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우리나라 수출입 기업의 해외 3PL 활용에 따른 성과 연구 : 현지 로컬 3PL과 한국계 3PL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9265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any Korean importers and exporters operating overseas have been having difficulty pioneering and expanding the overseas market due to the lack of overseas local professional logistics services. This is because it is difficult for them to expect the same level of professional logistics services specialized in Korean companies when using overseas local 3PL companies.
      As entering the 2000s, with the expanded needs for the professional logistics services by Korean importers and exporters who have entered overseas, domestic 3PL companies have become more active in entering overseas market. It is, therefore, not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history of Korean importers and exporters expansion overseas has grown with the globalization of the market. Besides,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that inevitable made to turn eyes away to overseas logistics market have been built as the oversupplied domestic 3PL logistics market was formed and globalization of corporations’ environment proceeded.
      For a short period of time, Korean 3PL companies that have entered overseas have grown in so remarkably quantitative numbers that many Korean 3PL companies are now being operated in major markets around the world. Those Korean 3PL companies, however, have not been able to overcome their inherent limitations of targeting at the relatively easy Korean logistics market. As a result, those companies operating overseas are becoming oversupply, getting the market more competitive. This is attributed to its nature of service industry, which has relatively low entry barrier.
      Therefore,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the impact of 3PL value on corporate performance by selecting overseas partners prior to determining which areas Korean 3PL companies operating overseas should focus on to have relatively competitive advantage.
      Frequency analysis performed in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26.0 statistics package and hypothesis tests to analyze the impact of 3PL selection factors on overseas 3PL companies and 3PL values on the performance were made using AMOS version 26.0. To fully reflect the positions of the parties concerned, the samples of exporters in Korea, Korean exporters overseas, 3PL companies in Korea, and Korean 3PL companies overseas, were selected. The differences between importers and exporters and 3PL companies were investigated in a complementary manner, and the comprehensiv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regarding human infrastructure factor, an independent variable, the samples from the whole, importers and exporters, and 3PL companies were analyzed. The result shows that in the samples from the whole, and importers and exporters, human infrastructure factor has positive effect on the parameters of 3PL value of both Korean and overseas companies. In the 3PL company sample, however, human infrastructure factor has negative effect on the parameters.
      Second, regarding corporate reputation factor, three samples of the whole, importers and exporters, and 3PL companies have the same result as follows: Corporate reputation has positive effect on the parameters of 3PL value of both Korean and overseas local companies.
      Third, concerning logistics service factor, interestingly, three samples of the whole, importers and exporters, and 3PL have the same result as follows: Corporate reputation factor has negative effect on the parameters of 3PL value of both Korean and overseas local companies.
      Fourth, the result of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asset factor, two samples from the whole and 3PL show the result as follows: The relationship asset factor has positive effect on parameters, but it appears only on the Korean 3PL value, not on the overseas local 3PL. From the view of importers and exporters sample, however, the relationship asset factor has negative effect on the either parameters.
      Fifth, the sample from the whole, importers and exporters, and 3PL have the same result as follows: Korean 3PL value factor, the parameter, has positive effect on the competitive advantage of corporation performance, but overseas local has negative effect on the corporate performance.
      This study has greatly contributed to the theoretical expansion of the related research by analyzing the effects of human infrastructure, and relationship assets factors on 3PL selection although it had been treated with neglect in academia, in that it suggests core competency on which Korean 3PL companies overseas should concentrate in order to secure competitive advantage and sustainability when global logistics market is fierce.
      Nevertheless, further research on Fourth-Party logistics, the combination of 3PL, IT services, and consulting services, will be necessary to be studied in the future to provide more differentiated logistics services.
      번역하기

      Many Korean importers and exporters operating overseas have been having difficulty pioneering and expanding the overseas market due to the lack of overseas local professional logistics services. This is because it is difficult for them to expect the s...

      Many Korean importers and exporters operating overseas have been having difficulty pioneering and expanding the overseas market due to the lack of overseas local professional logistics services. This is because it is difficult for them to expect the same level of professional logistics services specialized in Korean companies when using overseas local 3PL companies.
      As entering the 2000s, with the expanded needs for the professional logistics services by Korean importers and exporters who have entered overseas, domestic 3PL companies have become more active in entering overseas market. It is, therefore, not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history of Korean importers and exporters expansion overseas has grown with the globalization of the market. Besides,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that inevitable made to turn eyes away to overseas logistics market have been built as the oversupplied domestic 3PL logistics market was formed and globalization of corporations’ environment proceeded.
      For a short period of time, Korean 3PL companies that have entered overseas have grown in so remarkably quantitative numbers that many Korean 3PL companies are now being operated in major markets around the world. Those Korean 3PL companies, however, have not been able to overcome their inherent limitations of targeting at the relatively easy Korean logistics market. As a result, those companies operating overseas are becoming oversupply, getting the market more competitive. This is attributed to its nature of service industry, which has relatively low entry barrier.
      Therefore,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the impact of 3PL value on corporate performance by selecting overseas partners prior to determining which areas Korean 3PL companies operating overseas should focus on to have relatively competitive advantage.
      Frequency analysis performed in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26.0 statistics package and hypothesis tests to analyze the impact of 3PL selection factors on overseas 3PL companies and 3PL values on the performance were made using AMOS version 26.0. To fully reflect the positions of the parties concerned, the samples of exporters in Korea, Korean exporters overseas, 3PL companies in Korea, and Korean 3PL companies overseas, were selected. The differences between importers and exporters and 3PL companies were investigated in a complementary manner, and the comprehensiv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regarding human infrastructure factor, an independent variable, the samples from the whole, importers and exporters, and 3PL companies were analyzed. The result shows that in the samples from the whole, and importers and exporters, human infrastructure factor has positive effect on the parameters of 3PL value of both Korean and overseas companies. In the 3PL company sample, however, human infrastructure factor has negative effect on the parameters.
      Second, regarding corporate reputation factor, three samples of the whole, importers and exporters, and 3PL companies have the same result as follows: Corporate reputation has positive effect on the parameters of 3PL value of both Korean and overseas local companies.
      Third, concerning logistics service factor, interestingly, three samples of the whole, importers and exporters, and 3PL have the same result as follows: Corporate reputation factor has negative effect on the parameters of 3PL value of both Korean and overseas local companies.
      Fourth, the result of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asset factor, two samples from the whole and 3PL show the result as follows: The relationship asset factor has positive effect on parameters, but it appears only on the Korean 3PL value, not on the overseas local 3PL. From the view of importers and exporters sample, however, the relationship asset factor has negative effect on the either parameters.
      Fifth, the sample from the whole, importers and exporters, and 3PL have the same result as follows: Korean 3PL value factor, the parameter, has positive effect on the competitive advantage of corporation performance, but overseas local has negative effect on the corporate performance.
      This study has greatly contributed to the theoretical expansion of the related research by analyzing the effects of human infrastructure, and relationship assets factors on 3PL selection although it had been treated with neglect in academia, in that it suggests core competency on which Korean 3PL companies overseas should concentrate in order to secure competitive advantage and sustainability when global logistics market is fierce.
      Nevertheless, further research on Fourth-Party logistics, the combination of 3PL, IT services, and consulting services, will be necessary to be studied in the future to provide more differentiated logistics servic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해외에 진출한 우리나라 수출입 업체의 다수가 현지 전문물류 서비스의 부재로 현지 시장개척 및 확장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는 현지 로컬 3PL 업체를 이용 시 국내에서와 같은 한국회사에 특화된 전문적인 물류서비스를 제공받기 어렵기 때문이다.
      2000년대에 접어들면서 해외에 진출한 한국계 수출입 업체들에게 특화된 전문 물류서비스에 대한 니즈가 확대됨으로 인하여 국내 3PL 업체들의 해외진출이 활발해졌다. 따라서 국내 3PL 업체들의 해외 진출 역사는 시장이 글로벌화되는 시기와 맞물려 있다고 보는 것이 합당하다. 이는 기업 환경의 글로벌화와 국내 3자 물류시장의 포화상태가 진행되면서 해외 물류시장으로 눈을 돌릴 수밖에 없는 외부환경이 조성되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 길지 않은 기간 동안 해외에 진출한 한국계 3PL 업체들은 눈부신 양적 성장을 거듭하여 이제는 전 세계 주요 시장에 다수의 한국계 3PL 업체들이 진출해 있으며 공급이 나날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해외에 진출한 한국계 3PL 업체들의 영업대상이 상대적으로 손쉬운 한국물류시장을 주요 타겟으로 하는 태생적 한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때문에 해외에 진출한 한국계 3PL 업체들은 공급과잉 상태가 되어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영업대상이 한국물류시장에 국한되어 있어 경쟁은 나날이 치열해지고 있다. 이는 상대적으로 진입장벽이 낮은 서비스 산업에 기인한 것이다.
      해외에 진출한 한국계 3PL 업체들은 현지로컬 3PL 업체뿐만 아니라 같은 지역 내에 있는 다수의 한국계 3PL 업체들과도 경쟁해야 하는 어려운 환경에 놓여 있는 현실이다. 따라서 해외에 진출한 한국계 3PL 업체가 상대적으로 경쟁우위를 갖기 위해 어느 부문에 핵심역량을 집중해야 하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해외 파트너 선정에 따른 3PL 활용가치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된 빈도분석은 SPSS 26.0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여 이루어졌으며 3PL 선정요인이 해외파트너 선정에 미치는 영향과 3PL 활용가치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가설검정은 AMOS 26.0 버전을 이용하였다. 관련 당사자의 입장을 충분히 반영하고자 한국소재 수출입 업체, 해외 진출 수출입 업체, 한국소재 3PL 업체와 해외 진출 3PL 업체를 대상으로 표본을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했으며, 수출입 업체와 3PL 업체를 구분하여 그 차이점을 보완적으로 조사하였고 그 종합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독립변수인 인적인프라 요인 관련 전체표본의 연구결과와 수출입 업체 그리고 3PL 업체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전체표본과 수출입 업체의 표본에서는 인적인프라 요인이 매개변수인 한국계 3PL 활용가치와 현지 로컬 3PL 활용가치에 영향을 미친다는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그러나 3PL 업체 표본에서는 매개변수 모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평판 요인 관련 전체표본과 수출입 업체 그리고 3PL 업체, 세 표본 모두 기업평판 요인이 매개변수인 한국계 3PL 활용가치와 현지 로컬 3PL 활용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물류서비스 요인은 특이하게도 전체표본과 수출입 업체 그리고 3PL 업체, 세 표본 모두 물류서비스 요인이 매개변수인 한국계 3PL 활용가치와 현지 로컬 3PL 활용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부정적 결과가 도출되었다.
      넷째, 관계자산 요인을 분석한 결과, 전체표본과 3PL 업체, 두 집단에서는 관계자산 요인이 매개변수인 한국계 3PL 활용가치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나, 현지 로컬 3PL 활용가치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같은 연구결과가 도출되었다. 반면에 수출입 업체 표본에서는 관계자산 요인이 매개변수인 한국계 3PL 활용가치와 현지 로컬 3PL 활용가치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매개변수인 한국계 3PL 활용가치 관련 전체표본과 수출입 업체 그리고 3PL 업체, 세 표본 모두 매개변수인 한국계 3PL 활용가치가 종속변수인 경쟁우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매개변수인 현지 로컬 3PL 업체는 성과인 경쟁우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학계에서 소홀이 다뤄지고 있던 인적인프라 요인과 관계자산 요인이 3PL 선정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함으로서 관련연구의 이론적 확장에 기여를 했으며, 치열한 글로벌 물류 시장에서 해외에 진출한 한국계 3PL 업체가 어느 부분에 핵심역량을 더 집중해야 경쟁우위를 확보하고 지속가능한 성장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결과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실무적으로 기여하였다.
      그러나 3자물류와 IT 서비스 그리고 컨설팅 서비스가 결합되어 보다 더 차별화된 물류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4자물류에 대한 연구가 향후 추가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번역하기

      해외에 진출한 우리나라 수출입 업체의 다수가 현지 전문물류 서비스의 부재로 현지 시장개척 및 확장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는 현지 로컬 3PL 업체를 이용 시 국내에서와 같은 한국회사...

      해외에 진출한 우리나라 수출입 업체의 다수가 현지 전문물류 서비스의 부재로 현지 시장개척 및 확장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는 현지 로컬 3PL 업체를 이용 시 국내에서와 같은 한국회사에 특화된 전문적인 물류서비스를 제공받기 어렵기 때문이다.
      2000년대에 접어들면서 해외에 진출한 한국계 수출입 업체들에게 특화된 전문 물류서비스에 대한 니즈가 확대됨으로 인하여 국내 3PL 업체들의 해외진출이 활발해졌다. 따라서 국내 3PL 업체들의 해외 진출 역사는 시장이 글로벌화되는 시기와 맞물려 있다고 보는 것이 합당하다. 이는 기업 환경의 글로벌화와 국내 3자 물류시장의 포화상태가 진행되면서 해외 물류시장으로 눈을 돌릴 수밖에 없는 외부환경이 조성되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 길지 않은 기간 동안 해외에 진출한 한국계 3PL 업체들은 눈부신 양적 성장을 거듭하여 이제는 전 세계 주요 시장에 다수의 한국계 3PL 업체들이 진출해 있으며 공급이 나날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해외에 진출한 한국계 3PL 업체들의 영업대상이 상대적으로 손쉬운 한국물류시장을 주요 타겟으로 하는 태생적 한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때문에 해외에 진출한 한국계 3PL 업체들은 공급과잉 상태가 되어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영업대상이 한국물류시장에 국한되어 있어 경쟁은 나날이 치열해지고 있다. 이는 상대적으로 진입장벽이 낮은 서비스 산업에 기인한 것이다.
      해외에 진출한 한국계 3PL 업체들은 현지로컬 3PL 업체뿐만 아니라 같은 지역 내에 있는 다수의 한국계 3PL 업체들과도 경쟁해야 하는 어려운 환경에 놓여 있는 현실이다. 따라서 해외에 진출한 한국계 3PL 업체가 상대적으로 경쟁우위를 갖기 위해 어느 부문에 핵심역량을 집중해야 하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해외 파트너 선정에 따른 3PL 활용가치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된 빈도분석은 SPSS 26.0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여 이루어졌으며 3PL 선정요인이 해외파트너 선정에 미치는 영향과 3PL 활용가치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가설검정은 AMOS 26.0 버전을 이용하였다. 관련 당사자의 입장을 충분히 반영하고자 한국소재 수출입 업체, 해외 진출 수출입 업체, 한국소재 3PL 업체와 해외 진출 3PL 업체를 대상으로 표본을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했으며, 수출입 업체와 3PL 업체를 구분하여 그 차이점을 보완적으로 조사하였고 그 종합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독립변수인 인적인프라 요인 관련 전체표본의 연구결과와 수출입 업체 그리고 3PL 업체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전체표본과 수출입 업체의 표본에서는 인적인프라 요인이 매개변수인 한국계 3PL 활용가치와 현지 로컬 3PL 활용가치에 영향을 미친다는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그러나 3PL 업체 표본에서는 매개변수 모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평판 요인 관련 전체표본과 수출입 업체 그리고 3PL 업체, 세 표본 모두 기업평판 요인이 매개변수인 한국계 3PL 활용가치와 현지 로컬 3PL 활용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물류서비스 요인은 특이하게도 전체표본과 수출입 업체 그리고 3PL 업체, 세 표본 모두 물류서비스 요인이 매개변수인 한국계 3PL 활용가치와 현지 로컬 3PL 활용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부정적 결과가 도출되었다.
      넷째, 관계자산 요인을 분석한 결과, 전체표본과 3PL 업체, 두 집단에서는 관계자산 요인이 매개변수인 한국계 3PL 활용가치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나, 현지 로컬 3PL 활용가치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같은 연구결과가 도출되었다. 반면에 수출입 업체 표본에서는 관계자산 요인이 매개변수인 한국계 3PL 활용가치와 현지 로컬 3PL 활용가치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매개변수인 한국계 3PL 활용가치 관련 전체표본과 수출입 업체 그리고 3PL 업체, 세 표본 모두 매개변수인 한국계 3PL 활용가치가 종속변수인 경쟁우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매개변수인 현지 로컬 3PL 업체는 성과인 경쟁우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학계에서 소홀이 다뤄지고 있던 인적인프라 요인과 관계자산 요인이 3PL 선정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함으로서 관련연구의 이론적 확장에 기여를 했으며, 치열한 글로벌 물류 시장에서 해외에 진출한 한국계 3PL 업체가 어느 부분에 핵심역량을 더 집중해야 경쟁우위를 확보하고 지속가능한 성장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결과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실무적으로 기여하였다.
      그러나 3자물류와 IT 서비스 그리고 컨설팅 서비스가 결합되어 보다 더 차별화된 물류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4자물류에 대한 연구가 향후 추가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제2절 연구의 방법 4
      • 제3절 연구의 구성 5
      • 제2장 이론적 배경 6
      • 제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제2절 연구의 방법 4
      • 제3절 연구의 구성 5
      • 제2장 이론적 배경 6
      • 제1절 서비스 품질 6
      • 1. 서비스 품질 6
      • 2. 고객만족 11
      • 3. 고객만족과 재구매 의도 16
      • 제2절 자원기반관점 18
      • 1. 기업의 경쟁우위 전략과 자원기반관점의 대두 18
      • 2. 무형자원의 개념과 분류 20
      • 3. 인적자원 22
      • 4. 고객평판 29
      • 제3절 관계품질 이론 31
      • 1. 관계품질의 개념 31
      • 2. 관계품질의 구성요인 32
      • 3. 관계마케팅 개념과 성과 34
      • 제3장 해외진출 한국계 3PL 업체의 활용가치와 현황 37
      • 제1절 글로벌 아웃소싱 37
      • 1. 글로벌 아웃소싱의 개념 37
      • 2. 글로벌 아웃소싱 기대효과 38
      • 제2절 제3자 물류 39
      • 1. 제3자 물류의 개요 39
      • 제3절 해외진출 한국계 3PL 업체의 활용가치와 선정요인에 대한 선행연구 45
      • 1. 해외진출 한국계 3PL 업체의 활용가치 45
      • 2. 국내외 3PL 업체 선정요인에 대한 선행연구 54
      • 제4장 연구모형 및 가설설정 59
      • 제1절 연구모형과 변수의 선정 59
      • 1. 모형설정의 배경 59
      • 2. 전문가 심층 인터뷰 60
      • 3. 연구모형 67
      • 제2절 연구가설의 설정 69
      • 1. 가설 설정 69
      • 제5장 실증분석 81
      • 제1절 자료분석 및 평가 81
      • 1. 표본의 선정 및 수집 81
      • 2. 표본의 특성 82
      • 3. 자료의 기초조사 84
      • 제2절 측정 항목의 평가 87
      • 1. 신뢰성 및 타당성 검토 87
      • 제3절 측정모델의 검정 93
      • 1.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93
      • 제4절 연구가설 검정 101
      • 1. 구조방정식 연구가설 검정 101
      • 2. 주요연구결과의 요약(전체 실증분석 결과) 104
      • 3. 국내외 수출입 업체와 3PL 업체 비교분석 109
      • 4. 주요연구결과의 요약(수출입 업체와 3PL 비교분석 결과) 116
      • 제6장 결론 및 시사점 123
      • 제1절 연구결과의 요약 및 논의 123
      • 제2절 연구의 시사점 127
      • 제3절 연구의 한계와 추후 연구방향 129
      • 참고문헌 130
      • 부 록 155
      • 국문초록 163
      • Abstract 16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