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경복궁 소방방재시스템 구축을 위한 GPR탐사 활용성 연구 = Study on GPR Prospecting Utilization for Fire-Prevention System of Gyeongbok Pala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110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fire-prevention system of the four major palaces, at which a considerable portion of the major architectures are concentrated, might be rated to be very inadequate. At present, the fire-extinguishing facilities at each structure are equipped with only a few extinguishers, so they're in acute need of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atic fire-prevention system.
      Accordingly, this study understood the installation risk consequent on the distribution scope of the buried cultural properties by each path on the basis of the design for fire-extinguishing piping paths which is in progress as a part of the establishment of the fire-prevention system of Gyeogbok Palace among the four major palaces.
      In this study, GPR(Ground Penetrating Radar)-prospecting was used for the distribution of the buried cultural properties at major areas of Gyeongbok Palace. And we analyzed the buried cultural properties for risk of potentially damaging the historical site in time of installing fire-extinguishing piping through GPR survey results.
      The characteristic of this study is noteworthy in that it was done by linking up the establishment of the fire-prevention system of Gyeongbok Palace with GPR-prospecting of the buried cultural properties. This research hopes that GPR-prospecting method of buried cultural properties will be aggressively made the best use of an minimization damage of theirs through the further establishment of fire-prevention system for the structures in historical sites.
      번역하기

      The fire-prevention system of the four major palaces, at which a considerable portion of the major architectures are concentrated, might be rated to be very inadequate. At present, the fire-extinguishing facilities at each structure are equipped with ...

      The fire-prevention system of the four major palaces, at which a considerable portion of the major architectures are concentrated, might be rated to be very inadequate. At present, the fire-extinguishing facilities at each structure are equipped with only a few extinguishers, so they're in acute need of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atic fire-prevention system.
      Accordingly, this study understood the installation risk consequent on the distribution scope of the buried cultural properties by each path on the basis of the design for fire-extinguishing piping paths which is in progress as a part of the establishment of the fire-prevention system of Gyeogbok Palace among the four major palaces.
      In this study, GPR(Ground Penetrating Radar)-prospecting was used for the distribution of the buried cultural properties at major areas of Gyeongbok Palace. And we analyzed the buried cultural properties for risk of potentially damaging the historical site in time of installing fire-extinguishing piping through GPR survey results.
      The characteristic of this study is noteworthy in that it was done by linking up the establishment of the fire-prevention system of Gyeongbok Palace with GPR-prospecting of the buried cultural properties. This research hopes that GPR-prospecting method of buried cultural properties will be aggressively made the best use of an minimization damage of theirs through the further establishment of fire-prevention system for the structures in historical sit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주요 건축문화재가 상당부분 밀집해 있는 4대궁 소방방재시스템은 열악한 편에 속한다. 이에 문화재청은 2010년부터 4대궁 건축문화재 소방방재를 위한 시스템을 구축 중에 있다. 본 연구는 4대궁 중에서 경복궁 소방방재시스템 구축의 일환으로 진행되고 있는 소화배관 경로 설계(안)을 기본으로 각 경로별 매장문화재 분포범위에 따른 설치위험도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경복궁 주요지역의 매장문화재 분포를 유적탐사(물리탐사)법 중 지하투시레이다(GPR, Ground Penetrating Radar) 탐사 방법을 사용하여 파악하였다. 지하 수평적인 탐사결과를 분석하여 소화배관 설치 시 유구 훼손 가능성에 대한 위험도를 파악, 이를 바탕으로 경로별 설치 위험도를 제시하였다.
      또한 소화배관 설치 위험도에 따른 소화배관 경로의 수정․보완 뿐 아니라 지하 하부에 대한 매장문화재 고 분해능 영상을 제공함으로서 경복궁 주요지역 건물지 배치상황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이번 연구로 얻어진 매장문화재 분포 결과는 향후 경복궁 복원정비 시에 좋은 참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번 연구에서 유적탐사가 유적지(예 : 4대궁 및 국가사적지 등)의 건축문화재 소방방재시스템 구축과 관련된 연계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향후에 문화재방재 및 매장문화재 훼손 최소화의 일환으로 유적탐사의 활용성이 높아지길 기대해 본다.
      번역하기

      주요 건축문화재가 상당부분 밀집해 있는 4대궁 소방방재시스템은 열악한 편에 속한다. 이에 문화재청은 2010년부터 4대궁 건축문화재 소방방재를 위한 시스템을 구축 중에 있다. 본 연구는 4...

      주요 건축문화재가 상당부분 밀집해 있는 4대궁 소방방재시스템은 열악한 편에 속한다. 이에 문화재청은 2010년부터 4대궁 건축문화재 소방방재를 위한 시스템을 구축 중에 있다. 본 연구는 4대궁 중에서 경복궁 소방방재시스템 구축의 일환으로 진행되고 있는 소화배관 경로 설계(안)을 기본으로 각 경로별 매장문화재 분포범위에 따른 설치위험도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경복궁 주요지역의 매장문화재 분포를 유적탐사(물리탐사)법 중 지하투시레이다(GPR, Ground Penetrating Radar) 탐사 방법을 사용하여 파악하였다. 지하 수평적인 탐사결과를 분석하여 소화배관 설치 시 유구 훼손 가능성에 대한 위험도를 파악, 이를 바탕으로 경로별 설치 위험도를 제시하였다.
      또한 소화배관 설치 위험도에 따른 소화배관 경로의 수정․보완 뿐 아니라 지하 하부에 대한 매장문화재 고 분해능 영상을 제공함으로서 경복궁 주요지역 건물지 배치상황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이번 연구로 얻어진 매장문화재 분포 결과는 향후 경복궁 복원정비 시에 좋은 참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번 연구에서 유적탐사가 유적지(예 : 4대궁 및 국가사적지 등)의 건축문화재 소방방재시스템 구축과 관련된 연계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향후에 문화재방재 및 매장문화재 훼손 최소화의 일환으로 유적탐사의 활용성이 높아지길 기대해 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손호웅, "지반환경물리탐사" 시그마프레스 2000

      2 민경덕, "응용지구물리학" 우성 1986

      3 Oh, H.D, "chaeological GPR Survey at Burial Unmounded Area in Pubchonri Wonju" 40-41, 2001

      4 Nishimura, Y, "Joint Research Project: The Agency of Cultural Affairs" Society for American Archaeology 225-, 1998

      5 Ciminale, M, "Investigation of fire ash residues using mineral magnetism" Wiley 8 (8): 227-237, 2001

      6 Goodman, D, "Ground-penetrating radar simulation in engineering and archaeology" 59 (59): 224-232, 1994

      7 Nishimura, Y, "Ground Penetrating Radar Survey at Wroxeter" 7 : 101-105, 2000

      8 Linford, N.T, "Geophysical evidence for fires in Antiquity: Preliminary results from an experimental study, Paper given at the EGSXXIV general assembly in the hague" Wiley 8 (8): 211-225, 2001

      9 Goodman, D, "GPR time slices in archaeological prospection" 2 : 85-89, 1995

      10 Goodman, D, "A ground radar survey of medieval kiln sites in Suzu city" 36 (36): 317-326, 1994

      1 손호웅, "지반환경물리탐사" 시그마프레스 2000

      2 민경덕, "응용지구물리학" 우성 1986

      3 Oh, H.D, "chaeological GPR Survey at Burial Unmounded Area in Pubchonri Wonju" 40-41, 2001

      4 Nishimura, Y, "Joint Research Project: The Agency of Cultural Affairs" Society for American Archaeology 225-, 1998

      5 Ciminale, M, "Investigation of fire ash residues using mineral magnetism" Wiley 8 (8): 227-237, 2001

      6 Goodman, D, "Ground-penetrating radar simulation in engineering and archaeology" 59 (59): 224-232, 1994

      7 Nishimura, Y, "Ground Penetrating Radar Survey at Wroxeter" 7 : 101-105, 2000

      8 Linford, N.T, "Geophysical evidence for fires in Antiquity: Preliminary results from an experimental study, Paper given at the EGSXXIV general assembly in the hague" Wiley 8 (8): 211-225, 2001

      9 Goodman, D, "GPR time slices in archaeological prospection" 2 : 85-89, 1995

      10 Goodman, D, "A ground radar survey of medieval kiln sites in Suzu city" 36 (36): 317-326, 199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3 0.43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 0.602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