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조형원리에 의한 옥상정원 디자인 분석 연구 : 서울시 지원 옥상녹화 사례지를 대상으로 = An Analysis Study of Roof Garden Design Based on the Principle Modeling[Subjected to Facilities Supported by the City of Seou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4388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increase of height and number of buildings, and population result in poor condition of city environment. In order to restore the environment and let people come in contact with the environment, green roof is looked as the most effective solution. Accordingly the federal and local governments provide the regulations, various systems, and finance. In particular, compared to other local governments, Seoul retains many experience and differentcases, because, unlike other cities, it has been supporting the green roof project since 2002. In 2008, the green roof project is renamed to green garden project, because the project involves improving city scenery and making the roof where people can come and rest. Thus, to provide a place where people can use and participate, the roof garden needs to be safe and aesthetic.
      In 2007, with the support from the government of Seoul, the roof gardens have been analyzed according to their visual and aesthetics. The research will provide data and sources to make the roof gardens more useful and artistic.
      The subject of research has been separated into four different space composition factors: planting, facility, water space, and pavement. Then it is separated into eight different principles of design: unity, proportion, contrast, repetition, balance, rhythm, symmetry, and emphasis. A field study and photographs are collected as data.
      The summary of the study results is as follows,
      1. The status of building usage is as follows. There are eight education facilities, three religious facilities, a medical, a broadcasting station, a medical treatment, and a general building. Out of these facilities, ten of them are opened to public, and other three requires permission to enter and use. Hospitals, universities, and broadcasting stations have the most number of participants.
      2. The following analysis is the application of the principle of modeling in different subjects. A design cannot be evaluated as a good design mainly because a lot of the principle of modeling is applied. But, according to the research, design that applied a lot of the principle of modeling is valued to be more useful and comfortable.
      3. The following analysis is the application of the principle of modeling in different space composition factor. First, in many facilities, repetition of plant occurs continuously because set pattern and covering pattern techniques are used. On the other hand, there is no facility that shows proportion, and there are two facilities that show rhythm. This phenomenon has occurred because, to increase the space efficiency, plants are planted on the edges and the proportion is ignored. For rhythm, the differences of heights of plants can be expressed as a skyline.
      For equipment, repetition and emphasis are used frequently. This is because using same equipment repeatedly is simple. Moreover, the safe fence brings this result. For emphasis, the pavilion and pergola occupy the visual because their sizes. On the other hand, the rhythm cannot be seen in any facility. Building fence rhythmically is a field that needs to be studied. If the principle of modeling is used more to place equipments, it will result the space to be more safe and useful.
      Out of ten facilities, eight facilities provided water space, but the depth was shallow and the size was small. For water space, free curved line technique was used rhythmically. Since water is essential for both humans and environment, it is important to provided water spaces with different designs and their own uniqueness.
      Lastly, for pavement, contrast and repetition occurred. The hardwoods and flagstone which are the most frequently used materials for pavement, result the contrast. The repetition occurs because of peculiarity of the materials. For pavement, hardwoods and flagstone are being used. To provide more artistic design, various types of material need to be used.
      4. The following analysis is the application of the space composition factor in different principle of modeling. In thirteen facilities, repetition is being used the most: 28 times, unity: 25 times, contrast and emphasis: 24 times each, symmetry: 21 times, rhythm: 13 times, balance: 10 times, and proportion 6 times.
      Repetition is used the most because it is applied in plant, equipment, and pavement. Unity is used the second most and this is because designers think for overall harmony of plant, equipment, and pavement. In the future, if proportion, balance, and rhythm is used more, the result of design can be more aesthetic and comfortable.
      5. The following analysis is the principle of modeling in different building usage. In Gye Seong Girls’ High School, there is a field where students can plant wildflowers and grow vegetables. In Presbyterian College and Theological Seminary-A (PCTS-A), there is a prayer room where the students can use freely. Also there are stages at PCTS-A and Ewha Woma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where the performances take place. Other than thse examples, there was no other special design. Therefore, in the future, designers should come up with design that is specialized for its users and differentiated from other services.
      Consequently, all the principle of modeling that is used in roof garden looked artistic, aesthetic and convenient.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to provide many more places where people and nature meet and exist in one place together.
      번역하기

      The increase of height and number of buildings, and population result in poor condition of city environment. In order to restore the environment and let people come in contact with the environment, green roof is looked as the most effective solution. ...

      The increase of height and number of buildings, and population result in poor condition of city environment. In order to restore the environment and let people come in contact with the environment, green roof is looked as the most effective solution. Accordingly the federal and local governments provide the regulations, various systems, and finance. In particular, compared to other local governments, Seoul retains many experience and differentcases, because, unlike other cities, it has been supporting the green roof project since 2002. In 2008, the green roof project is renamed to green garden project, because the project involves improving city scenery and making the roof where people can come and rest. Thus, to provide a place where people can use and participate, the roof garden needs to be safe and aesthetic.
      In 2007, with the support from the government of Seoul, the roof gardens have been analyzed according to their visual and aesthetics. The research will provide data and sources to make the roof gardens more useful and artistic.
      The subject of research has been separated into four different space composition factors: planting, facility, water space, and pavement. Then it is separated into eight different principles of design: unity, proportion, contrast, repetition, balance, rhythm, symmetry, and emphasis. A field study and photographs are collected as data.
      The summary of the study results is as follows,
      1. The status of building usage is as follows. There are eight education facilities, three religious facilities, a medical, a broadcasting station, a medical treatment, and a general building. Out of these facilities, ten of them are opened to public, and other three requires permission to enter and use. Hospitals, universities, and broadcasting stations have the most number of participants.
      2. The following analysis is the application of the principle of modeling in different subjects. A design cannot be evaluated as a good design mainly because a lot of the principle of modeling is applied. But, according to the research, design that applied a lot of the principle of modeling is valued to be more useful and comfortable.
      3. The following analysis is the application of the principle of modeling in different space composition factor. First, in many facilities, repetition of plant occurs continuously because set pattern and covering pattern techniques are used. On the other hand, there is no facility that shows proportion, and there are two facilities that show rhythm. This phenomenon has occurred because, to increase the space efficiency, plants are planted on the edges and the proportion is ignored. For rhythm, the differences of heights of plants can be expressed as a skyline.
      For equipment, repetition and emphasis are used frequently. This is because using same equipment repeatedly is simple. Moreover, the safe fence brings this result. For emphasis, the pavilion and pergola occupy the visual because their sizes. On the other hand, the rhythm cannot be seen in any facility. Building fence rhythmically is a field that needs to be studied. If the principle of modeling is used more to place equipments, it will result the space to be more safe and useful.
      Out of ten facilities, eight facilities provided water space, but the depth was shallow and the size was small. For water space, free curved line technique was used rhythmically. Since water is essential for both humans and environment, it is important to provided water spaces with different designs and their own uniqueness.
      Lastly, for pavement, contrast and repetition occurred. The hardwoods and flagstone which are the most frequently used materials for pavement, result the contrast. The repetition occurs because of peculiarity of the materials. For pavement, hardwoods and flagstone are being used. To provide more artistic design, various types of material need to be used.
      4. The following analysis is the application of the space composition factor in different principle of modeling. In thirteen facilities, repetition is being used the most: 28 times, unity: 25 times, contrast and emphasis: 24 times each, symmetry: 21 times, rhythm: 13 times, balance: 10 times, and proportion 6 times.
      Repetition is used the most because it is applied in plant, equipment, and pavement. Unity is used the second most and this is because designers think for overall harmony of plant, equipment, and pavement. In the future, if proportion, balance, and rhythm is used more, the result of design can be more aesthetic and comfortable.
      5. The following analysis is the principle of modeling in different building usage. In Gye Seong Girls’ High School, there is a field where students can plant wildflowers and grow vegetables. In Presbyterian College and Theological Seminary-A (PCTS-A), there is a prayer room where the students can use freely. Also there are stages at PCTS-A and Ewha Woma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where the performances take place. Other than thse examples, there was no other special design. Therefore, in the future, designers should come up with design that is specialized for its users and differentiated from other services.
      Consequently, all the principle of modeling that is used in roof garden looked artistic, aesthetic and convenient.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to provide many more places where people and nature meet and exist in one place togethe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인구의 도시집중과 고층, 고밀도의 건축행위로 열악해진 도시생태환경을 복원하고 사람들이 가까이에서 접할 수 있는 녹지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유일한 대안으로 옥상녹화를 주목하고 있다. 이에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에서는 법규 및 제도와 제정적인 지원을 하고 있다. 특히 서울특별시는 타 지방자치단체보다 앞서 2002년부터 옥상녹화지원 사업을 실시하면서 많은 경험과 사례를 보유하고 있다. 2008년부터 옥상을 도시경관의 향상과 도시민들이 적극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휴식공간을 제공하고 생태환경을 경험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명칭을 옥상녹화사업에서 옥상공원화사업으로 바꾸고 지원을 확대하고 있다. 이와 같이 도시민들이 적극적으로 이용하고 참여할 수 있는 공간이 되기 위해서는 안전하고 편리하며 아름다운 옥상정원을 만들어야 한다.
      이에 최근 옥상정원의 디자인 경향을 미학적으로 알아보기 위하여 2007년도 서울특별시에서 지원하여 조성된 옥상정원을 조형원리를 적용하여 시각적으로 디자인을 분석하여 앞으로 진행되는 옥상녹화 사업이 이용자들에게 편리하고 안전하며 미적으로도 아름다운 옥상정원을 디자인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대상지를 옥상정원의 공간구성요소인 식생, 시설물, 수공간, 포장으로 나누고 통일, 비례, 대비, 반복, 균형, 율동, 대칭, 강조 등 여덟 개의 조형원리를 적용하여 조사표를 만들었다. 현장조사와 사진촬영을 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지의 건물유형에 따른 현황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교육시설이 여섯 개소로 가장 많았으며, 종교시설 세 개소이고 의료시설, 방송국, 요양시설, 일반건물이 각 한 개소였다. 이중 누구나 언제든지 이용가능하게 개방된 곳은 열 개소였고, 세 개소는 외부인이 이용하려면 허락을 받아야 했다. 병원과 대학교, 방송국 등이 이용자 수가 많았으며 접근성도 용이했다.
      둘째, 대상지별 조형원리 적용을 분석하였다. 조형원리가 많이 적용되었다고 좋은 디자인이라고 평가할 수는 없겠으나 현장 조사결과 조형원리가 많이 적용된 곳이 전체적으로 조화가 있고, 이용자들이 편리하고 즐겁게 자연을 접하면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정원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공간구성요소별 조형원리 적용을 분석하였다. 먼저 식생에서는 반복이 많이 적용되었는데 정형식재와 차폐식재 기법이 많이 사용하기 때문이다. 반면에 비례는 한 개소도 없고 율동은 두 개소였다. 이는 좁은 옥상 공간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 주로 가장자리에 식재를 하므로 면적에 의한 비례를 생각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율동은 수목 수심의 스카이라인으로 표현할 수 있고 곡선식재 등의 방법이 도입되어야 한다.
      시설물에 적용된 조형원리 빈도는 반복과 강조가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시설물의 특성상 반복 설치가 용이하고 특히 안전휀스에 의한 반복이 많이 나타났다. 강조는 정자나 파고라가 옥상정원에서 차지하는 시각적 규모가 크기 때문이다. 반면 율동은 한 개소도 적용되지 않았는데 시공을 쉽게 하기 위한 것이라 생각된다. 옥상정원에 많이 시공되는 안전휀스 등에 율동적인 디자인를 적용하는 것도 연구해야 한다. 시설물에 조형원리를 적극적으로 적용하고 종류를 더 다양하게 설치하면 이용자들이 아름다운 시설물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수공간은 열세 개소 중에서 여덟 개소만 설치되어 있었는데 수심이 낮고 규모도 작았으며 수경시설도 미미했다. 수공간이 도입된 여덟 개소에 적용된 조형원리는 자유곡선을 사용한 율동이었다. 물은 생물이 서식하는데 꼭 필요한 만큼 도시생태계를 복원하고 사람과 동식물이 함께 공유하는 옥상정원을 만들기 위해서는 하중문제, 시공성과 경제성, 관리문제 등의 장애요인을 극복하고 적극적이고 다양한 수경시설 도입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포장에 적용된 조형원리는 대비와 반복이 많은 점유를 보이고 있다. 옥상정원에서 많이 사용되는 포장 재료가 목재와 판석으로 재료의 성질과 질감에서 대비가 되고, 반복은 포장의 시공 특성상 반복이 되기 때문이다. 대상지의 포장 재료가 대부분 목재 데크와 판석으로 되어있었는데 목재가 가볍고 시공하기가 쉽기 때문이다. 앞으로는 옥상정원 이용 대상자를 고려한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고 시각적으로도 아름답고 특색 있는 디자인이 요구된다.
      넷째, 조형원리의 공간구성요소별 적용 분석은 다음과 같다. 열세 개 대상지에 반복이 서른아홉 번으로 가장 많이 적용되었으며, 다음이 통일 스물다섯 번, 대비와 강조가 각각 스물네 번, 대칭이 스물한 번 율동 열세 번, 균형 열 번, 비례 여섯 번씩 적용되었다.
      이는 옥상정원에서 식생, 시설물, 포장에서 반복의 원리가 많이 적용되었으며, 통일은 설계자가 전체적인 조화를 생각하면서 디자인을 하기 때문이라 여겨진다. 앞으로 옥상정원을 설계할 때 비례와 균형과 율동을 디자인에 더 많이 적용한다면 시각적으로 아름답고 편안함을 주는 옥상정원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건물유형별 공간구성요소 특징 분석은 다음과 같다. 계성여고는 텃밭을 만들어 학생들이 야생화와 채소를 직접 심고 가꾸면서 체험하는 학습장으로 활용하고 있었으며, 장로회 신학교-A는 신학교의 특성을 살려서 개인 기도실을 만들어 학생들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게 하였다. 또 장로회 신학대-A와 이대목동병원은 공연을 할 수 있는 무대 만들어 작은 공연을 할 수 있게 하였다. 그 외에는 건물유형에 따른 특성화된 디자인을 찾아볼 수 없었다. 따라서 앞으로 조성되는 옥상정원은 건물유형별 특성에 따라서 주이용자가 누구인지 이용목적이 무엇인가에 따라서 차별화된 설계를 하여서 많은 도시민들이 도심 속에서 자연을 접하고 휴식과 여가 활동을 할 수 있게 이용도를 높이는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 져야 한다.
      결론적으로 옥상정원 설계자가 의도하였든 의도하지 않았든지 조형원리가 적용된 옥상정원이 미적으로 아름답고 이용하기에도 편리한 정원이었다. 본 연구가 앞으로 조성되는 옥상정원을 도시생태계 복원과 사람과 자연이 공존하는 아름다운 공간으로 만드는데 참고가 되었으면 한다.
      번역하기

      인구의 도시집중과 고층, 고밀도의 건축행위로 열악해진 도시생태환경을 복원하고 사람들이 가까이에서 접할 수 있는 녹지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유일한 대안으로 옥상녹화를 주목하고 있...

      인구의 도시집중과 고층, 고밀도의 건축행위로 열악해진 도시생태환경을 복원하고 사람들이 가까이에서 접할 수 있는 녹지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유일한 대안으로 옥상녹화를 주목하고 있다. 이에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에서는 법규 및 제도와 제정적인 지원을 하고 있다. 특히 서울특별시는 타 지방자치단체보다 앞서 2002년부터 옥상녹화지원 사업을 실시하면서 많은 경험과 사례를 보유하고 있다. 2008년부터 옥상을 도시경관의 향상과 도시민들이 적극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휴식공간을 제공하고 생태환경을 경험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명칭을 옥상녹화사업에서 옥상공원화사업으로 바꾸고 지원을 확대하고 있다. 이와 같이 도시민들이 적극적으로 이용하고 참여할 수 있는 공간이 되기 위해서는 안전하고 편리하며 아름다운 옥상정원을 만들어야 한다.
      이에 최근 옥상정원의 디자인 경향을 미학적으로 알아보기 위하여 2007년도 서울특별시에서 지원하여 조성된 옥상정원을 조형원리를 적용하여 시각적으로 디자인을 분석하여 앞으로 진행되는 옥상녹화 사업이 이용자들에게 편리하고 안전하며 미적으로도 아름다운 옥상정원을 디자인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대상지를 옥상정원의 공간구성요소인 식생, 시설물, 수공간, 포장으로 나누고 통일, 비례, 대비, 반복, 균형, 율동, 대칭, 강조 등 여덟 개의 조형원리를 적용하여 조사표를 만들었다. 현장조사와 사진촬영을 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지의 건물유형에 따른 현황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교육시설이 여섯 개소로 가장 많았으며, 종교시설 세 개소이고 의료시설, 방송국, 요양시설, 일반건물이 각 한 개소였다. 이중 누구나 언제든지 이용가능하게 개방된 곳은 열 개소였고, 세 개소는 외부인이 이용하려면 허락을 받아야 했다. 병원과 대학교, 방송국 등이 이용자 수가 많았으며 접근성도 용이했다.
      둘째, 대상지별 조형원리 적용을 분석하였다. 조형원리가 많이 적용되었다고 좋은 디자인이라고 평가할 수는 없겠으나 현장 조사결과 조형원리가 많이 적용된 곳이 전체적으로 조화가 있고, 이용자들이 편리하고 즐겁게 자연을 접하면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정원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공간구성요소별 조형원리 적용을 분석하였다. 먼저 식생에서는 반복이 많이 적용되었는데 정형식재와 차폐식재 기법이 많이 사용하기 때문이다. 반면에 비례는 한 개소도 없고 율동은 두 개소였다. 이는 좁은 옥상 공간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 주로 가장자리에 식재를 하므로 면적에 의한 비례를 생각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율동은 수목 수심의 스카이라인으로 표현할 수 있고 곡선식재 등의 방법이 도입되어야 한다.
      시설물에 적용된 조형원리 빈도는 반복과 강조가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시설물의 특성상 반복 설치가 용이하고 특히 안전휀스에 의한 반복이 많이 나타났다. 강조는 정자나 파고라가 옥상정원에서 차지하는 시각적 규모가 크기 때문이다. 반면 율동은 한 개소도 적용되지 않았는데 시공을 쉽게 하기 위한 것이라 생각된다. 옥상정원에 많이 시공되는 안전휀스 등에 율동적인 디자인를 적용하는 것도 연구해야 한다. 시설물에 조형원리를 적극적으로 적용하고 종류를 더 다양하게 설치하면 이용자들이 아름다운 시설물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수공간은 열세 개소 중에서 여덟 개소만 설치되어 있었는데 수심이 낮고 규모도 작았으며 수경시설도 미미했다. 수공간이 도입된 여덟 개소에 적용된 조형원리는 자유곡선을 사용한 율동이었다. 물은 생물이 서식하는데 꼭 필요한 만큼 도시생태계를 복원하고 사람과 동식물이 함께 공유하는 옥상정원을 만들기 위해서는 하중문제, 시공성과 경제성, 관리문제 등의 장애요인을 극복하고 적극적이고 다양한 수경시설 도입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포장에 적용된 조형원리는 대비와 반복이 많은 점유를 보이고 있다. 옥상정원에서 많이 사용되는 포장 재료가 목재와 판석으로 재료의 성질과 질감에서 대비가 되고, 반복은 포장의 시공 특성상 반복이 되기 때문이다. 대상지의 포장 재료가 대부분 목재 데크와 판석으로 되어있었는데 목재가 가볍고 시공하기가 쉽기 때문이다. 앞으로는 옥상정원 이용 대상자를 고려한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고 시각적으로도 아름답고 특색 있는 디자인이 요구된다.
      넷째, 조형원리의 공간구성요소별 적용 분석은 다음과 같다. 열세 개 대상지에 반복이 서른아홉 번으로 가장 많이 적용되었으며, 다음이 통일 스물다섯 번, 대비와 강조가 각각 스물네 번, 대칭이 스물한 번 율동 열세 번, 균형 열 번, 비례 여섯 번씩 적용되었다.
      이는 옥상정원에서 식생, 시설물, 포장에서 반복의 원리가 많이 적용되었으며, 통일은 설계자가 전체적인 조화를 생각하면서 디자인을 하기 때문이라 여겨진다. 앞으로 옥상정원을 설계할 때 비례와 균형과 율동을 디자인에 더 많이 적용한다면 시각적으로 아름답고 편안함을 주는 옥상정원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건물유형별 공간구성요소 특징 분석은 다음과 같다. 계성여고는 텃밭을 만들어 학생들이 야생화와 채소를 직접 심고 가꾸면서 체험하는 학습장으로 활용하고 있었으며, 장로회 신학교-A는 신학교의 특성을 살려서 개인 기도실을 만들어 학생들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게 하였다. 또 장로회 신학대-A와 이대목동병원은 공연을 할 수 있는 무대 만들어 작은 공연을 할 수 있게 하였다. 그 외에는 건물유형에 따른 특성화된 디자인을 찾아볼 수 없었다. 따라서 앞으로 조성되는 옥상정원은 건물유형별 특성에 따라서 주이용자가 누구인지 이용목적이 무엇인가에 따라서 차별화된 설계를 하여서 많은 도시민들이 도심 속에서 자연을 접하고 휴식과 여가 활동을 할 수 있게 이용도를 높이는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 져야 한다.
      결론적으로 옥상정원 설계자가 의도하였든 의도하지 않았든지 조형원리가 적용된 옥상정원이 미적으로 아름답고 이용하기에도 편리한 정원이었다. 본 연구가 앞으로 조성되는 옥상정원을 도시생태계 복원과 사람과 자연이 공존하는 아름다운 공간으로 만드는데 참고가 되었으면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 2. 연구의 범위 및 과정 = 3
      • Ⅱ. 이론적 고찰 = 5
      • 1. 옥상녹화에 관한 이론적 고찰 = 5
      • Ⅰ. 서론 = 1
      •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 2. 연구의 범위 및 과정 = 3
      • Ⅱ. 이론적 고찰 = 5
      • 1. 옥상녹화에 관한 이론적 고찰 = 5
      • 1) 옥상녹화의 정의 = 5
      • 2) 옥상녹화의 효과 = 6
      • 3) 옥상녹화 법규 및 제도 = 7
      • 2. 조형원리에 관한 이론적 고찰 = 10
      • 3. 옥상정원의 공간구성요소에 관한 고찰 = 16
      • Ⅲ. 연구방법 = 19
      • 1. 조사 대상지 선정 = 19
      • 2. 대상지 현황과 특성 조사 = 23
      • 3. 조사를 위한 조형원리 항목 선정 = 39
      • 4. 선정한 조형원리를 적용한 공간구성요소별 디자인 조사 = 43
      • Ⅳ. 결과 및 고찰 = 57
      • 1. 대상지별 조형원리 적용 분석 = 57
      • 2. 공간구성요소별 조형원리 분석 = 65
      • 3. 조형원리의 공간구성요소별 적용 분석 = 69
      • 4. 대상지 건물유형별 공간구성요소 분석 = 70
      • Ⅴ. 적요 = 72
      • 1. 연구 결과 요약 = 72
      • 2. 연구의 시사점 및 한계점 = 7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