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예기에 나타난 전통 교육의 종교성과 聖顯 : 月令篇을 중심으로 = The Religious Aspect of Traditional Education and Hierophany : An Interpretation of Yuehling in Lik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496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eligious Aspect of Traditional Education and Hierophany : An Interpretation of Yuehling in Liki Liki, a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texts in the Eastern traditional education, highlights that people in the ancient era had been taught under a gre...

      The Religious Aspect of Traditional Education and Hierophany : An Interpretation of Yuehling in Liki
      Liki, a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texts in the Eastern traditional education, highlights that people in the ancient era had been taught under a great religious atmosphere. This study focuses on the chapter of Yuehling in Liki to reveal what people had experienced particularly through their religious education. Using Elide's terminology, the concept of hierophany characterizes the ancient idea of sacred time in Yuehling. The purpose of the ancient education lies in leading people to divine states by following the rules of Yuehling, which constitute li in general. Therefore, li, so far as it is accepted as hierophany, has people experience the paradox between the sacred and the profane, and finally reach divine states.
      In addition, this study contrasts Eliade's 'archetype of world' with Otto's 'archetype of mind'. This distinction can help u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different modes of Liki-education : one is based on knowledge and the other ritual. Eliade's archetype of world emphasizes Liki-education based on ritual, while Otto's archetype of mind emphasizes Liki-education based on knowledge. Even though those two ideas differ in many significant points, they collaborate each other under the system of the traditional religious education. In this sense, the religious aspect of the traditional education makes it possible to solve one of the major problems in the field of philosophy of religion. The modern education also appears to potentially have the religious aspect. To explain the religious aspect in the modern education is an urgent task in our er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전통사회의 교육은 현대 교육과는 달리 종교성을 그 중요한 특징으로 삼고 있다. 예기의 월령편은 시간에 대한 고대인들의 종교적 태도를 잘 드러내는 동시에 예를 중심으로 한 동양의 전통...

      전통사회의 교육은 현대 교육과는 달리 종교성을 그 중요한 특징으로 삼고 있다. 예기의 월령편은 시간에 대한 고대인들의 종교적 태도를 잘 드러내는 동시에 예를 중심으로 한 동양의 전통 교육의 종교적 측면을 훌륭하게 예시해 준다. 이 점은 특히 엘리아데의 성현의 개념에 비추어 설명될 수 있다. 엘리아데에 의하면 ‘거룩한 시간’에 대한 관념은 신에 의한 세계 창조를 재연하고자 하는 인류 공통의 종교적 경험을 이룬다. 오늘날의 교육은 이미 과거와 같은 의미의 종교성을 상실한 것이 사실이지만, 다른 한편으로 여전히 잠재적 형태의 종교성을 보존하고 있다. 교육과 종교의 관련을 밝히는 일은 현대 교육을 이해하는 데에 필수불가결한 이론적 과제의 하나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종교와 교육" 한국도덕교육학회 11 : 1999

      2 "유학의 도덕교육이론" 성경재 2003

      3 "예기의 교육학적 해석" 한국도덕교육학회 8 : 1996

      4 "The Voice of Liberal Learning Michael Oakeshott on Education edited by Timothy Fuller" Yale University Press 1989

      5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3

      6 "The Idea of The Holy" Oxford University Press 1950

      7 "The Idea of The Holy" Oxford University Press 1950

      8 "The Elementary Forms of the Religious Life 종교 생활의 원초적 형태 한국사회학연구소" Free Press 민영사 19651992

      9 "Patterns in Comparative Religion" 19581996

      10 "Archetypes of the Collective Unconscious The Integration of the Personality" 1939

      1 "종교와 교육" 한국도덕교육학회 11 : 1999

      2 "유학의 도덕교육이론" 성경재 2003

      3 "예기의 교육학적 해석" 한국도덕교육학회 8 : 1996

      4 "The Voice of Liberal Learning Michael Oakeshott on Education edited by Timothy Fuller" Yale University Press 1989

      5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3

      6 "The Idea of The Holy" Oxford University Press 1950

      7 "The Idea of The Holy" Oxford University Press 1950

      8 "The Elementary Forms of the Religious Life 종교 생활의 원초적 형태 한국사회학연구소" Free Press 민영사 19651992

      9 "Patterns in Comparative Religion" 19581996

      10 "Archetypes of the Collective Unconscious The Integration of the Personality" 193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10-22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Moral Education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8 학술지등록 한글명 : 도덕교육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moral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6 0.76 0.7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6 1.316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