wave data of Korean 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vidence for career education and student guidance in high school and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this purpose, we use the data of the second-year high school students of the first wave data of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KEEP) provided by KRIVET. For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cision-making time and career maturity, ordinary least square was used. To solve the problem of sample selection bias, the generalized propensity score was used in the inverse probability of treatment weight metho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the students who made an early decision on which high school to attend, their mother had a long period of education, and they had a large monthly expenditure on private education, a clear career plan, and high career maturity. Second, career maturity level was higher when the decision on high school was made earlier. Third, there was no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level compared to the average group even when the decision on high school was made early. Fourth, the earlier the school decision time, the higher their satisfaction with school.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is study suggests that a basis for educational support be laid for students who make an early decision on high school, that efforts be made to grasp the needs for career education and educational demand of students, and that policies be prepared for the reform of private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중학교 시기의 진로교육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고등학교 진학 결정 시기의 중요성과 효과성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 하에 수행되었다. 즉 진학할 고등학교 유형을 결정하는 시기에 따라, 진학 후 학교생활 및 진로성숙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실증 분석하여 관련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연구의 의의 및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2차 조사의 1차년도 고등학교 2학년 학생 자료를 활용하였다. 진학 결정시기와 고등학교 진학 후 학교 생활(학업성취도 및 학교 만족도)및 진로성숙도 간의 관계를 통계적으로 엄밀하게 분석하기 위해 일반화경향점수(Generalized propensity score)를 역확률가중치(Inverse probability of treatment weight) 방식으로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고등학교 진학 결정시기가 이른 학생일수록 어머니의 교육연한이 길고, 월평균 사교육비 지출이 많았으며, 진로계획이 뚜렷하고, 진로성숙도가 높았다. 또한 특수목적고는 주로 1, 2학년 때, 직업계열 학교는 주로 2, 3학년 때 진학 결정이 이루어졌다. 둘째, 고등학교 진학 결정시기가 이를수록 진로성숙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진학 결정시기가 이르더라도 평균인 집단에 비해 학업성취수준에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다. 넷째, 진학 결정시기가 이를수록 학교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진학 결정시기가 이른 학생들을 위한 교육적 지원 토대 마련, 진로교육 및 교육 수요 파악 노력, 특정 유형 고등학교 진학을 위한 사교육 선행학습 풍토 개선 방안에 대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중학교 시기의 진로교육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고등학교 진학 결정 시기의 중요성과 효과성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 하에 수행되었다. 즉 진학할 고등...

      본 연구는 중학교 시기의 진로교육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고등학교 진학 결정 시기의 중요성과 효과성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 하에 수행되었다. 즉 진학할 고등학교 유형을 결정하는 시기에 따라, 진학 후 학교생활 및 진로성숙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실증 분석하여 관련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연구의 의의 및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2차 조사의 1차년도 고등학교 2학년 학생 자료를 활용하였다. 진학 결정시기와 고등학교 진학 후 학교 생활(학업성취도 및 학교 만족도)및 진로성숙도 간의 관계를 통계적으로 엄밀하게 분석하기 위해 일반화경향점수(Generalized propensity score)를 역확률가중치(Inverse probability of treatment weight) 방식으로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고등학교 진학 결정시기가 이른 학생일수록 어머니의 교육연한이 길고, 월평균 사교육비 지출이 많았으며, 진로계획이 뚜렷하고, 진로성숙도가 높았다. 또한 특수목적고는 주로 1, 2학년 때, 직업계열 학교는 주로 2, 3학년 때 진학 결정이 이루어졌다. 둘째, 고등학교 진학 결정시기가 이를수록 진로성숙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진학 결정시기가 이르더라도 평균인 집단에 비해 학업성취수준에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다. 넷째, 진학 결정시기가 이를수록 학교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진학 결정시기가 이른 학생들을 위한 교육적 지원 토대 마련, 진로교육 및 교육 수요 파악 노력, 특정 유형 고등학교 진학을 위한 사교육 선행학습 풍토 개선 방안에 대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주아, "특수목적고·특성화고 학교선택 행위와 학교의 특성화 전략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2 박소영, "특수목적고 진학 결정요인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36 (36): 29-48, 2009

      3 서인석, "특성화고등학생의 학교적응에 부모의 양육태도가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학교성적의 매개효과" 한국상업교육학회 31 (31): 1-24, 2017

      4 김다솔, "특성화고등학교 진학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중학교 3학년 담임교사 특성 연구 - 대전지역 중심으로" 대한공업교육학회 45 (45): 84-102, 2020

      5 이병욱, "특성화고 진학 및 졸업 후 진로에 대한중학생, 학부모, 산업체 인사 담당자의 인식 비교 연구" 대한공업교육학회 38 (38): 48-67, 2013

      6 전민일보, "특성화고 졸업생-중학생 ‘특별한 동행’ 토크 콘서트"

      7 김동규, "특성화고 선택의 자발성이 고졸청년층의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교육학회 31 (31): 25-42, 2012

      8 백선희,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입학전형 실태: 학교의 학생 선발과 학생의 진학 결정" 한국직업교육학회 36 (36): 1-22, 2017

      9 류방란, "초⋅중학생의 학업 성취수준에 미치는 가정과 학교경험의 영향력 분석" 교육연구소 10 (10): 1-25, 2009

      10 선혜연, "청소년 진로의사결정 상황에 따른 부모의 관여방식 차이 - 고등학교 및 대학교 진학을 중심으로" 한국진로교육학회 21 (21): 49-67, 2008

      1 김주아, "특수목적고·특성화고 학교선택 행위와 학교의 특성화 전략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2 박소영, "특수목적고 진학 결정요인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36 (36): 29-48, 2009

      3 서인석, "특성화고등학생의 학교적응에 부모의 양육태도가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학교성적의 매개효과" 한국상업교육학회 31 (31): 1-24, 2017

      4 김다솔, "특성화고등학교 진학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중학교 3학년 담임교사 특성 연구 - 대전지역 중심으로" 대한공업교육학회 45 (45): 84-102, 2020

      5 이병욱, "특성화고 진학 및 졸업 후 진로에 대한중학생, 학부모, 산업체 인사 담당자의 인식 비교 연구" 대한공업교육학회 38 (38): 48-67, 2013

      6 전민일보, "특성화고 졸업생-중학생 ‘특별한 동행’ 토크 콘서트"

      7 김동규, "특성화고 선택의 자발성이 고졸청년층의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교육학회 31 (31): 25-42, 2012

      8 백선희,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입학전형 실태: 학교의 학생 선발과 학생의 진학 결정" 한국직업교육학회 36 (36): 1-22, 2017

      9 류방란, "초⋅중학생의 학업 성취수준에 미치는 가정과 학교경험의 영향력 분석" 교육연구소 10 (10): 1-25, 2009

      10 선혜연, "청소년 진로의사결정 상황에 따른 부모의 관여방식 차이 - 고등학교 및 대학교 진학을 중심으로" 한국진로교육학회 21 (21): 49-67, 2008

      11 박현정, "중학생의 특수목적고등학교 진학계획이사교육 참여 및 사교육비 지출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교육연구소 10 (10): 213-238, 2009

      12 심재희, "중학생의 진로교육 및 진로체험활동과 진로성숙도의 향상 효과" 2 (2): 67-92, 2017

      13 심현애, "중학교 3학년생의 진학 고등학교 유형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62 (62): 593-621, 2014

      14 조세연, "중·고등학생들의 진로정체감, 진로결정수준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21 (21): 325-349, 2014

      15 김정숙, "중3 학부모의 고등학교 선택 동기 결정요인" 한국교육개발원 37 (37): 5-27, 2010

      16 교육부, "조간보도자료- 내년부터 약1500개 중학교에서 1학년 자유학년제 시작"

      17 김성남, "전문대학생의 중·고등학교 시기 진학·전공 결정에 관한 분석" 한국직업교육학회 31 (31): 339-356, 2012

      18 한국경제, "선행학습의 부작용"

      19 한국일보, "선행학습금지법 3년… 되레 빨라진 선행학습 “자유학기는 선행 적기” “대입 논술은 중3부터”"

      20 이명훈, "마이스터고 학생들의 학교생활 적응과 관련 변인" 한국직업교육학회 30 (30): 293-313, 2011

      21 이재선, "마이스터 고등학교 학생의 학교생활적응과 관련 변인"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3 (43): 1-28, 2011

      22 에듀동아, "대전교육청, 중학생 대상 특성화고 선배 취업성공 멘토로 진로탐색의 장 마련"

      23 중앙일보, "교사들 “선행학습 받은 학생 수업 태도 나쁘다”"

      24 김성식, "고등학교 진학에 대한 가정 배경, 학생 노력, 학교 경험의 영향력 분석" 한국교육사회학회 18 (18): 31-51, 2008

      25 김형태, "고교청소년의 개인요인과 사회경제적 요인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36) : 151-173, 2016

      26 장상수, "가족배경이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학회 39 (39): 198-230, 2005

      27 장상수, "가족배경과 고등학교 계열 선택" 한국사회학회 41 (41): 118-146, 2007

      28 에듀동아, "“저는 중1 ‘수포자’예요”… 우리 아이 조기 수포 막으려면?"

      29 중앙일보, "‘중1 성적 대입 좌우?’…학부모 불안감 이용 사교육 부추긴 88개 학원 적발"

      30 Dawis, R., "The theory of work adjustment as convergent theory"

      31 Imbens, G. W., "The role of the propensity score in estimating dose-response functions" 87 (87): 706-710, 2000

      32 Austin, P. C., "Moving towards best practice when using inverse probability of treatment weighting (IPTW) using the propensity score to estimate causal treatment effects in observational studies" 34 (34): 3661-3679, 2015

      33 Dawis, R. V., "A psychological theory of work adjustment: An individual differences model and its application" University of Minnesota 1984

      34 Fullerton, A. S., "A conceptual framework for ordered logistic regression models" 38 (38): 306-347, 2009

      35 Leite, W. L., "A comparison of propensity score weighting methods for evaluating the effects of programs with multiple versions" 87 (87): 75-88,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10-1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 -> 직업능력개발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Employment and Skills Development ->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5-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직업능력개발연구 ->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 Journal of Employment and Skills Development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29 학술지등록 한글명 : 직업능력개발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1 0.81 0.9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3 1.38 1.218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