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종교간 대화의 전개에 관한 신학적 고찰 - 오늘날의 종교적 상황 안에서 그리스도교의 위치 - = A Theological Reflection on the Development of Interreligious Dialogue since the Second Vatican Council - The Place of Christianity in Today's Religious Situa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348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ver since the Second Vatican Council, the Catholic Church has taken more positive and receptive attitudes with regard to other religious traditions, developing good relations with them, that of mutual acceptance and respect, friendly dialogue and collaboration. However, these efforts of the Catholic Church to improve the relations with other religious traditions have caused not a few misunderstandings within and without the Church. The Church's open and positive attitudes in relation to other religious traditions have brought about a kind of confusion among the Christians, especially concerning their own Christian identity. Some Christians have thus considered the proclamation of the Gospel no longer as the priority of the Church's mission, and interreligious dialogue as its substitute. The present article attempts to reassure the Catholic faithful who live in today's multi-religious situations of their Christian identity. For this purpose, it first reviews the main tendencies of theology of religion developed in Christianity since the Second Vatican Council II and makes an issue of the popular perspectives of religion hidden in those tendencies. The article then examines the place of Christianity in the history of religion, and shows that Christian inclusivism is still valid in today's religious situations.
      번역하기

      Ever since the Second Vatican Council, the Catholic Church has taken more positive and receptive attitudes with regard to other religious traditions, developing good relations with them, that of mutual acceptance and respect, friendly dialogue and col...

      Ever since the Second Vatican Council, the Catholic Church has taken more positive and receptive attitudes with regard to other religious traditions, developing good relations with them, that of mutual acceptance and respect, friendly dialogue and collaboration. However, these efforts of the Catholic Church to improve the relations with other religious traditions have caused not a few misunderstandings within and without the Church. The Church's open and positive attitudes in relation to other religious traditions have brought about a kind of confusion among the Christians, especially concerning their own Christian identity. Some Christians have thus considered the proclamation of the Gospel no longer as the priority of the Church's mission, and interreligious dialogue as its substitute. The present article attempts to reassure the Catholic faithful who live in today's multi-religious situations of their Christian identity. For this purpose, it first reviews the main tendencies of theology of religion developed in Christianity since the Second Vatican Council II and makes an issue of the popular perspectives of religion hidden in those tendencies. The article then examines the place of Christianity in the history of religion, and shows that Christian inclusivism is still valid in today's religious situat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가톨릭교회는 다른 종교에 대해 보다 긍정적이고 수용적인 태도를 취하면서 그리스도교와 타종교의 관계를 상호인정과 존중, 대화와 협력의 관계로 발전시켜왔다. 하지만 타종교와의 관계 증진을 위한 가톨릭교회의 노력은 교회 안팎으로 적지 않은 오해를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교회의 타종교에 대한 개방과 대화의 자세는 그리스도인들에게 그리스도인으로서의 자기정체성에 혼란을 주기도 했고, 또한 그들에게 복음 선포는 더 이상 교회의 가장 중요한 사명이 아니라 종교간 대화가 복음 선포를 대신하게 되었다고 여기도록 하기도 했던 것이다. 본 논문은 오늘날 다종교적 상황 안에 사는 가톨릭 신자들에게 그들의 종교적 정체성을 재확인시키고자 한다. 그러기 위해서 본 논문은 먼저 공의회 이후 그리스도교 안에서 진행되어온 종교 신학의 동향을 살펴보고 이러한 동향 안에 숨어 있는 현대인의 종교관을 문제시한다. 그리고 그리스도교가 과연 종교의 역사 안에서 어떤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지를 살펴본 다음, 오늘날의 시대적 종교적 상황 안에서도 그리스도교적 포괄주의가 여전히 유효함을 보여주고자 한다.
      번역하기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가톨릭교회는 다른 종교에 대해 보다 긍정적이고 수용적인 태도를 취하면서 그리스도교와 타종교의 관계를 상호인정과 존중, 대화와 협력의 관계로 발전시켜왔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가톨릭교회는 다른 종교에 대해 보다 긍정적이고 수용적인 태도를 취하면서 그리스도교와 타종교의 관계를 상호인정과 존중, 대화와 협력의 관계로 발전시켜왔다. 하지만 타종교와의 관계 증진을 위한 가톨릭교회의 노력은 교회 안팎으로 적지 않은 오해를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교회의 타종교에 대한 개방과 대화의 자세는 그리스도인들에게 그리스도인으로서의 자기정체성에 혼란을 주기도 했고, 또한 그들에게 복음 선포는 더 이상 교회의 가장 중요한 사명이 아니라 종교간 대화가 복음 선포를 대신하게 되었다고 여기도록 하기도 했던 것이다. 본 논문은 오늘날 다종교적 상황 안에 사는 가톨릭 신자들에게 그들의 종교적 정체성을 재확인시키고자 한다. 그러기 위해서 본 논문은 먼저 공의회 이후 그리스도교 안에서 진행되어온 종교 신학의 동향을 살펴보고 이러한 동향 안에 숨어 있는 현대인의 종교관을 문제시한다. 그리고 그리스도교가 과연 종교의 역사 안에서 어떤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지를 살펴본 다음, 오늘날의 시대적 종교적 상황 안에서도 그리스도교적 포괄주의가 여전히 유효함을 보여주고자 한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10-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Catholic Theology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6-28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CATHOLIC THE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 0.1 0.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09 0.07 0.59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