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인 유학생들의 스마트폰, 소통, 그리고 한국어 실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191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중국인 유학생들의 스마트폰에 대한 이용도가 그들의 한국 적 응에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를 검증하고자 서베이를 실시하여 분석했다. 과연 중국인 유 학생들이 스마...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중국인 유학생들의 스마트폰에 대한 이용도가 그들의 한국 적 응에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를 검증하고자 서베이를 실시하여 분석했다. 과연 중국인 유 학생들이 스마트폰을 통해 한국 미디어를 이용하는 것이 한국인들과의 소통에 도움이 되고, 결국 한국어 실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스마트폰을 통해 중 국 미디어를 이용할수록, 중국인들과의 소통을 유지하여 결국 한국어 실력 향상을 저해 하는지 분석했다. 구조 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변인들 간의 직접 효과 및 간접 효과를 확인하여 중국인 유학생들이 스마트폰을 통해 한국 미디어를 이용할수록, 한국인들과의 소통이 활발해지면서, 한국어 실력이 향상되는 점을 발견했다. 동시에 중국 미디어를 이용할수록, 국내에 거주하는 중국인들과의 소통이 활발해지는 것이 발견되었으나, 그 들의 한국어 실력 하락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order for Chinese students in Korea to test how the usage of the smart phone affects on their adaptation in Korea and their Korean skills, this study performed a survey targeting Chinese students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how ...

      In order for Chinese students in Korea to test how the usage of the smart phone affects on their adaptation in Korea and their Korean skills, this study performed a survey targeting Chinese students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how the Korean mass media usage through a smart phone influenced on their interpersonal communication with Koreans, and finally affected on their Korean skills. Simultaneously, the usage of Chinese media through a smart phone urge for them to keep touching Chinese people in China and finally disturb their Korean skill development.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direct effects as well as the indirect effects among latent variables were tested. Finally, it was revealed that the more Chinese students use Korean media through smart phone, the more they tend to keep touching Koreans. It causes them to speak Korean fluently. Also it was revealed that the more Chinese students use Chinese media, the more they get along Chinese people which cause them to disturb the development of Korean skill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1. 서론
      • 2. 문헌 연구
      • 1) 스마트폰의 이용과 대인간의 소통
      • 2) 대인간의 소통과 언어 발달
      • 요약
      • 1. 서론
      • 2. 문헌 연구
      • 1) 스마트폰의 이용과 대인간의 소통
      • 2) 대인간의 소통과 언어 발달
      • 3) 벤두라의 사회 인지이론 : 한국어 실력
      • 3. 연구 문제 및 가설 제시
      • 1) 직접 효과 (Direct effects)
      • 2) 간접 효과 (Indirect effects)
      • 4. 연구방법
      • 1) 자료 수집
      • 2) 외생 변인 (Exogenous variable)의 구성 : 한국 그리고 중국 미디어에 대한 이용도
      • 3) 내생 변인 (Endogenous variable)의 구성: 대인간 소통과 한국어 실력
      • 5. 분석
      • 1) 직접 효과 (Direct effects)
      • 2) 간접 효과 (Indirect effects)
      • 6. 결론
      • 7. 연구의 한계 및 향후의 연구 방향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왕매,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인터넷 이용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원 8 (8): 77-98, 2015

      2 김경희, "재한 아시아유학생의 사회적 맥락과 모바일폰 이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방송학회 22 (22): 47-81, 2008

      3 정재철, "온라인 시민 사회운동의 공론화 과정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안티닉스운영 게시판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33 : 253-285, 2006

      4 이영수, "스마트폰 이용의 사회관계적 효과: 사회자본과 정치참여를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0 (10): 49-63, 2016

      5 이혜인, "스마트폰 이용과 사회자본 -스마트폰 이용동기와 이용정도가 사회자본 구성요소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정보사회학회 (21) : 35-71, 2011

      6 김영주,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채택과 이용: 이용정도, 지속이용의사, 추천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언론학회 55 (55): 227-252, 2011

      7 이옥기, "스마트폰 사용 행태와 사용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인 대학생과 중국인 유학생을 중심으로"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15 (15): 323-355, 2011

      8 장성준, "사회참여 장으로서 소셜 미디어의 가능성과 그 의미" 146-147, 2011

      9 이준웅, "사회자본 형성의 커뮤니케이션 기초: 대중 매체 이용이 신뢰, 사회 연계망 활동 및 사회정치적 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회 49 (49): 234-261, 2005

      10 배소영, "미디어 이용은 영유아 언어발달을 촉진하는가?: 텔레비전, 스마트폰, 책 읽어 주기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29 (29): 67-93, 2015

      1 왕매,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인터넷 이용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원 8 (8): 77-98, 2015

      2 김경희, "재한 아시아유학생의 사회적 맥락과 모바일폰 이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방송학회 22 (22): 47-81, 2008

      3 정재철, "온라인 시민 사회운동의 공론화 과정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안티닉스운영 게시판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33 : 253-285, 2006

      4 이영수, "스마트폰 이용의 사회관계적 효과: 사회자본과 정치참여를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0 (10): 49-63, 2016

      5 이혜인, "스마트폰 이용과 사회자본 -스마트폰 이용동기와 이용정도가 사회자본 구성요소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정보사회학회 (21) : 35-71, 2011

      6 김영주,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채택과 이용: 이용정도, 지속이용의사, 추천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언론학회 55 (55): 227-252, 2011

      7 이옥기, "스마트폰 사용 행태와 사용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인 대학생과 중국인 유학생을 중심으로"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15 (15): 323-355, 2011

      8 장성준, "사회참여 장으로서 소셜 미디어의 가능성과 그 의미" 146-147, 2011

      9 이준웅, "사회자본 형성의 커뮤니케이션 기초: 대중 매체 이용이 신뢰, 사회 연계망 활동 및 사회정치적 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회 49 (49): 234-261, 2005

      10 배소영, "미디어 이용은 영유아 언어발달을 촉진하는가?: 텔레비전, 스마트폰, 책 읽어 주기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29 (29): 67-93, 2015

      11 민성희, "다문화가족 이민자의 한국어실력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다문화가족 밀집거주지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아시아학회 16 (16): 179-208, 2013

      12 이창호, "뉴미디어를 활용한 다양한 사회운동방식에 대한 고찰 2008년 촛불집회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44 (44): 44-75, 2008

      13 Bandura, A., "Self-efficacy :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84 (84): 191-215, 1977

      14 Tan, A., "Native American stereotypes, TV portrayals, and personal contact" 74 (74): 265-284, 1997

      15 Herman, E. S., "Manufacturing consent: The political economy of the mass media" Pantheon Books 1988

      16 Beckhusen, J., "Living and working in ethnic enclaves: Language proficiency of immigrants in U.S. metropolitan areas" IZA 1-22, 2012

      17 Kraut, R., "Internet paradox : A social technology that reduces social involve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53 : 1017-1031, 1998

      18 Nie, N., "Internet and society: A preliminary report"

      19 Chiswick, B., "Immigrant earnings : Language skills, linguistic concentrations and the business cycle" 15 (15): 31-57, 2002

      20 Chiswick, B., "Ethnic networks and language proficiency among immigrants" 9 (9): 19-35, 1996

      21 Chiswick, B., "Do enclaves matter in immigrant adjustment" 4 (4): 5-35, 2005

      22 Florax, R., "A spatial economic perspective on language acquisition : Segregation, networking, and assimilation of immigrants" 37 (37): 1877-1189, 2005

      23 Tan, A., "A cognitive processing model of information source use and stereotyping : African-American stereotypes in South Korea" 54 : 569-587, 2010

      24 한국 언론진흥재단, "2018 언론수용자 의식조사"

      25 여성가족부, "2009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연구" 여성가족부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8-3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 한국소통학보
      외국어명 : Speech & Communication -> Journal of Speech, Media and Communication Research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4-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스피치커뮤니케이션학회 -> 한국소통학회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2 1.22 1.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6 1.21 1.511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