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와 양육스트레스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564707

      • 저자
      • 발행사항

        수원: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2014. 8

      • 발행연도

        2014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경기도

      • 기타서명

        The Effects of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 Parenting Stress

      • 형태사항

        vii, 95 p.; 26 cm.

      • 일반주기명

        경기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문혜련
        참고문헌 : p. 57-72

      • 소장기관
        • 경기대학교 중앙도서관(수원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general tendency of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and parenting stress and differences among variables, and how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and parenting stresses effect on development of children’s se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general tendency of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and parenting stress and differences among variables, and how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and parenting stresses effect on development of children’s self-regulation. Also this study attempts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use of helping mot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or consultation field.
      To achieve this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How is marital satisfaction, parenting stress and children’s self-regulation?
      2. What is the effect of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on children’s self-regulation?
      2-1 How is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and children’s self-regulation?
      2-2 What is the effect of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on children’s self-regulation?
      3. What is the effect of mother’s parenting stress on children’s self-regulation?
      3-1 How is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children’s self-regulation?
      3-2 What is the effect of mother’s parenting stress on children’s self-regulation?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131 infants in 5 years old, who are in 8 kindergarten located in Yongin City, Kyeong-gi Province and 131 their mother and teacher respectively. The MSS(Marital Satisfaction Scale) method which is developed by Roach, Fraizer & Bowden(1981), and adapted and modified by Insoo Lee & Youngjoo Yu(1986) is used in order to measure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also measure of PSI(Parenting Stress Index) deveolped by Abidin(1990) and adapted by Hyeyoung Seo(1992) is applied to investigate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Scale of Self-regulation which is developed by Okseung Yang(2006) for teacher’s use, is applied to investigate children’s self-regulation.
      Materials were analyzed with one way ANOVA, t-test, Scheffe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the program,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8.0.

      The summary of this study is followed: First, the general tendency of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is above average and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in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depending on not their employment, monthly income in the home but only the number of children. The general tendency of mother's parenting stress is average and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in mother's parenting stress on not their employment, monthly income in the home but only the number of children. The general tendency of children's self-regulation is comparatively high and cognitive-regulation is higher than emotional-regulation.
      Second, There's a meaningful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and every field of children's self-regulation and recognition of marriage, lower factor of marital satisfaction positively affect on children's self-regulation.
      Third, There's a meaningful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every field of children's self-regulation and parent-child dysfunctional interaction, lower factor of parenting stress negatively affect on children's self-regulation.
      Fourth, mother's parenting stress draw greater negative influence on every field of children's self-regulation than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In conclusion, it represents that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and parenting stress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children's self-regulation. And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appears to affect on children's self-regulation more than the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supply the program which can raise a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and properly control mother's parenting stres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기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와 양육스트레스의 전반적인 경향과 변인별 차이를 알아보고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와 양육스트레스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

      본 연구는 유아기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와 양육스트레스의 전반적인 경향과 변인별 차이를 알아보고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와 양육스트레스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유아교육 현장이나 부모교육 등 상담현장에서 어머니 지원을 위해 실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관련하여 아래와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와 양육 스트레스 및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은 어떠한가?

      2. 어머니의 결혼만족도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1.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2-2. 어머니의 결혼만족도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1.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3-2.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용인시에 위치한 민간어린이집 8곳에 재원하고 있는 만 5세 유아 131명과 담임교사, 유아의 어머니 13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어머니의 결혼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Roach, Fraizer와 Bowden(1981)이 개발한 Marital Satisfaction Scale(MSS)을 이인수와 유영주(1986)가 번안․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고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Abidin(1990)이 개발한 ‘Parenting Stress Index’(PSI)를 서혜영(1992)이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양옥승(2006)이 교사용으로 개발한 자기조절능력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One-way ANOVA(일원변량분석)과 t-test(검증), Scheffe 검증을 실시하였고, 상관관계 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의 전반적인 경향성은 중간 이상이었으며 어머니의 개인변인(직업유무, 가정의 월 소득, 자녀수)에 따른 결혼만족도를 알아본 결과, 직업유무와 가정의 월소득에 따른 차이는 의미 있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자녀수에 따른 차이만 나타났다. 다음으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의 양상은 보통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개인변인(직업유무, 가정의 월 소득, 자녀수)에 따른 양육스트레스를 알아본 결과, 직업유무와 가정의 월소득에 따른 차이는 의미 있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자녀수에 따른 차이만 나타났다. 끝으로,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양상은 비교적 높은 편으로 나타났으며, 정서조절능력이 인지조절능력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결혼만족도는 자기조절능력의 모든 영역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는 결혼만족도의 하위 변인 중 결혼생활에 대한 인식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자기조절능력 전체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양육스트레스의 하위 변인 중 부모-자녀간 역기능적 상호작용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은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및 양육스트레스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만족도와 양육스트레스 모두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 중 양육스트레스가 보다 많은 설명력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어머니의 결혼만족도를 높이고 양육스트레스를 적절히 관리하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이 필요할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4
      • Ⅱ. 이론적 배경 6
      • 1. 결혼만족도 6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4
      • Ⅱ. 이론적 배경 6
      • 1. 결혼만족도 6
      • 1) 결혼만족도의 개념 6
      • 2) 결혼만족도의 관련변인 7
      • 2. 양육스트레스 11
      • 1) 양육스트레스의 개념 11
      • 2) 양육스트레스의 관련변인 13
      • 3. 자기조절능력 16
      • 1) 자기조절능력의 개념 16
      • 2) 자기조절능력의 중요성 17
      • 4.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와 양육스트레스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19
      • 1) 어머니의 결혼만족도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19
      • 2)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21
      • Ⅲ. 연구방법 23
      • 1. 연구대상 23
      • 2. 연구도구 24
      • 1)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24
      • 2)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25
      • 3)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26
      • 3. 연구절차 27
      • 1) 예비 연구 27
      • 2) 본 연구 28
      • 4. 자료분석 28
      • Ⅳ. 연구결과 30
      • 1.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와 양육스트레스 및 자기조절능력 30
      • 2. 어머니의 결혼만족도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38
      • 3.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43
      • Ⅴ. 논의 및 제언 47
      • 1. 논의 47
      • 2. 결론 및 제언 55
      • 참고문헌 57
      • 부 록 73
      • 부록 1.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설문지 75
      • 부록 2.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설문지 77
      • 부록 3.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설문지 81
      • Abstract 9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