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중요무형문화재 전통춤 분야 보존·전승의 발전방안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921284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2009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09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793.31 판사항(21)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iii, 117 L. : 챠트 ; 27 cm.

      • 일반주기명

        부록 : "중요무형문화재 전통춤 분야 보존·전승에 대한 무용전공자의 인식과 발전 방안 조사" 수록
        참고문헌 : 106-107장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숙명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중요무형문화재 전통춤 분야의 보존·전승의 발전방안을 연구하였다. 그동안 우리의 전통문화는 다양한 대중매체를 통해 들어오는 외래문명의 영향을 많이 받아 왔고, 현재...

      본 연구에서는 중요무형문화재 전통춤 분야의 보존·전승의 발전방안을 연구하였다.
      그동안 우리의 전통문화는 다양한 대중매체를 통해 들어오는 외래문명의 영향을 많이 받아 왔고, 현재에도 새로운 문화가 빠른 속도로 전파되고 있으며 지금 세계는 문화전쟁의 시대로 접어들었다. 지나친 진보에 의해 우리의 전통문화가 외면당하고 소산의 위험에 놓이지 않기 위해 우리는 독창적인 문화 창조를 위한 끊임없는 노력이 필요하며 독창적인 문화는 민족적 정서가 내포된 전통문화이어야 한다. 이러한 전통문화는 문화재라고 하는 새로운 가치로서 탄생한다. 문화재 중에서도 우리나라의 무형문화재는 오랜 역사 속에 우리 민족이 공감대를 형성하며 전해 내려온 전통문화예술로서, 우리 민족의 정서와 삶이 고스란히 깃들어 있는 가치성이 매우 높은 문화재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무형문화재는 형체가 있어 고정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는 유형문화재와는 달리 형체가 없어 항상 가변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무형문화재를 보존·전승하지 않으면 영원히 사라져 커다란 문화적 손실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절실하게 보존·전승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갖게 된다. 또한 인간을 매개로 하는 전승으로 사회적 환경변화에 민감하기 때문에 항상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효율적인 보존·전승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보존·전승의 현황과 실태에 대한 끊임없는 분석이 필요하며, 현대문명에 밀려 사라져가는 전통문화 중 보존 가치가 높은 무형문화재를 국가 또는 시·도에서 지정하여 보존·전승시키는 것은 민족문화의 맥을 잇는 새로운 문화 창조의 기반을 조성하고 국민의 문화적 향상을 도모하며 아울러 인류문화의 발전에 기여함에 본 연구의 필요성과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는 무형문화재에 대한 참고문헌과 선행논문, 문화재보호법의 내용과 문화재청의 세부현황 등을 참고하여 분석·정리하였으며, 무용전공자들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한 설문지를 통해 연구하였다. 연구방법에 따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중요무형문화재 전통춤분야 보존·전승의 문제점이다.
      첫째, 중요무형문화재 지정 및 보유자 인정기준에 대한 문제점이다. 춤의 이론에서 논하는 춤의 유형 또는 춤의 기능상 분류와 무형문화재지정유형이 일치하지 않는다. 또한 전통춤 분야 지정 기준에서 지정종목에 대한 구체적 한정기준이 없다.
      둘째, 중요무형문화재 지정 및 보유자 인정 절차에 대한 문제점이다. 무형문화재 지정이 다른 유형의 문화재에 비해 산발적이고 개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지정조사의 허술한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지정심의과정 중에 객관적인 평가기준을 가지고 심사하기 보다는 주관적인 기준으로 이루어져 심사의 공정성이 결여되고 있다.
      셋째, 전통춤 분야 중요무형문화재 보유자들의 평균연령이 72.5세의 고령으로, 전승활동의 어려움이 예상된다.
      넷째, 이수증의 무분별한 발급과 이수자들의 향후활동이 관리의 미흡이다. 보유자의 고유 권한으로 인한 이수증 발급으로 인해 이수자의 수가 무분별하게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따른 이수자의 향후활동에 대한 관리는 전혀 되고 있지 않고 있다.
      다섯째, 전통춤 분야의 지정종목 수가 빈약하다. 전통춤 분야의 지정종목 수는 총 7종목으로 1990년 10월 10일을 마지막으로 전통춤 분야의 종목지정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여섯째, 전수교육의 문제점이다. 교육의 목표나 이념이 없고, 전수교육기간이 정해져 있지 않으며 전수교육생 정원의 제한이 없다. 무형문화재 전수교육을 보유자의 자율성에 맡기고 있다 보니 전수교육과정상에서 말할 수 없는 부작용과 폐단이 발생하고 있다.
      일곱째, 중요무형문화재 전통춤 분야 종목이 입주된 전수교육관은 총 4개관으로 전통춤 분야 보존·전승을 위한 전수교육관이 부족하다.
      다음은 문제점에 따른 중요무형문화재 전통춤 분야 보존·전승의 발전을 위한 대안과 제안이다.
      첫째, 중요무형문화재 전통춤 분야의 종목지정기준을 명확하게 제시하고 한정기준을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둘째, 보유자 지정에 있어서 전수교육 연수에 따라 점수화하여 보유자 인정에 있어서 공정성을 높이고 또한 공연횟수나 강습회등 전수교육횟수를 서류를 제출하는 방식으로 하여 점수화하고 문화재위원들의 인정정도를 점수화하여 공정성과 객관성을 높이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셋째, 보유자 전원이 사망하여 그 종목의 전수나 재현이 불가능할지라도 지정된 종목의 해제를 하지 말고 자료의 항구적 보존과 향후 보존된 자료에 근거하여 재현하거나 복원할 기회를 갖도록 하고 교육용 자료로 활용되도록 하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보유자의 연령을 40세에서 60세로 지정하는 등의 연령제한을 두어서 고령화를 막는 것이다.
      넷째, 이수자 인정 시 심의 기준 및 절차를 조금 더 강화하여 무분별한 이수자 인정을 제한하여야 하며 이수자 인정 이후 활동에 대한 철저한 관리감독도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다섯째, 전통춤 분야 보존·전승의 활성화를 위해 전통춤 분야의 중요무형문화재위원수를 늘려 종목의 적극적인 발굴노력과 무형문화재의 지정에 있어서 객관성을 확보할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여섯째, 전수교육이 전승자를 양성하기 위한 전문교육으로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교육 이념과 목표를 명확하게 정하여 올바른 전수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며, 교육생 정원제를 도입하거나 전수자로 되기 이전의 전수교육기간을 정하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일곱째, 전통춤분야의 지정종목을 수용할 수 있는 전수교육관의 확충과 그에 따른 적절한 관리운영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여덟째, 지역적으로 문화 활동을 활성화시켜 대중들의 문화 활동이 수도권으로 집중되는 현상을 막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아홉째, 예능보유자들의 풍요로운 활동을 위한 전승활동에 따른 지원금을 확대하고 지급대상을 확대하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열번째, 다양한 대중매체를 통한 홍보와 활발한 공연, 전통문화행사나 전통문화축제, 수련회 등의 강습회의 기회를 늘려 대중화에 힘써야 한다.
      열한번째, 학교교육을 비롯한 다양한 교육체계 및 교육활동이 필요하다.
      열두번째, 대중들이 전통춤의 영상물이나 책자 등 기록물 등을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강구하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무형문화재의 전승은 인간을 매개로 하는 전승으로 사회적 환경변화에 민감하기 때문에 항상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시킬 수 있도록 본 연구와 같은 무형문화재 보존·전승의 발전방안에 대한 논의는 계속되어져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is the study on preservation-transmission development plan for the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t, Korean traditional dance field. Until now, our traditional culture has been influenced by foreign culture being introduced by various mass med...

      This is the study on preservation-transmission development plan for the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t, Korean traditional dance field. Until now, our traditional culture has been influenced by foreign culture being introduced by various mass media, and even now new culture is rapidly spreading amid the world is entering into the age of cultural war. We need to keep trying for our tradition not to be disregarded and vanished by excessive progress, and the original culture has to possess ethnic emotion. Such traditional culture is reborn as a new value, cultural asset. Korean intangible cultural asset among cultural assets is a traditional cultural arts, in which our ethnic emotion and lives are lodged making it very valuable cultural assets. Besides, the intangible cultural assets are variable since they have no forms unlike the tangible cultural asset with forms. Accordingly, when the intangible cultural asserts are not preserved .transmitted, they would vanish causing a great cultural loss and that's why the necessity and validity of the preservation and transmission of them are more desperate. Besides, they hold everlasting problems due to being sensitive to the change in social environment caused by its transmission by man.
      Therefore, a continual analysis on the statue and actual state of preservation and transmission to solve such problems and seek for an effective preservation and transmission plan, and the necessity and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claiming that the nation or cities, provinces to designate the intangible cultural asserts which are deserved to be so among the traditional culture that are vanishing by modern culture for the purpose of preparing the base for new culture creation to carry on the legacy of ethnic culture, promoting cultural improvement by nation along with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human culture.
      The bibliography and previous thesis for the intangible cultural assets, and the substance of the cultural protection act and detailed state of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were referred for analysis. adjustment as the ways of the study, and questionnaire was carried out to know the recognition of the dance major students. The study results are as below. Firstly, there exists problems of preservation-transmission of the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ts traditional dance field.
      First, it's the problem of designating of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rts & accrediting skill possessors criteria. The pattern and functional classification of dance explained by the theory of dance and the designation pattern for intangible cultural assets don't coincide. Besides, there is no concrete limit criteria what item to designate in traditional dance field.
      Second, it's the problem of designating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rts & he procedure of accrediting the skill possessors. A loose system of investing designation causes sporadical and separate designation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unlike tangible cultural assets, and the deliberation on designation is carried out by subjective assessment criteria rather than objective criteria. causing the lack of fairness.
      Third, the average age of the person possessing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rts is 72.5 years old, the age unable to do transmission activity easily.
      Fourth, indiscreet issue of certificate of achievement and incomplete management of the graduates after their completion. The number of graduates is indiscreetly increasing due to the certificate being issued by possessors' own rights. On the other hand, there is no management of the graduates' hereafter activities.
      Fifth, there is so little items designated as traditional dances. The total items of traditional dances are 7, and it was October 10, 1990 that the last item of it designated.
      Sixth, it's the problem of the education to transmit. The term of transmission education is not settled without the goal and idea of the education and no limit to the fixed number of the students. As the transmission education is up to the autonomy of the skill possessors, terrible side effect and negative effect take place.
      Seventh, there are 4 transmission education centers in where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rts are occupying which are not enough for preservation and transmission of traditional dances.
      Next is an alternative plan and proposal for preservation, transmission ,development of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rts to the problems.
      First, it's necessary to hold out clearly the criteria of designating the items of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rts traditional dance and embody the limitation criteria.
      Second, it's required to designate the possessors due to scoring by the years of transmission education. to raise the fairness, and also scoring the frequency of submitting the documents of performance number, short course , and transmission education frequency and the accreditation level by the committees of cultural assets for the purpose of raising the fairness and objectivity.
      Third, in case, the whole of the possessors died and so the transmission and revive the item is impossible, it's better not to cancel the designated item keeping the related data forever to have the chance to revive or restore the item based on the preserved data, and to use as a data for education purpose. In addition, prevent aging with age limit setting the possessors age from 40 to 60.
      Fourth, it's necessary to strengthen deliberation criteria & procedure a little more at the time of accrediting the graduates to limit indiscreet graduates production along with a keen management for their activities after being accredited is also required.
      Fifth, It's required to increase the number of committee members of traditional dance of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rts far an active finding of the item for preservation, transmission activation of the item.
      Sixth, it's necessary to set accurate education idea and goal for the transmission education for a desirable transmission education to improve as a professional education to produce transmitters, along with introduction of quota system or fixing of concrete term of transmission training.
      Seventh, the enlargement of transmission training centers to accommodate the items designated in traditional dance field and proper management and operation should be followed.
      Eighth, activation of local cultural activities is necessary to prevent the public cultural activities from being concentrated on metropolitan area.
      Ninth, the support fund for transmission activities of the arts possessors for their fertile activities needs to be enlarged and the subject for the benefit also should be extended.
      Tenth, Increasing the PR and active performance through various mass media and workshops for traditional cultural events, traditional cultural festivals, retreats are required for popularization.
      Eleventh, various education system including school education & educational activities are necessary.
      Twelfth, It's necessary to seek for the ways for the public to approach easily to the photographs , books, and documentaries of traditional dance.
      The transmission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is sensitive to the changes in social environment that it always holds problems due to its mediator, the human being. Accordingly, the discussion over a developmental plan for preservation, transmission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should be continued to solve such problem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 2. 연구의 방법 3
      • 3. 연구의 제한점 4
      • Ⅱ. 무형문화재와 보호제도의 패러다임 5
      • Ⅰ. 서론 1
      •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 2. 연구의 방법 3
      • 3. 연구의 제한점 4
      • Ⅱ. 무형문화재와 보호제도의 패러다임 5
      • 1. 무형문화재의 사적흐름 5
      • 2. 무형문화재의 정의와 기능 17
      • 3. 무형문화재의 지정목적과 기준 20
      • 4. 무형문화재의 지정(인정) 절차 25
      • 5. 무형문화재의 전승체계 26
      • Ⅲ. 중요무형문화재 전통춤 분야의 보존현황과 전승실태 31
      • 1. 중요무형문화재 전통춤 분야 보존현황 31
      • 1) 지역별 지정종목현황 31
      • 2) 전통춤 분야 지정종목현황 32
      • 2. 중요무형문화재 전통춤 분야 전승현황 33
      • 1) 전통춤 분야 전승자 현황 33
      • 2) 전통춤 분야 전승지원금 현황 40
      • 3) 전통춤 분야 전수교육관 현황 42
      • 3. 중요무형문화재 전통춤 분야 보존·전승의 문제점 47
      • 1) 중요무형문화재 지정 및 보유자 인정의 문제점 47
      • 2) 전통춤 분야 전승관리실태의 문제점 52
      • 3) 전수교육의 문제점 54
      • Ⅳ. 연구내용 및 결과 고찰 56
      • 1. 연구내용 56
      • 1) 연구 대상과 자료수집 및 절차 56
      • 2) 설문지 구성내용 56
      • 3) 자료처리방법 56
      • 2. 연구 결과 및 고찰 57
      •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57
      • 2) 중요무형문화재 전통춤 분야 보존·전승에 대한 인식도 58
      • 3) 중요무형문화재전수회관의 개선 및 활용방안 84
      • 4) 중요무형문화재 전통춤 분야 보존·전승의 발전을 위한 대안과 제안 89
      • Ⅴ. 결론 및 제언 103
      • 참고문헌 106
      • ABSTRACT 108
      • 부록 1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