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음주운전 수강명령의 효과성과 개선방안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0203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의 교통사고범죄와 사망자 수는 매년 감소하고 있으나 음주운전 단속건수와 음주로 인한 교통사고 발생건수는 오히려 증가하고 있다. 상습적으로 음주운전을 하는 운전자의 경우, ...

      우리나라의 교통사고범죄와 사망자 수는 매년 감소하고 있으나 음주운전 단속건수와 음주로 인한 교통사고 발생건수는 오히려 증가하고 있다. 상습적으로 음주운전을 하는 운전자의 경우, 기존의 법적 제재나 교육 프로그램으로는 음주운전에 과한 태도나 행동을 변화시키기 어렵다. 음주운전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음주운전자들의 심리사회적 특성을 파악하여 이에 대한 적절한 대책을 강구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현재 실시되고 있는 음주운전 수강명령 프로그램의 구성내용은 음주운전자에게 필요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각 과목별 일관된 연계성을 가지기가 어렵고, 대규모집단에 대한 강의식 교육으로는 상습음주자나 알코올 장애를 가진 대상자에게 치료와 재활이라는 수강명령의 기본적 가치를 십분 활용할 수 없다. 또한 보호관찰소의 만성적인 인적ㆍ물적 한계로 집행의 효율화를 위해 부득이하게 단기 집중식 교육으로 편성하고 있으나 재범방지라는 보호관찰의 궁극적 목적과는 상당한 괴리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첫째, 내실있는 수강명령을 집행하기 위해 전문인력을 채용하고 재교육을 통해 전문성을 제고하여야 할 것이고, 둘째, 음주운전 초범자에 대한 수강명령제도를 도입하여 적극적으로 재범을 예방하며, 셋째, 대상자의 특성에 맞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장기적인 후속 연구를 통하여 재범을 예측하는 요인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ven if the numbers of traffic accident crimes and deaths are reduced every year, the number of offenses in drunk driving and occurrence of traffic accidents caused by intoxication has increased. In case of habitual drinking drivers, it is difficult t...

      Even if the numbers of traffic accident crimes and deaths are reduced every year, the number of offenses in drunk driving and occurrence of traffic accidents caused by intoxication has increased. In case of habitual drinking drivers, it is difficult to change their attitudes and behaviors about drunk driving with the existing legal sanctions or the training programs. Especially if there are mental issues at the base of drunk driving such as the abuse or the dependence of alcohol and a driver does not receive the proper treatment, it would be even harder to prevent drunk driving with education to inform the influence of alcohol or the risks of drunk driving.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e drunk driving, it is important to examine the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of the drunk drivers and to take appropriate measures. The program of DUI attendance order currently being held consists of necessary information to drunk drivers, but it is difficult to have consistent connectivity among each course and the basic values of attendance order including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to subjects with alcohol disability are not applied fully in educational lectures for a large group. In addition, due to chronic limitations of people and physical condition in probation offices, the short-term and intense education has been organiz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enforcement, but it’s far from the ultimate purpose of probation to prevent second offender.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se issues, first, professionals should be hired and the expertise should be improved through retraining to enforce the efficient attendance order, second, the attendance order program should be introduced to the first offender for driving while intoxicated, and it can actively prevent the second offender, third, a variety of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continuousl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I. 서론
      • II. 음주운전자의 심리사회적 특징
      • 1. 음주운전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 2. 음주운전자의 성격적 특성
      • 요약
      • I. 서론
      • II. 음주운전자의 심리사회적 특징
      • 1. 음주운전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 2. 음주운전자의 성격적 특성
      • III. 우리나라의 음주운전 수강명령의 현황
      • 1. 연도별 수강명령 사건 접수 추이
      • 2. 음주운전 수강명령 프로그램의 실태
      • IV. 각국의 음주운전 프로그램 현황과 효과성
      • 1. 미국
      • 2. 캐나다
      • 3. 독일
      • 4. 영국
      • 5. 호주
      • 6. 각국의 음주운전 프로그램의 시사점
      • V. 음주운전 수강명령 프로그램 개발
      • 1. 수강명령 프로그램의 개요
      • 2. 이론적 배경
      • 3. 프로그램의 구성
      • 4. 프로그램의 효과 및 만족도 평가
      • 5. 프로그램 진행의 요건
      • VI. 요약 및 개선방안
      • 1. 요약
      • 2. 개선방안
      • VII.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웅장, "형사절차를 통한 문제음주자의 치료적 개입 활성화 방안" 2003

      2 정철우, "형벌, 행정처분, 교육의 음주운전 재범감소 효과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2010

      3 보건복지부, "직장인 문제 음주 예방 프로그램 개발" 2000

      4 정우진, "음주의 사회경제적 비용" 집문당 2009

      5 최상진, "음주운전태도 및 성격이 음주운전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도로교통 안전관리공단 2001

      6 이국희, "음주운전자에 대한 보호관찰소 수강명령 집행프로그램 연구" 경기대학교 2008

      7 이순래, "음주운전의 원인에 관한 연구" 1997

      8 전영실, "음주운전의 억제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 (20): 257-277, 2009

      9 이건호, "음주운전의 심리사회학적 결정요인과 대책 연구(Ⅲ)" 도로교통공단 2010

      10 신용균, "음주운전의 심리사회학적 결정요인과 대책 연구(Ⅱ)" 도로교통공단 2009

      1 윤웅장, "형사절차를 통한 문제음주자의 치료적 개입 활성화 방안" 2003

      2 정철우, "형벌, 행정처분, 교육의 음주운전 재범감소 효과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2010

      3 보건복지부, "직장인 문제 음주 예방 프로그램 개발" 2000

      4 정우진, "음주의 사회경제적 비용" 집문당 2009

      5 최상진, "음주운전태도 및 성격이 음주운전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도로교통 안전관리공단 2001

      6 이국희, "음주운전자에 대한 보호관찰소 수강명령 집행프로그램 연구" 경기대학교 2008

      7 이순래, "음주운전의 원인에 관한 연구" 1997

      8 전영실, "음주운전의 억제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 (20): 257-277, 2009

      9 이건호, "음주운전의 심리사회학적 결정요인과 대책 연구(Ⅲ)" 도로교통공단 2010

      10 신용균, "음주운전의 심리사회학적 결정요인과 대책 연구(Ⅱ)" 도로교통공단 2009

      11 신용균, "음주운전의 심리사회학적 결정요인과 대책 연구(Ⅰ)" 도로교통공단 2008

      12 장영채, "음주운전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의 추계와 평가" 2002

      13 유병림, "음주운전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행동적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1999

      14 박선영, "음주운전에 영향을 미치는 운전자의 개인적ㆍ사회적 요인에 관한 연 구" 교통안전공단 2002

      15 박상호, "음주운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참색-인지ㆍ행동적 요인 중심으로" 도로 교통안전관리공단 2007

      16 박은경, "음주운전 수강명령교육 대상자의 변화동기와 변화전략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03

      17 장덕희, "음주운전 수강명령 교육 대상자의 알코올 장애에 관한 연구" 2004

      18 최문희, "음주운전 수강명령 교육 대상자들의 MMPI 프로파일 특성" 한국임상심리학회 23 (23): 455-470, 2004

      19 이미형, "음주운전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상자의 알코올성 장애와 정신건강" 1998

      20 유지인, "음주운전 감소를 위한 교육홍보정책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2008

      21 원혜욱, "음주로 인한 문제행동에 대한 형사절차의 치료적 개입활성화방안" 2003

      22 박성수, "음주교통사범 수강명령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 16 (16): 139-168, 2007

      23 손동권, "수강명령프로그램의 운용실태와 개선방향"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8

      24 문정민, "수강명령제도의 형황과 개선책" 교정연구 2008

      25 강호성, "수강명령제도의 법적 성격과 집행의 효율화 방안" 법무연구 2002

      26 조대경, "성격심리학" 학지사 1994

      27 박선영, "성격과 음주운전 관계에서 인지 요인의 매개 효과 검증" 이화여자대학교 2006

      28 최규만, "성격, 인지, 사회적 환경 및 음주행동과 음주운전과의 관계" 2002

      29 윤웅장, "사회봉사명령과 수강명령의 성과와 과제" 법무부 범죄예방 정책연구 2009

      30 임준태, "범죄예방론" 대영문화사 2009

      31 조철옥, "대영문화사" 2008

      32 고승덕, "금주 혹은 절주를 위한 행태변화 전략 : Transtheoretical Model(TTM)과 변화단계(Stages of Change) 이론 적용" 2001

      33 조은순, "교통안전교육의 효과에 관한 연구" 한세대학교 2009

      34 전영실, "교통사범에 대한 사회봉사명령 및 수강명령 활성화 방안" 한국형사정 책연구원 2002

      35 원혜욱, "교통사범에 대한 사회봉사ㆍ수강명령의 확대실시에 대하여" 2002

      36 박선영, "교통사범 보호관찰대상자의 심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교통안전공단 1998

      37 이성칠, "교통사범 대상 사회봉사명령 및 수강명령 집행 개선방안" 2002

      38 송광섭, "교통범죄의 현황과 대책" 형사정책연구 1997

      39 한풍남, "교통범죄에 대한 사회봉사ㆍ수강명령집행의 유용성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중부대학교 2003

      40 Stacy, A, "problem drinking and drunk driving: Mediating, moderating and direct-effect models" 1991

      41 Waller, P. F, "Women, Alcohol and Driving" Women and Alcoholism 12 : 1995

      42 Eysenck, S. B, "The place of impulsiveness in a dimentional system of personality description" 1977

      43 Siegal, H. A, "The hardcore Proceedings of the 15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lcohol" Sweden 2000

      44 Connors, G. J, "Substance abuse treatment and the stages of change: Selecting and intervention" The Guilford Press 2001

      45 Prochaska, J. O, "Stages of change in the modification of problem behavior" Sycamore Publishing 1992

      46 Traffic Injury Research Foundation, "Sakatchewans Driving Without Impairment Program: An Assessment of its IMPACT" TIRF 1990

      47 Hebenstreit, "Kurse fur auffallige Kraftfahrer. Projektgruppenberichte der Bundesanstalt fur Straßenwesen, Bereich Unfallforschung" (12) : 1982

      48 Hebenstreit, "Kurse fur auffallige Kraftfahrer-Modellversuche in der Bunderepublik Deutschland" Bundesanatalt fur Straßenwesen 1978

      49 Jeune, R, "IMPACT: Program Development Study" AlbertaAlcohol and Drug Abuse Commission 1988

      50 Maxwell, J, "Gender differences in DUI offenders in treatment in Texas" Traffic Injury Prevention 2007

      51 Malfetti, J. L, "Evaluation of a Program to Rehabilitatie Drunken Drivers" Traffic Quarterly 1974

      52 DeYoung, D. J, "Estimating thr exposure and fatal crash rates of suspended/revoked and unlicesed drivers in California" Accident Analysis and Provention 1997

      53 Donovan, D. M, "Dringking behavior, personality factors and high-risk driving" 1983

      54 Syrcle, J, "DUI Risk Reduction Project" University of Illinois-Springfield 2006

      55 Jeffery,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Eesign" Berverly Hills 1997

      56 Jaccard, J, "An examination of relationships between personality, attitudes and cognition relavant to alcohol-impaired driving tendencies" 1997

      57 Whitehead, pP. C, "Alcoholics on the Road: Evaluation of Impaired Driver Treatmennt Program" Regina: Saskatchewan Alcohol and Drug Abuse Commission 1984

      58 Papandreou, N, "Alcohol and Offending: A probation services education programme" 1985

      59 법무부, "2006년 사회봉사명령ㆍ수강명령 집행 분석집" 2007

      60 Vogel-Sprott, M, ""light" and "heavy" social drinking: Research implication and hypotheses" 197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7-22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cademy of Probation and Parole Services -> Korean Association of Probation and Parole Services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7-06-01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Probation&Parole Academy -> Korean Academy of Probation and Parole Services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9 0.79 0.9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3 0.89 1.39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