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rticle aims to re-examine Park Ji-won’s records on antiquities, calligraphy and painting(古董書畵) left behind and discuss art criticism(鑑賞之學) in detail. Park Ji-won(1737-1805) has written a wide range of observations on antiques an...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rticle aims to re-examine Park Ji-won’s records on antiquities, calligraphy and painting(古董書畵) left behind and discuss art criticism(鑑賞之學) in detail. Park Ji-won(1737-1805) has written a wide range of observations on antiques an...
The article aims to re-examine Park Ji-won’s records on antiquities, calligraphy and painting(古董書畵) left behind and discuss art criticism(鑑賞之學) in detail. Park Ji-won(1737-1805) has written a wide range of observations on antiques and art works and his thoughts on them in Yeonam-jip and Yeolhailgi. First of all, Park Ji-won diagnosed the trend of collecting antiques and art works that rapidly flowed from China and spread widely around Seoul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information on production and distribution, which is the basis of antique and art flavoring, was recorded in detail. In addition, Park Ji-won wrote about the qualities that enthusiasts need to enjoy antiques and artwork. Park aimed to remind Joseon’s antique and artwork lovers that the important thing in enjoying antiques and artworks is art appraisal and CheongGong(淸供). Park’s record on antiques and art works is at the heart of the reconstruction of art criticism. First he tried to break the conventional wisdom that antiques were auspicious. He then suggested that the culture of enjoying antiques and art works as a medium for measuring the situation in China, not only in aesthetic areas. Finally, Park Ji-won discussed art criticism compared to nine grades official selection system(九品中正). Through this perspective, he was wary of the independence and ahistoricity of art. This marks a very unique status in the logical geography of Joseon’s artistic criticism at the time.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우성, "한국의 역사상" 창작과비평사 106-115, 1982
2 노자키 세이킨, "중국미술상징사전" 고려대학교출판문화원 46-, 2011
3 방병선, "중국도자사 연구" 경인문화사 2012
4 이용진, "조선후기 고동기 수집과 감상" 7 : 109-141, 2018
5 홍선표, "조선시대 회화사론" 문예출판사 231-254, 1999
6 강명관, "조선시대 문학예술의 생성공간" 소명출판 306-307, 1999
7 이종묵, "조선시대 怪石 취향 연구-沈香石과 太湖石을 중심으로-" 한국한문학회 (70) : 127-158, 2018
8 안대회, "조선 후기 취미생활과 문화현상" 규장각한국학연구원 (60) : 65-96, 2012
9 장진성, "조선 후기 고동서화 수집열기의 성격: 김홍도의 <포의풍유도>와 <사인초상>에 대한 검토" 3 : 154-203, 2004
10 이종묵, "조선 후기 燕行과 花卉의 文化史" 규장각한국학연구원 (62) : 105-127, 2013
1 이우성, "한국의 역사상" 창작과비평사 106-115, 1982
2 노자키 세이킨, "중국미술상징사전" 고려대학교출판문화원 46-, 2011
3 방병선, "중국도자사 연구" 경인문화사 2012
4 이용진, "조선후기 고동기 수집과 감상" 7 : 109-141, 2018
5 홍선표, "조선시대 회화사론" 문예출판사 231-254, 1999
6 강명관, "조선시대 문학예술의 생성공간" 소명출판 306-307, 1999
7 이종묵, "조선시대 怪石 취향 연구-沈香石과 太湖石을 중심으로-" 한국한문학회 (70) : 127-158, 2018
8 안대회, "조선 후기 취미생활과 문화현상" 규장각한국학연구원 (60) : 65-96, 2012
9 장진성, "조선 후기 고동서화 수집열기의 성격: 김홍도의 <포의풍유도>와 <사인초상>에 대한 검토" 3 : 154-203, 2004
10 이종묵, "조선 후기 燕行과 花卉의 文化史" 규장각한국학연구원 (62) : 105-127, 2013
11 이은상, "장강의 르네상스" 민속원 19-43, 2009
12 김명호, "열하일기 연구" 창작과비평사 282-283, 1990
13 김혈조, "열하일기" 돌베개 2017
14 "연암집"
15 심경호, "역주 원중랑집 5" 소명출판 388-, 2004
16 이주현, "명청대 蘇州片 淸明上河圖 연구: 仇英 款 蘇州片을 중심으로"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6 : 167-199, 2012
17 배현진, "명말 도시문화 변화와 서화수장 취미 전개" 한국동양예술학회 (28) : 127-152, 2015
18 임대희, "구품관인법연구" 소나무 2002
19 박지원, "고추장 작은 단지를 보내니" 돌베개 17-, 2005
20 吳明娣, "美術與設計" 南京藝術學院 2019
21 이희관, "皇帝와 瓷器: 宋代官窯硏究" 경인문화사 79-82, 2016
22 정은주, "燕行에서 書畵 求得 및 聞見 사례 연구"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6 : 329-362, 2012
23 정은주, "燕行에서 中國 書畵 流入 경로" 명청사학회 (38) : 319-352, 2012
24 손정희, "洪敬謨의 「山居十供記」와 19세기 淸供의 문화적 함의" 규장각한국학연구원 (61) : 221-247, 2013
25 황정연, "朝鮮後期 書畵收藏論 硏究― 서화수장에 대한 인식과 실제" 한국학중앙연구원 (24) : 193-231, 2010
26 陸萱, "明代繪畵中的清供圖像硏究" (122) : 2017
27 趙麗紅, "文房清供與清宮旧藏" (246) : 41-55, 2013
28 "宣德鼎彝譜 卷1"
29 이용진, "宋代 工藝批評書들과 鑑識眼" 한국미술사교육학회 30 : 341-368, 2015
30 이경화, "姜世晃의 <淸供圖>와 文房淸玩" 한국미술사학회 271272 (271272): 113-144, 2011
31 "博物要覽 권5, 論官窯器皿"
32 "元史 卷202, 「列傳」 第89 <釋老>"
33 정민, "18세기 조선 지식인의 발견: 조선 후기 지식 패러다임의 변화와 문화 변동" 휴머니스트 2007
고려말 東北面 영토개척과 영토의식: 公嶮鎭 두만강북설의 출현 배경
조선 전기 對明 使臣의 북경 ‘관광' 탄생과 외교적 의미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6-05-23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문화연구소 -> 규장각한국학연구원영문명 : Institute of Korean Studies ->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3 | 0.83 | 0.8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5 | 0.85 | 2.07 | 0.3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