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지역일간지에 보도된 건강캠페인 내용분석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498927

      • 저자
      • 발행사항

        제주 : 제주대학교, 2020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제주대학교 대학원 , 언론홍보학과 , 2020. 2

      • 발행연도

        2020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325.773 판사항(6)

      • 발행국(도시)

        제주특별자치도

      • 기타서명

        An Analysis of Health Campaign Contents Reported in Local Daily Newspapers

      • 형태사항

        v, 80 p. : 삽화, 표 ; 30 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 p.45-48

      • UCI식별코드

        I804:49002-000000009342

      • 소장기관
        • 제주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ue to the country’s entry into an aged society, an increase in life expectancy and income growth,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medical and health care among modern people. Moreover, their awareness of health has also changed into the management and promotion of health in terms of prevention of illness, not merely the absence of disease. In this light, the mass media are providing various and in-depth information through health-related sections and programs. Meanwhile, in Jeju, general hospitals and local dailies have concluded an agreement to conduct heath campaigns through newspapers to provide correct health common sense and medical knowledge to support local residents’ healthy lives. In this regar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health campaigns through a comparison of related articles in the Hallailbo with Jeju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nd the Jemin Daily with Cheju Halla General Hospital. The analysis period was five years from the point in time when the two newspapers started the health campaigns, and an analysis of the heath campaign agendas and image provision types was conducted on a total of 333 articles about the health campaigns. First, the analysis of the health campaign agendas in the newspapers found that both the Hallailbo and the Jemin Daily provided more ‘medical information’ about diseases compared to ‘health information’ related to a healthier life.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diseases confirmed that the two newspapers dealt mostly with cancers, followed by musculoskeletal diseases, otolaryngology, cerebral nervous system, endocrine system, circulatory system, digestive system, respiratory system and urinary system disease. The analysis results of non-disease items among the medical information agendas showed that an introduction to hospitals constituted the highest proportion, followed by medical science and medical devices. Looking at the results by newspaper, articles on hospital promotion which introduce specialized operations and surgical procedures, and deal with hospital policy and performance made up the largest number. In relation to the health information agendas, current issues/seasonal information/life information made up the highest number, followed by health habits/management/exercise/obesity/diet, pregnancy/birth/childcare, mental health, and finally beauty. In addition, both newspapers were found to provide the largest number of articles about current issues/seasonal information/living environment. Second, in relation to the image provision of health campaign articles, images were used in most of the articles. It is believed that the images are used as devices to help the public understand the medical information dealt with in articles about the health campaigns. Both newspapers used an average of two images per article, which were mainly provided by hospitals. The types of images provided were pictures of doctors, disease/image pictures, reference picture, health screening/checkup/medical treatment pictures, graphic images, and remedy/procedure/surgery scenes in the order of the frequency of use. To be more specific, disease/image pictures were used most in the Hallailbo, whereas pictures of doctors were used most in the Jemin Daily. Overall,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is difficult to find a case in which general hospitals and news agencies enter into an agreement to jointly plan and provide articles about health campaigns. It is also meaningful that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articles about health campaigns provided by local daily newspapers in a situation where an analysis of health campaign articles is mainly conducted on major national daily newspapers. In addition, this study has a practical significance in that it presents a future direction for health reports based on the findings of research. Key words: Health campaign, Health report, Health information, Medical information
      번역하기

      Due to the country’s entry into an aged society, an increase in life expectancy and income growth,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medical and health care among modern people. Moreover, their awareness of health has also changed into the manage...

      Due to the country’s entry into an aged society, an increase in life expectancy and income growth,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medical and health care among modern people. Moreover, their awareness of health has also changed into the management and promotion of health in terms of prevention of illness, not merely the absence of disease. In this light, the mass media are providing various and in-depth information through health-related sections and programs. Meanwhile, in Jeju, general hospitals and local dailies have concluded an agreement to conduct heath campaigns through newspapers to provide correct health common sense and medical knowledge to support local residents’ healthy lives. In this regar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health campaigns through a comparison of related articles in the Hallailbo with Jeju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nd the Jemin Daily with Cheju Halla General Hospital. The analysis period was five years from the point in time when the two newspapers started the health campaigns, and an analysis of the heath campaign agendas and image provision types was conducted on a total of 333 articles about the health campaigns. First, the analysis of the health campaign agendas in the newspapers found that both the Hallailbo and the Jemin Daily provided more ‘medical information’ about diseases compared to ‘health information’ related to a healthier life.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diseases confirmed that the two newspapers dealt mostly with cancers, followed by musculoskeletal diseases, otolaryngology, cerebral nervous system, endocrine system, circulatory system, digestive system, respiratory system and urinary system disease. The analysis results of non-disease items among the medical information agendas showed that an introduction to hospitals constituted the highest proportion, followed by medical science and medical devices. Looking at the results by newspaper, articles on hospital promotion which introduce specialized operations and surgical procedures, and deal with hospital policy and performance made up the largest number. In relation to the health information agendas, current issues/seasonal information/life information made up the highest number, followed by health habits/management/exercise/obesity/diet, pregnancy/birth/childcare, mental health, and finally beauty. In addition, both newspapers were found to provide the largest number of articles about current issues/seasonal information/living environment. Second, in relation to the image provision of health campaign articles, images were used in most of the articles. It is believed that the images are used as devices to help the public understand the medical information dealt with in articles about the health campaigns. Both newspapers used an average of two images per article, which were mainly provided by hospitals. The types of images provided were pictures of doctors, disease/image pictures, reference picture, health screening/checkup/medical treatment pictures, graphic images, and remedy/procedure/surgery scenes in the order of the frequency of use. To be more specific, disease/image pictures were used most in the Hallailbo, whereas pictures of doctors were used most in the Jemin Daily. Overall,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is difficult to find a case in which general hospitals and news agencies enter into an agreement to jointly plan and provide articles about health campaigns. It is also meaningful that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articles about health campaigns provided by local daily newspapers in a situation where an analysis of health campaign articles is mainly conducted on major national daily newspapers. In addition, this study has a practical significance in that it presents a future direction for health reports based on the findings of research. Key words: Health campaign, Health report, Health information, Medical inform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고령화 사회 진입과 기대수명의 증가 소득증가에 따라 현대인들의 의료와 건강 에 대한 관심이 크게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건강에 대한 인식도 바뀌고 있다 단순 . 히 질병이 없는 상태가 아니라 예방 측면에서 자신의 건강을 관리하고 증진시켜 나가는 방향으로 변화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향을 반영하여 대중매체에서는 . 건강 관련 섹션과 프로그램을 통해 다양하고 심도 있는 건강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 한편 제주지역에서는 종합병원과 지역일간지가 올바른 건강상식과 의료지식을 제공하여 지역주민의 건강한 삶을 지원하기 위해 협약을 맺고 신문지면을 통해 건 강캠페인을 실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주대학교병원과 한라일보 제주 . , 한라병원과 제민일보가 공동으로 기획 실시하고 있는 건강캠페인 기사 비교를 통 , 해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분석기간은 두 신문사가 건강캠페인을 시작한 시점부터 . 5 , 333 년 동안이며 전체 건의 건강캠페인 기사를 대상으로 건강캠페인 의제와 이미 지 제공 형태를 분석하였다. , 한라일보와 제민일보 모두 질병 먼저 신문사별 건강캠페인 의제를 분석한 결과 과 관련된 정보를 다룬 의료정보 가 건강한 삶과 관련된 건강정보 보다 많은 것으 ‘’ ‘’ 로 나타났다 의료정보 의제 중 질병에 대한 분석에서는 두 신문사 모두 암을 가장 . 많이 다루었고 이어 근골격계 질환 안이비인후과 뇌신경계 내분비계 순환기계 , , , , , , 소화기계 호흡기계 비뇨기계 질환 순으로 높게 확인되었다 , , . 의료정보 의제 중 비질병 유목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전체적으로 병원소개가 가 장 많았고 이어 의료과학 의료기기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신문사별로 살펴본 결 , , . 과에서도 전문수술 시술을 소개하고 병원정책 및 실적을 다룬 병원 홍보성 기사가 , 가장 많았다 건강정보 의제는 전체적으로 시사이슈 시즌정보 생활정보가 가장 많 . / / 았고 이어 건강습관 관리 운동 비만 다이어트 임신 출산 육아 정신건강 미용 , / / / / , / / , ,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두 신문사 모두 시사이슈 시즌정보 생활환경을 가장 많이 . / / 다루었다. 건강캠페인 기사의 이미지 제공과 관련해서는 대부분의 기사에서 이미지를 사용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건강캠페인 기사가 주로 의학 관련 정보들을 다루다 보 . 니 일반인들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장치로 사용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미지는 신 , . 문사 모두 평균 개 정도를 사용하고 있었고 주로 병원에서 제공한 것으로 확인 2 , 되었다 제공된 이미지 유형은 전체적으로 의사사진 질병 영상사진 참고사진 검 . , / , , 진 검사 진료사진 그래픽 이미지 치료 시술 수술장면 순으로 많았다 신문사별로 / / , , / / . 는 한라일보에서는 질병 영상사진이 제민일보에서는 의사사진이 많은 것으로 확인 / , 되었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는 종합병원과 언론사가 협약을 맺고 건강캠페인 기사를 공 동으로 기획 제공한 사례를 찾아보기 어렵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할 , 수 있다 또한 건강캠페인 기사 분석이 주로 중앙일간지를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 . 는 상황에서 지역에서 제공되고 있는 건강캠페인 기사에 대한 연구를 시도했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고 본다 분석결과를 통해 향후 건강보도가 나아가야 할 방향 . 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도 실무적 의의가 있다. 주제어 건강캠페인 건강보도 건강정보 의료정보
      번역하기

      고령화 사회 진입과 기대수명의 증가 소득증가에 따라 현대인들의 의료와 건강 에 대한 관심이 크게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건강에 대한 인식도 바뀌고 있다 단순 . 히 질병이 없는 상태가 아...

      고령화 사회 진입과 기대수명의 증가 소득증가에 따라 현대인들의 의료와 건강 에 대한 관심이 크게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건강에 대한 인식도 바뀌고 있다 단순 . 히 질병이 없는 상태가 아니라 예방 측면에서 자신의 건강을 관리하고 증진시켜 나가는 방향으로 변화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향을 반영하여 대중매체에서는 . 건강 관련 섹션과 프로그램을 통해 다양하고 심도 있는 건강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 한편 제주지역에서는 종합병원과 지역일간지가 올바른 건강상식과 의료지식을 제공하여 지역주민의 건강한 삶을 지원하기 위해 협약을 맺고 신문지면을 통해 건 강캠페인을 실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주대학교병원과 한라일보 제주 . , 한라병원과 제민일보가 공동으로 기획 실시하고 있는 건강캠페인 기사 비교를 통 , 해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분석기간은 두 신문사가 건강캠페인을 시작한 시점부터 . 5 , 333 년 동안이며 전체 건의 건강캠페인 기사를 대상으로 건강캠페인 의제와 이미 지 제공 형태를 분석하였다. , 한라일보와 제민일보 모두 질병 먼저 신문사별 건강캠페인 의제를 분석한 결과 과 관련된 정보를 다룬 의료정보 가 건강한 삶과 관련된 건강정보 보다 많은 것으 ‘’ ‘’ 로 나타났다 의료정보 의제 중 질병에 대한 분석에서는 두 신문사 모두 암을 가장 . 많이 다루었고 이어 근골격계 질환 안이비인후과 뇌신경계 내분비계 순환기계 , , , , , , 소화기계 호흡기계 비뇨기계 질환 순으로 높게 확인되었다 , , . 의료정보 의제 중 비질병 유목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전체적으로 병원소개가 가 장 많았고 이어 의료과학 의료기기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신문사별로 살펴본 결 , , . 과에서도 전문수술 시술을 소개하고 병원정책 및 실적을 다룬 병원 홍보성 기사가 , 가장 많았다 건강정보 의제는 전체적으로 시사이슈 시즌정보 생활정보가 가장 많 . / / 았고 이어 건강습관 관리 운동 비만 다이어트 임신 출산 육아 정신건강 미용 , / / / / , / / , ,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두 신문사 모두 시사이슈 시즌정보 생활환경을 가장 많이 . / / 다루었다. 건강캠페인 기사의 이미지 제공과 관련해서는 대부분의 기사에서 이미지를 사용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건강캠페인 기사가 주로 의학 관련 정보들을 다루다 보 . 니 일반인들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장치로 사용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미지는 신 , . 문사 모두 평균 개 정도를 사용하고 있었고 주로 병원에서 제공한 것으로 확인 2 , 되었다 제공된 이미지 유형은 전체적으로 의사사진 질병 영상사진 참고사진 검 . , / , , 진 검사 진료사진 그래픽 이미지 치료 시술 수술장면 순으로 많았다 신문사별로 / / , , / / . 는 한라일보에서는 질병 영상사진이 제민일보에서는 의사사진이 많은 것으로 확인 / , 되었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는 종합병원과 언론사가 협약을 맺고 건강캠페인 기사를 공 동으로 기획 제공한 사례를 찾아보기 어렵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할 , 수 있다 또한 건강캠페인 기사 분석이 주로 중앙일간지를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 . 는 상황에서 지역에서 제공되고 있는 건강캠페인 기사에 대한 연구를 시도했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고 본다 분석결과를 통해 향후 건강보도가 나아가야 할 방향 . 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도 실무적 의의가 있다. 주제어 건강캠페인 건강보도 건강정보 의료정보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1
      • 제 절 연구배경 및 연구목적 1 1
      •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5
      • 제 절 미디어의 의제설정기능과 건강보도 1 5
      • 국문초록
      • Ⅰ. 서론 1
      • 제 절 연구배경 및 연구목적 1 1
      •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5
      • 제 절 미디어의 의제설정기능과 건강보도 1 5
      • 제 절 헬스커뮤니케이션과 건강캠페인 2 11
      • 제 절 건강보도 관련 국내 선행연구 3 15
      •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18
      • 제 절 분석대상 1 18
      • 제 절 연구문제 2 20
      • 제 절 연구방법 3 21
      • 1. 연구대상 및 분석기간 21
      • 2. 분석방법 21
      • 3. 분석유목 22
      • 4. 코딩 및 분석 27
      • 5. 신뢰도 검증 28
      • Ⅳ. 연구결과 30
      • 제 절 연구결과 1 30
      • 1. 신문사별 건강캠페인 기사의 의제 30
      • 2. 신문사별 건강캠페인 기사의 이미지 36
      • Ⅴ. 결론 및 제언 40
      • 제 절 연구결과 요약 1 40
      • 제 절 한계 및 제언 2 44
      • 【 】 참고문헌 45
      • 【 】 Abstract 50
      • 【 】 부록 코딩지 1. 53
      • 【 】 부록 건강캠페인 기사 목록 2. 55
      • 【 】 부록 건강캠페인 기사 사례 3. 7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