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의 본연이자 궁극적인 목적은 사람다움을 실현하도록 이끌어 주는 일이다. 이와 같이 사람다움으로 나아가는 데 결정적으로 기여하는 작업이 바로 인성 교육이며, 이러한 인성 교육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2737381
2010
Korean
100
KCI등재
학술저널
1-33(33쪽)
4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교육의 본연이자 궁극적인 목적은 사람다움을 실현하도록 이끌어 주는 일이다. 이와 같이 사람다움으로 나아가는 데 결정적으로 기여하는 작업이 바로 인성 교육이며, 이러한 인성 교육의 ...
교육의 본연이자 궁극적인 목적은 사람다움을 실현하도록 이끌어 주는 일이다. 이와 같이 사람다움으로 나아가는 데 결정적으로 기여하는 작업이 바로 인성 교육이며, 이러한 인성 교육의 본연에 대한 검토와 실행을 위한 큰 틀 및 세부 방안을 마련하여 일관되게 그리고 지속적으로 강조해 나가야만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우리 교육은 도구적·단편적 지식교육에 치중한 나머지 인성 함양 교육을 매우 소홀하게 다루어 왔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정책 방안에는 개념적인 명료성과 방법상의 체계성 및 현실 적합성을 확보하는 데 한계가 있어 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인성의 핵심 요소는 무엇이고 어떻게 형성되는지, 인성 교육의 지향점은 무엇이고 교과와 비교과 활동을 통해 인성 교육을 어떻게 적용해야 하는지에 대해 심층적으로 탐색해야 하는 것은 오늘날 우리에게 주어진 진정한 교육 과업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철학적 관점과 심리학적 관점, 그리고 다양한 교육적 관점(가치·도덕·시민성·인격 교육과의 관계)을 토대로 인성 교육의 개념을 규정한 후, 도덕과와 일반 교과를 포함한 정규 교과 교육과정을 통해 인성 교육을 체계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true purpose and essence of education is to cultivate human nature in a moral way. In general, we think that efforts to contribute to the education of human beings toward humanity is character education. If these efforts are made on the basis of t...
The true purpose and essence of education is to cultivate human nature in a moral way. In general, we think that efforts to contribute to the education of human beings toward humanity is character education. If these efforts are made on the basis of the clarification of the concept and framework of ``character education``, and its contingent application, we can obtain the expected results. However, current Korean education has paid little attention to character education, only focusing on instrumental and fragmentary knowledge for the purpose of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s. Also a couple of previous plans to solve the problem have had obvious shortcoming in terms of the conceptualization of character education and validity of methods for the application of character education. In this situation, to explore the core elements of character and the process of character development, the proper direction of character education, and application methods through curriculum and extra curriculum is an extremely important task to be solved in our times. Thus, this paper tries to clarify the concept of character and character education based on philosophical, psychological, and educational perspectives, and then, present practical ways for the application of the idea through moral subject-matter education and other subject-matter education.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영돈, "효과적인 학교 인성교육의 방향 : 범교과 학습과 도덕과 학습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9) : 127-150, 2009
2 신창호, "함양과 체찰" 미다스북스 2010
3 박균섭, "학교 인성교육론 비판" 한국교육철학회 (35) : 35-69, 2008
4 교육과학기술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과학기술부 2009
5 교육과학기술부, "창의와 배려의 조화를 통한 인재 육성-창의·인성교육 기본방안" 2010
6 이홍우, "지식의 구조와 교과" 교육과학사 2008
7 교육과학기술부,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Ⅱ-국어, 도덕, 사회" 교육과학기술부 2009
8 조난심, "인성교육과 도덕교과서" 철학문화연구소 (겨울) : 1995
9 손봉호, "인성교육: 필요, 성격, 방법" 철학문화연구소 (겨울) : 1995
10 김성기, "인성교육 특성화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전통유학 교육관의 반성적 고찰" 동양철학연구회 39 : 415-454, 2004
1 윤영돈, "효과적인 학교 인성교육의 방향 : 범교과 학습과 도덕과 학습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9) : 127-150, 2009
2 신창호, "함양과 체찰" 미다스북스 2010
3 박균섭, "학교 인성교육론 비판" 한국교육철학회 (35) : 35-69, 2008
4 교육과학기술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과학기술부 2009
5 교육과학기술부, "창의와 배려의 조화를 통한 인재 육성-창의·인성교육 기본방안" 2010
6 이홍우, "지식의 구조와 교과" 교육과학사 2008
7 교육과학기술부,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Ⅱ-국어, 도덕, 사회" 교육과학기술부 2009
8 조난심, "인성교육과 도덕교과서" 철학문화연구소 (겨울) : 1995
9 손봉호, "인성교육: 필요, 성격, 방법" 철학문화연구소 (겨울) : 1995
10 김성기, "인성교육 특성화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전통유학 교육관의 반성적 고찰" 동양철학연구회 39 : 415-454, 2004
11 한국교육학회, "인성교육" 문음사 2001
12 강선보, "인성교육" 양서원 2008
13 문용린, "인성 및 시민교육: 교육내용과 방법적 원리의 재개발" 1997
14 문용린, "이제는 창의 인성 교육이다" 2010
15 조일수, "윤리와 정치의 관계에 대한 연구: 도덕․윤리과 교육에서 다루는 정치 관련 교육에의 함의를 중심으로" 한국윤리교육학회 (18) : 47-67, 2009
16 추병완, "열린 도덕과 교육론" 도서출판 하우 2000
17 박병기, "동양 도덕교육론의 현대적 해석" 인간사랑 2009
18 박철홍, "도덕을 중심에 두는 학교교육. in: 도덕성 회복과 교육" 교육과학사 2002
19 이돈희, "도덕성의 회복을 위하여. in: 도덕성의 회복과 교육" 교육과학사 2002
20 김기민, "도덕교육의 세가지 방식. in: 삶의 원리와 도덕교육" 제주도교육위원회 1988
21 정창우, "도덕교육의 새로운 해법" 교육과학사 2006
22 김태훈, "도덕과에서의 인성교육 방안 연구" (8) : 1997
23 김명진, "도덕과 교육을 통한 인성교육의 방법 연구" 한국윤리교육학회 (14) : 181-206, 2007
24 정창우, "도덕과 교육에서 시민교육 영역의 교육내용과 지도 방법"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6) : 1-28, 2008
25 정세구,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방식의 개선방안 탐색" 2003
26 윤현진, "도덕과 교육 내용 개선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27 이계학, "덕성함양의 전통적 방법론"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8
28 박찬구, "개념과 주제로 본 우리들의 윤리학" 서광사 2006
29 교육개혁위원회, "『세계화, 정보화 시대를 주도하는 신교육체제 수립을 위한 교육개혁방안』, 제2차 대통령 보고서" 1995
30 Narvaez, D., "Triune ethics and moral personality. in: Personality, identity, and charact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31 McAdams, D. P., "The moral personality. in: Personality, identity, and charact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32 Blasi, A., "The moral functioning of mature adults and the possibility of fair moral reasoning. in: Personality, identity, and charact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33 Taylor, M., "The development of values through the school curriculum. in: Values education for citizens in the new century" The Chinese University Press 2006
34 McAdams, D. P., "The Person: An integrated introduction to personality psychology" Harcourt 2001
35 Flanagan, O., "Moral science? Still metaphysical after all these years. in: Personality, identity, and charact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36 Walker, L., "Moral personality of Brave and caring exemplars" 93 (93): 2007
37 Walker, L., "Moral personality exemplified. in: Personality, identity, and charact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38 Kupperman, J., "Character" Oxford University Press 1991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02-24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Ethics Studies Association ->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 ![]() |
2014-02-24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Ethics Studies -> Journal of Ethics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12-20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국민윤리학회 -> 한국윤리학회 | ![]() |
2006-12-20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국민윤리연구 -> 윤리연구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Ethics Studies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3 | 0.43 | 0.4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1 | 0.4 | 0.578 | 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