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사고발생 원인으로 기여되는 불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메타분석 = Meta-analysis of Factors Related to Unsafe Behaviors Contributing to the Causes of Industrial Acci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6932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rganize the factors and variables that affect workers' anxiety behaviors that contribute to industrial accidents in order to reduce the number of deaths from industrial accidents in Korea, and to compare and analyze the overall relationship of related variables and the size of their influence.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we collect materials through searching and discussing previous research suitable for the research theme set according to the meta-analysis stage and procedure, asking questions about the research theme, and selecting target papers that can be investigated and extracted from previous research. Research quality We proceeded in the order of verification, data coding, data analysis, interpretation of results, and reporting.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relatively few papers that specifically presented the correlation of multiple independent factors influencing.
      Organize the factors that affect anxious behavior or safety behavior presented in previous studies, and examine workers' "individual factors", "external factors" (organizational regulations), and "external factors" (atmosphere) that affect anxious behavior. classified into A meta-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factor classified into nine factors and anxiety behavior, an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Unsafe behavior that contributes to the occurrence of accidents may appear due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personality, age, and psychology of individual workers, but external factors other than human factors may be intentional or unintentional. It was insufficient to fully grasp the possibility, and among the factors that influence unsafe behavior, I confirmed the relative magnitude of the effect of each factor.
      As a result of the meta-analysis, the effects of external factors (organizational rules) on workers such as organization and safety education were identified as factors that influence the induction of anxious behavior and the induction of safe behavior. The effect size was the largest at 0.617 (95% CI: 0.4729 to 0.7239) ), followed by the individual human factor at 0.4768 (95% CI: 0.3993 to 0.5475), followed by the external factor (climate) at 0.3367. (95% CI: 0.1992-0.4611).
      This is done by analyzing the factors that can induce safe behavior of workers and prevent anxiety behavior from being induced, apart from the safety of machinery and equipment or the safe operation of processes, in order to reduce industrial accidents. It was meaningful to confirm more decisive influencing factors by comparatively comparing the magnitude of the effects of individual factors.
      The subordinate factors of human factors (individual) include both job stress that has a positive (+) relationship with anxiety behavior and job stress other than job satisfaction that has a negative (-) relationship with anxiety behavior. It was confirmed that some of the sub-factors of human factors (individuals) showed factors that showed conflicting relationships. Among human factors, the magnitude of the effect of affecting anxious behavior as an individual factor was 0.3846 (95% CI: 0.3209-0.4448) for job stress, 0.4060 (95% CI: 0.0679-0.6620) for age, and 0.4060 (95% CI: 0.0679-0.6620). 0.3623 to 0.4291) and there is no big difference. Except for human factors (individuals), external factors (organizational regulations) and external factors (atmosp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because their confidence intervals do not include 0, and the results of homogeneity verification all appeared to be ≧75%, demonstrating that not only was inter-study variability indeed present, but that the heterogeneity of each effect size was substantial.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unsafe behaviors contributing to occupational accidents of workers had the largest effect size due to external factors such as organizational regulations and safety education. Internal factors such as workers' safety awareness, job stress, fatigue, and age, that is, human factors, showed a medium effect size, and job satisfaction showed a large effect size. Finally, among external factors, communication and safety leadership showed medium effect sizes.
      Therefore, management elements for controlling, adjusting, or reducing anxious behavior for accident prevention are compliance with safety management regulations and procedures within the organization, effective implementation of safety education, and creation of a climate that prioritizes safety. A focus on accountability and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factors is effectiv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rganize the factors and variables that affect workers' anxiety behaviors that contribute to industrial accidents in order to reduce the number of deaths from industrial accidents in Korea, and to compare and analyze t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rganize the factors and variables that affect workers' anxiety behaviors that contribute to industrial accidents in order to reduce the number of deaths from industrial accidents in Korea, and to compare and analyze the overall relationship of related variables and the size of their influence.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we collect materials through searching and discussing previous research suitable for the research theme set according to the meta-analysis stage and procedure, asking questions about the research theme, and selecting target papers that can be investigated and extracted from previous research. Research quality We proceeded in the order of verification, data coding, data analysis, interpretation of results, and reporting.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relatively few papers that specifically presented the correlation of multiple independent factors influencing.
      Organize the factors that affect anxious behavior or safety behavior presented in previous studies, and examine workers' "individual factors", "external factors" (organizational regulations), and "external factors" (atmosphere) that affect anxious behavior. classified into A meta-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factor classified into nine factors and anxiety behavior, an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Unsafe behavior that contributes to the occurrence of accidents may appear due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personality, age, and psychology of individual workers, but external factors other than human factors may be intentional or unintentional. It was insufficient to fully grasp the possibility, and among the factors that influence unsafe behavior, I confirmed the relative magnitude of the effect of each factor.
      As a result of the meta-analysis, the effects of external factors (organizational rules) on workers such as organization and safety education were identified as factors that influence the induction of anxious behavior and the induction of safe behavior. The effect size was the largest at 0.617 (95% CI: 0.4729 to 0.7239) ), followed by the individual human factor at 0.4768 (95% CI: 0.3993 to 0.5475), followed by the external factor (climate) at 0.3367. (95% CI: 0.1992-0.4611).
      This is done by analyzing the factors that can induce safe behavior of workers and prevent anxiety behavior from being induced, apart from the safety of machinery and equipment or the safe operation of processes, in order to reduce industrial accidents. It was meaningful to confirm more decisive influencing factors by comparatively comparing the magnitude of the effects of individual factors.
      The subordinate factors of human factors (individual) include both job stress that has a positive (+) relationship with anxiety behavior and job stress other than job satisfaction that has a negative (-) relationship with anxiety behavior. It was confirmed that some of the sub-factors of human factors (individuals) showed factors that showed conflicting relationships. Among human factors, the magnitude of the effect of affecting anxious behavior as an individual factor was 0.3846 (95% CI: 0.3209-0.4448) for job stress, 0.4060 (95% CI: 0.0679-0.6620) for age, and 0.4060 (95% CI: 0.0679-0.6620). 0.3623 to 0.4291) and there is no big difference. Except for human factors (individuals), external factors (organizational regulations) and external factors (atmosp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because their confidence intervals do not include 0, and the results of homogeneity verification all appeared to be ≧75%, demonstrating that not only was inter-study variability indeed present, but that the heterogeneity of each effect size was substantial.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unsafe behaviors contributing to occupational accidents of workers had the largest effect size due to external factors such as organizational regulations and safety education. Internal factors such as workers' safety awareness, job stress, fatigue, and age, that is, human factors, showed a medium effect size, and job satisfaction showed a large effect size. Finally, among external factors, communication and safety leadership showed medium effect sizes.
      Therefore, management elements for controlling, adjusting, or reducing anxious behavior for accident prevention are compliance with safety management regulations and procedures within the organization, effective implementation of safety education, and creation of a climate that prioritizes safety. A focus on accountability and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factors is effectiv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산업재해 사망자를 줄이기 위해 산업재해 발생에 기여하는 근로자의 불안전한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변수를 정리하고, 관련 변수의 전반적인 관계와 그 영향을 비교 분석하는데 있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하여 메타분석 단계와 절차에 따라서 설정된 연구 주제에 적합한 선행 연구 검색과 고찰, 연구 주제에 대한 질문 제기, 선행 연구를 조사하고 추출할 수 있는 대상 논문 선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연구 품질 검증, 데이터 코딩, 데이터 분석, 결과 해석 및 보고의 순서를 진행하였는데 선행연구 검색 시 불안전행동과 관련이 있는 요인들이 제시된 연구결과물 중에서도 불안전행동을 종속변수로 하여 불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독립요인들의 상관관계를 구체적으로 제시한 논문이 비교적 많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불안전행동 또는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정리하여 불안전행동에 영향을 주는 근로자 “개인요인”, “외적요인”(조직규정), “외적요인”(분위기)으로 구분하였으며 하위 9개의 요인으로 구분된 각각의 요인들과 불안전행동과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사고발생에 기여되는 불안전행동은 근로자 개인의 성격, 연령, 심리 등의 개인특성에 기인되어 나타나기도 하지만 인적요인 이외의 외부요인은 의도적 또는 비의도적으로 유발되는 불안전한행동이 억제하거나 통제될 수 있음을 충분히 알아내는 데에는 미흡했고, 불안전한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중에 상대적으로 요인별 영향의 크기를 확인하였다.
      메타분석 결과로서 불안전행동을 유발하는데 영향을 주거나 안전한 행동을 유도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조직과 안전교육과 같은 근로자의 외적요인(조직규정)의 효과 크기가 0.617(95% CI: 0.4729 ~ 0.72 39)로 가장 크고, 개인의 인적요인의 효과크기는 0.4768((95% CI: 0.3993 ~ 0.5475), 그 다음으로 외적요인(분위기)이 0.3367(95% CI: 0.1992~0.4611)로 나타났다.
      이는 산업재해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기계기구 및 설비의 안전화 또는 공정 안전운전과 별개로 작업자의 안전행동을 유도하고 불안전행동이 유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요인을 분석함으로서 개별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 효과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비교함으로써 보다 결정적인 영향 요인을 확인하는데 의의가 있었다.
      인적요인(개인)의 하위 요인에는 불안전행동에 정(+)의 관계를 미치는 직무스트레스와 부(-)의 관계를 미치는 직무만족도외 직무스트레스가 함께 포함되어 서로의 효과를 상쇄시킬 수 있고 인적요인(개인)의 하위 요인들 중에도 상반된 관계를 보이는 요인을 보이는 경우가 일부 확인되었다. 인적요인 중 개별요인으로서 불안전행동에 영향을 주는 효과의 크기는 직무스트레스가 0.3846(95% CI: 0.3209 ~ 0.4448) 가장 크고, 연령은 0.4060(95%CI: 0.0679~ 0.6604), 피로도 0.3962(CI: 0.3623~0.4291)와 큰 차이가 없음을 확인했다. 인적요인(개인)을 제외한 외적요인(조직규정), 외적요인(분위기) 2개 영향 요인은 모두 신뢰구간에 0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또 동질성 검증 결과가 모두 ≥ 75%로 나타나 연구 간의 분산이 실제로 존재할 뿐 아니라 각 효과크기의 이질성이 상당함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근로자의 산업재해 발생에 기여되는 불안전행동은 조직 규정과 안전교육과 같은 외적요인 변인에 의한 효과 크기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내적요인으로서 개인의 직무만족도는 큰 효과 크기로 나타났고, 안전의식, 직무스트레스, 피로도, 연령과 인적요인이 중간 효과 크기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외적 요인 중 의사소통과 안전리더십은 중간 효과 크기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고예방을 위한 불안전행동의 통제, 조절 또는 감소를 위한 관리 요소는 조직 내 안전관리규정과 절차 준수, 안전교육의 효과적인 실시로 안전을 우선하는 풍토 조성과 안전책무 및 권한부여와 조직요인에 중점을 두는 것이 효과적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산업재해 사망자를 줄이기 위해 산업재해 발생에 기여하는 근로자의 불안전한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변수를 정리하고, 관련 변수의 전반적인 관계와 그 영향...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산업재해 사망자를 줄이기 위해 산업재해 발생에 기여하는 근로자의 불안전한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변수를 정리하고, 관련 변수의 전반적인 관계와 그 영향을 비교 분석하는데 있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하여 메타분석 단계와 절차에 따라서 설정된 연구 주제에 적합한 선행 연구 검색과 고찰, 연구 주제에 대한 질문 제기, 선행 연구를 조사하고 추출할 수 있는 대상 논문 선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연구 품질 검증, 데이터 코딩, 데이터 분석, 결과 해석 및 보고의 순서를 진행하였는데 선행연구 검색 시 불안전행동과 관련이 있는 요인들이 제시된 연구결과물 중에서도 불안전행동을 종속변수로 하여 불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독립요인들의 상관관계를 구체적으로 제시한 논문이 비교적 많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불안전행동 또는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정리하여 불안전행동에 영향을 주는 근로자 “개인요인”, “외적요인”(조직규정), “외적요인”(분위기)으로 구분하였으며 하위 9개의 요인으로 구분된 각각의 요인들과 불안전행동과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사고발생에 기여되는 불안전행동은 근로자 개인의 성격, 연령, 심리 등의 개인특성에 기인되어 나타나기도 하지만 인적요인 이외의 외부요인은 의도적 또는 비의도적으로 유발되는 불안전한행동이 억제하거나 통제될 수 있음을 충분히 알아내는 데에는 미흡했고, 불안전한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중에 상대적으로 요인별 영향의 크기를 확인하였다.
      메타분석 결과로서 불안전행동을 유발하는데 영향을 주거나 안전한 행동을 유도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조직과 안전교육과 같은 근로자의 외적요인(조직규정)의 효과 크기가 0.617(95% CI: 0.4729 ~ 0.72 39)로 가장 크고, 개인의 인적요인의 효과크기는 0.4768((95% CI: 0.3993 ~ 0.5475), 그 다음으로 외적요인(분위기)이 0.3367(95% CI: 0.1992~0.4611)로 나타났다.
      이는 산업재해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기계기구 및 설비의 안전화 또는 공정 안전운전과 별개로 작업자의 안전행동을 유도하고 불안전행동이 유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요인을 분석함으로서 개별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 효과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비교함으로써 보다 결정적인 영향 요인을 확인하는데 의의가 있었다.
      인적요인(개인)의 하위 요인에는 불안전행동에 정(+)의 관계를 미치는 직무스트레스와 부(-)의 관계를 미치는 직무만족도외 직무스트레스가 함께 포함되어 서로의 효과를 상쇄시킬 수 있고 인적요인(개인)의 하위 요인들 중에도 상반된 관계를 보이는 요인을 보이는 경우가 일부 확인되었다. 인적요인 중 개별요인으로서 불안전행동에 영향을 주는 효과의 크기는 직무스트레스가 0.3846(95% CI: 0.3209 ~ 0.4448) 가장 크고, 연령은 0.4060(95%CI: 0.0679~ 0.6604), 피로도 0.3962(CI: 0.3623~0.4291)와 큰 차이가 없음을 확인했다. 인적요인(개인)을 제외한 외적요인(조직규정), 외적요인(분위기) 2개 영향 요인은 모두 신뢰구간에 0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또 동질성 검증 결과가 모두 ≥ 75%로 나타나 연구 간의 분산이 실제로 존재할 뿐 아니라 각 효과크기의 이질성이 상당함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근로자의 산업재해 발생에 기여되는 불안전행동은 조직 규정과 안전교육과 같은 외적요인 변인에 의한 효과 크기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내적요인으로서 개인의 직무만족도는 큰 효과 크기로 나타났고, 안전의식, 직무스트레스, 피로도, 연령과 인적요인이 중간 효과 크기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외적 요인 중 의사소통과 안전리더십은 중간 효과 크기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고예방을 위한 불안전행동의 통제, 조절 또는 감소를 위한 관리 요소는 조직 내 안전관리규정과 절차 준수, 안전교육의 효과적인 실시로 안전을 우선하는 풍토 조성과 안전책무 및 권한부여와 조직요인에 중점을 두는 것이 효과적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3. 연구의 질문
      • 4. 연구의 구성
      • Ⅰ. 서 론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3. 연구의 질문
      • 4. 연구의 구성
      • Ⅱ. 이론적 배경
      • 1. 인적요인의 배경이론
      • 가. 인간행동을 제어하는 메커니즘
      • 나. 인식과 지각
      • 다. 주의력
      • 라. 업무수행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마. 개인의 성격
      • 2. 인적오류에 의한 사고 발생 모델
      • 가. 사고 원인에 대한 기본개념
      • 나. 사고인과 모델
      • 다. 인간이 실수를 하는 이유
      • 3. 불안전행동 영향 요인 및 선행연구 고찰
      • 가. 불안전행동 특성과 불안전행동 유발요인
      • 나. 불안전행동 영향 요인에 대한 선행연구
      • Ⅲ. 연구방법
      • 1. 연구모형 설정
      • 2. 연구설계
      • 가. 1단계: 연구주제에 대한 질문제기
      • 나. 2단계: 선행연구 검색 및 대상논문 선정
      • 다. 3단계: 선행연구의 질 평가 및 데이터 코딩
      • 라. 4단계: 데이터분석(효과 크기 계산)
      • 마. 5단계: 결과해석 및 보고
      • 3. 연구 자료의 분석 및 선정
      • 4. 자료의 코딩
      • 5. 분석방법
      • 가. 출판편향검증
      • 나. 효과크기 계산
      • 다. 동질성검증
      • 라. 하위집단분석
      • 마. 조절효과분석
      • 바. 독립성 가정위반 문제
      • Ⅳ. 연구결과
      • 1. 분석대상 논문의 일반적 특성
      • 2. 출판편향 검증 결과
      • 3. 효과크기 분석 결과
      • 가. 불안전행동에 영향을 주는 변인의 전체 평균효과 크기
      • 나. 불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하위요인들의 평균효과 크기
      • 다. 조절효과분석
      • 라. 논의
      • Ⅴ. 결론
      • 1. 요약
      • 2. 결론
      • 3. 시사점 및 한계점
      • 4. 연구 결과에 따른 제안
      • 참고문헌
      • 영문초록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