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반도 평화체제 논의에 따른 유엔군사령부 변화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United Nations command's change based on talking the Korean peace regim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530712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高麗大學敎, 2020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高麗大學校 大學院 , 北韓學科 , 2020

      • 발행연도

        2020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911.1 판사항(6)

      • DDC

        951.93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284 p. (쪽수복잡) : 삽화, 도표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南成旭
        권말부록: 1차 델파이 설문지
        참고문헌 수록

      • DOI식별코드
      • 소장기관
        • 고려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고려대학교 세종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한반도 평화체제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주한유엔군사령부 위상 과 역할 변화를 검토하고, 바람직한 정책적 대안을 세워보는데 연구 목적을 두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

      본 논문은 한반도 평화체제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주한유엔군사령부 위상
      과 역할 변화를 검토하고, 바람직한 정책적 대안을 세워보는데 연구 목적을
      두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018년 4월 27일 판문
      점 평화의 집에서 만나 남북정상회담을 개최하고, 「한반도 평화와 번영, 통
      일을 위한 판문점 선언」에 서명하였다. 남북한 정상들이 판문점 선언에서
      약속한 대로 한반도에 항구적이며 공고한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긴 여정이
      시작되었고, 가시적인 성과들이 잇따랐다.
      남북 사이에 조성된 화해·협력 분위기는 전쟁위기에 내몰렸던 북미관계 개
      선에도 긍정적 효과를 가져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
      원장이 같은 해 6월 12일 싱가포르에서 개최된 역사상 첫 북미 정상회담을
      통해 완전한 비핵화와 평화체제 보장, 북미관계 정상화 추진, 한국전쟁 전사
      자 유해송환 등 4개항에 합의하는 외교적 성과를 거두었다. 북한과 미국은 이
      후 실무급 대화채널을 가동해 비핵화 논의를 지속하기로 하였다.
      남북·북미 간에 완전한 비핵화를 비롯한 한반도 평화체제 논의가 급물살을
      타면서 주한유엔군사령부 향배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동북아 세력균형 산물
      인 한반도 정전체제와 유엔사는 동전의 양면처럼 불가분의 관계를 유지하기
      때문에 평화체제 구축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유엔사 위상과 역할의 재정립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하지만 남북정상회담 3차례, 북미정상회담 2차례를 거치는 과정에서 순풍
      을 타고 진행되었던 한반도 평화체제 프로세스는 비핵화 해법을 둘러싸고 역
      풍을 맞았고, 협상 결렬에 이어 경색 국면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아울러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연장과 한미 방위비 협상 등을 놓
      고 한·미·일 사이에 불협화음이 조성돼 전통의 남방 삼각관계는 한때 위기를
      맞이하였다.
      이에 따라 한반도 평화체제의 새로운 좌표를 설정하기 위해 남북한이 대
      립과 갈등을 극복하고 최초로 평화체제에 대해 의견접근을 이뤘던 남북기본
      합의서와 4자회담, 6자회담 등에 대해 역사적 흐름과 특징들을 정리해 보았
      다. 그 과정에서 유엔사는 어떻게 자리매김 되었는지 평가해 보고, 앞으로 어
      떠한 방향으로 나아갈지 등을 검토해 보는데 본 연구의 의미를 부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외교안보 전문가와 전 현직 정부 부처 당국자, 베테랑 내외신
      기자, 6자회담 관계자, 대학교수 등을 대상으로 델파이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
      과, 조속한 종전선언 채택과 평화체제 도입, 유엔사 해체 및 새로운 동북아
      안보협의체 탄생 등의 결론을 도출해 내었다.
      다시 말해 한반도 평화체제가 앞으로 10년 이내 구축될 것이라는 긍정적
      반응이 61∼70%에 달하였고, 평화체제 구축을 위해 비핵화 조치와 미국과의
      협조체제, 군사적 신뢰조성 등을 해결해야 한다고 조사되었다. 유엔사 존속에
      대한 긍정적 반응보다 부정적 반응이 2배가량 많았으며, 유엔사가 해체될 경
      우 새로운 동북아 안보기구를 창설해야 한다는 반응을 보였다.
      하지만 유엔사 해체는 절차상 유엔 안보리 결의 또는 미국의 동의 등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가능성이 높지 않다. 따라서 한국과 미국은
      유엔사 존속을 전제로 협의체를 가동해 토대 구축작업을 진행해야 한다. 무엇
      보다 한국이 유엔사에서 소재국(Host State) 위상을 정립해야 하고, 유엔사와
      주둔군지위협정(SOFA)을 체결해야 한다. 또 재활성화되는 유엔사에서 한국
      이 부사령관 지위를 확보해 주요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해 전략적 삼각관계의
      피봇국가 지위를 확보해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머리말 1
      •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
      • 1. 연구의 배경 1
      • 2. 연구의 목적 8
      • 제2절 선행 연구 및 연구 범위 13
      • 제1장 머리말 1
      •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
      • 1. 연구의 배경 1
      • 2. 연구의 목적 8
      • 제2절 선행 연구 및 연구 범위 13
      • 1. 기존 연구의 검토 13
      • 2. 연구의 범위. 18
      • 제3절 연구 방법과 분석틀 20
      • 1. 연구의 방법 20
      • 2. 분석틀과 논문 구성 22
      • 제2장 유엔사에 대한 이론적 고찰. 29
      • 제1절 전략적 삼각관계 이론. 29
      • 1. 전략적 삼각관계 개념. 29
      • 2. 전략적 삼각관계 유형. 33
      • 3. 전략적 삼각관계 안정도. 37
      • 제2절 전략적 삼각관계와 피봇외교 40
      • 1. 전략적 삼각관계의 북미중 적용 40
      • 2. 비대칭 전략적 삼각관계. 42
      • 3. 전략적 삼각관계와 피봇외교. 44
      • 제3장 한반도 평화체제와 유엔사 변천과정 47
      • 제1절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논의. 47
      • 1. 평화체제 논의 경과. 47
      • 2. 평화체제 방법론. 65
      • 3. 평화체제와 유엔사 변수. 75
      • 제2절 유엔사에 대한 일반적 고찰 78
      • 1. 유엔사 기원 및 역사적 변천. 78
      • 2. 유엔사 조직과 주요 기능. 102
      • 3. 유엔사를 둘러싼 쟁점 분석 106
      • 제4장 北美中유엔사 입장: 해체론과 강화론 124
      • 제1절 북한의 유엔사 입장 125
      • 1. 북한의 유엔사 해체 주장 125
      • 2. 북한의 평화보장체계 수립 주장. 130
      • 3. 북한의 정전체제 무력화 도발 134
      • 제2절 미국의 유엔사 입장. 138
      • 1.유엔사와 연합사 관계 138
      • 2. 유엔사 재활성화 추진 배경 147
      • 3. 유엔사령관 청문회 발언 분석. 158
      • 제3절 중국의 유엔사 입장 162
      • 1. 한국전쟁과 삼각외교. 162
      • 2. 중국의 유엔진출과 이중적 지위. 167
      • 제4절 소결론 170
      • 제5장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분석. 179
      • 제1절 델파이 개념과 조사 설계 179
      • 1. 델파이 기법. 179
      • 제2절 연구 결과 및 논의 186
      • 1. 1차 델파이조사결과 186
      • 2. 234차 델파이조사결과 187
      • 제6장 유엔사 재활성화와 우리의 대응방안 199
      • 제1절 한국의 소재국 위상 정립 199
      • 제2절 주한유엔사 지위협정 필요성. 205
      • 제3절 유엔사 의사결정에 참여 보장. 207
      • 제4절 소결론. 210
      • 제7장 맺음말 212
      • 참고문헌 216
      • Abstract 238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연합사, 유엔사, "주한미군사", 『전략다이제스트 』, 2016, 2016

      2 이종성, "델파이 방법", 서울: 교육과학사, 2001

      3 정용태, "「국제연합군」", 『논문집5』. 제주대, 1966

      4 안용교, "「국제연합군」", 『대한국제법학회』. 제8권 2호. 서울: 대한국제법학회, 1963

      5 이한기, "『국제법강의』", 박영사, 1998

      6 이시우, "『유엔사령부』", 들녘, 2013

      7 김태현, "“세력균형이론”", 『현대 국제관계이론과 한국』. 서울: 사회평론, 2004

      8 김우상, "“세력전이이론”", 『현대 국제관계이론과 한국』. 서울: 사회평론, 2004

      9 박관숙, "「국제연합(UN)군」", 『월간고시 17』. 서울: 법학사, 1975

      10 김명기, "『국제법원론(하)』", 서울: 박영사, 1996

      1 연합사, 유엔사, "주한미군사", 『전략다이제스트 』, 2016, 2016

      2 이종성, "델파이 방법", 서울: 교육과학사, 2001

      3 정용태, "「국제연합군」", 『논문집5』. 제주대, 1966

      4 안용교, "「국제연합군」", 『대한국제법학회』. 제8권 2호. 서울: 대한국제법학회, 1963

      5 이한기, "『국제법강의』", 박영사, 1998

      6 이시우, "『유엔사령부』", 들녘, 2013

      7 김태현, "“세력균형이론”", 『현대 국제관계이론과 한국』. 서울: 사회평론, 2004

      8 김우상, "“세력전이이론”", 『현대 국제관계이론과 한국』. 서울: 사회평론, 2004

      9 박관숙, "「국제연합(UN)군」", 『월간고시 17』. 서울: 법학사, 1975

      10 김명기, "『국제법원론(하)』", 서울: 박영사, 1996

      11 노태준, "譯解. 『손자병법』", 서울: 홍신문화사, 2007

      12 김경록, 조성훈, 장삼열, 김창규, "『한미동맹 60년사』",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13

      13 최종기, "『현대국제연합론』", 서울: 박영사, 1964

      14 최종기, "“국제연합과 한국”", 『국제관계연구』. 제1권 2호. 서울: 국제관계연구 소, 1960

      15 연합사, 유엔사, "『전략다이제스트 』", 주한미군사, 2016

      16 이상철, "『한반도 정전체제』", 국방연구원, 2012

      17 남정옥, "『韓美軍事關係史 1871-』",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2, 2002

      18 유호열, "“북한의 한반도 평화관”", 한용섭 편.『미중 경쟁시대의 동북아 평화론: 쟁점, 과제, 구축전략』. 서울: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아연출판부, 2010

      19 설인효, "“유엔사의 어제와 오늘”", 『軍史』. 제108호.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2018

      20 제성호, "『한반도 안보와 국제법』", 서울: 한국국방연구원, 2010

      21 한용섭, "??한반도 평화와 군비통제??", 서울: 박영사, 2015

      22 B.B. Bell, "“role of United Nations Command”", Seoul Foreign Correspopndent Club 기자간담회, 년 1월 18일, 2007

      23 이한기, "「한국휴전협정의 제문제」", 『국제법학회 논총』제3권, 1958

      24 류병현, "『한미동맹과 작전통제권』", 대한민국재향군인회 안보복지대학, 2007

      25 최종기, "『국제연합군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국제관계연구소, 1973

      26 김명기, "『주한국제연합군과 국제법』", 서울: 국제문제연구소, 1990

      27 박형중, "“통일 대북정책과 국내정치”", 『대북포용정책과 한반도 평화체제의 모 색』. 서울: 통일문제연구협의회, 1999

      28 조시현, "「한국전쟁의 국제법적 성격」", 『서울대학교 법학』. 제 41권 2호. 서 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00

      29 강성학, "『동아시아 안보와 유엔체제』", 집문당, 2003

      30 박재규, "『북한의 신외교와 생존전략』", 서울: 나남출판, 1997

      31 엄국현, 윤금철, "『조선반도 평화적 보장문제』", 평양: 평양출판사, 2006

      32 박건영, "“국제관계이론의 역사와 계보”", 우철구 박건영 편. 『현대 국제관계 이론과 한국』. 서울: 사회평론, 2015

      33 이진명, "“동북아시아의 세력균형, -2001”", 『국제정치논총』56(4). 한국국 제정치학회, 2016, 1945

      34 이우탁, "『오바마와 김정일의 생존게임』", 서울: 창해, 2009

      35 안광찬, "“헌법상 군사제도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36 이한기, "「한국 통일문제와 유엔의 권능」", 『국제법학회논총』. 제21권 2호, 1976

      37 안병준, "『강대국 관계와 한반도 안보론』", 서울: 법무사, 1999

      38 조성훈, "『한미 군사관계의 형성과 발전』",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8

      39 이종석, "“한국전쟁과 북한-중국 관계(Ⅰ)”", 『전략연구』제15호. 한국전략문제 연구소, 1999

      40 한석표, "“한미군사지휘체계의 변동, -1978”",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1971

      41 정태욱, "「주한유엔군사령부의 법적 성격」", 『민주법학』. 통권 제34호. 서울: 민 주주의법학연구회, 2007

      42 김학준, "『한국전쟁: 원인 과정 휴전 영향』", 서울: 박영사, 2010

      43 박영호, "“미국의 한반도 정책과 통일문제”", 서울: 통일연구원, 2004

      44 제성호, "“한반도 평화구축과 북한 비핵화”", 『법학논문집』. 제43집 2호, 2000

      45 백진현, "“휴전협정 체제 대체에 대한 소고”", 『통일문제연구』.제3권 4호, 1991

      46 서주석, "「한반도 정전체제와 유엔군사령부」", 『통일시론』. 청명문화재단, 2001

      47 김우상, "『신한국책략Ⅱ: 동아시아국제관계』", 파주: 나남, 2007

      48 김명기, "“평화체제 구축에 관한 이론적 개관”", 『한반도 평화체제의 모색』. 서 울: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1997

      49 정태욱, "“한반도 평화체제 체결 전망과 과제”", 「평화협정과 주한유엔군사령 부」. 평화통일연구소 2차 한반도 평화체제 토론회, 년 5월 11일, 2007

      50 김명기, "「駐韓國際聯合軍과 駐韓美軍의 區別」", 『고시계』, 년 3월호, 1988

      51 유호열, "“한반도 분단체제의 변화와 통일시대”", 전국대학북한학과협의회 편. 『남북화해와 민족통일』. 서울: 을유문화사, 2001

      52 서동구, "『한반도 긴장과 미국 - 25년 전과 오늘』", 대한공론사, 1977

      53 이규하, "“국제연합군의 법적 지위에 관한 고찰”", 『법학연구』. 제21권 1호. 부 산대학교, 1979

      54 김구섭, "“한반도 평화협정 체결 가능성과 한계”", 『’95 통일논총』. 서울: 민 주평화통일자문회의, 1996

      55 김연철, "“한반도 평화체제: 포괄적 단계적 접근”", 6 15 남북정상회담 13주년 기념 학술회의 및 기념식 , 203년 6월 14일, null

      56 조성렬, "『뉴한반도 비전: 비핵 평화와 통일의 길』", 백산서당, 2012

      57 제성호, "“남북평화협정의 체결 방향과 법적 문제”", 『한미동맹 50년: 법적 쟁점 과 미래의 전망』. 백산서당, 2004

      58 노동영, "“한반도 통일에 있어 국제법상 UN의 역할”", 충북대학교 박사학위논 문, 2016

      59 백선엽, "『내가 물러서면 나를 쏴라: 1128일의 기억』", 중앙일보, 2010

      60 박종철, "『미국과 남북한: 갈등과 협력의 삼각관계』", 서울: 오름, 2002

      61 이철기, "“한반도 평화체제와 정치 군사적 방안 모색”", 이장희 편. 『북미관계 정상화와 한반도 평화체제 모색』. 서울: 아시아사회과학연구원, 2001

      62 제성호, "「유엔군 참전 정전협정 체결 기념의 타당성」", 『한국보훈논총』. 제 13권. 제1호, 2014

      63 송재익, "“한국군의 작전통제권 변동요인에 관한 연구”", 한양대 박사학위논 문, 2007

      64 제성호, "“한반도 평화구축에 관한 남북한의 입장비교”", 『법학논문집』. 제24 집 1호, 2000

      65 이종석, "「북한주둔 중국인민지원군 철수에 관한 연구」", 세종연구소, 2014

      66 이신재, "“조선인민군 총정치국 설치 배경에 대한 연구”", 『군사』제83호. 국방 부 군사편찬연구소, 2012

      67 김봉현, "“평화협정 체결 과정에서의 유엔사 해체 문제”", 오윤경 외. 『21세기 현대 국제법 질서-외교 실무자들이 본 이론과 실제』. 박영사, 2001

      68 이기범, "“유엔군사령부의 미래 역할 변화와 한국의 준비”", 「issue BRIEF」. 서울: 아산정책연구원, 2019

      69 김명기, "“국제법상 국군의 작전지휘권 이양 공한의 유효성”", 『육사 논문 집』. Vol. 15, 1976

      70 박정호, "“남조선에서 감행된 미제의 악랄한 핵기지화 책동”", 『사회과학원 학 보』. 루계 제 61호. 평양: 사회과학원 인쇄공장, 2008

      71 황원탁, "“정전협정의 대체 이후 한국방위체제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2005

      72 남일, "“제네바회의 최종회담에서 한 남일 외무상의 연설”", 국토통일원 편. 『남북한 통일제의 자료총람 제1권-1974.12.31): 북한제의주장자 료』. 서울: 국토통일원, 1985, 1945

      73 김기호, "“美, 유엔사 재활성화 ‘동아시아판 나토’ 만든다”", 『신동아』. 제722 호, 년 11월호, 2019

      74 문진욱, "“유엔사의 역사적 재고찰과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군사연구』. 제135집. 육군 군사연구소, 2013

      75 김선표,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과 유엔사 문제에 대한 소고”", 『서울국제법연 구』. 제12권 2호, 2005

      76 김명기, "“국제연합군사령부의 해체와 한국 휴전협정의 존속”", 단국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1976

      77 이장희, "『한국정전협정 종결과 동북아시아 새 평화체제 구축』", 서울: 아 시아사회과학연구원, 2007

      78 최종기, "“국제연합군에 관한 연구: 이론과 실제면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72

      79 임예준, "“년 반둥회의가 유엔체제와 국제법 질서에 미친 영향”", 『국제법 평론』. 2015-Ⅱ. 통권 제42호, 2015, 1955

      80 제성호, "『한반도 평화체제의 모색: 법규범적 접근을 중심으로』", 지평서원, 2000

      81 김동욱, "“주한 유엔군사령부 법적 지위와 전시작전통제권전환”", 『軍史』. 제 71호, 2009

      82 길정우, "“한반도 냉전구조 해체방안: 포괄적 논의를 위한 시론”", 「한반도 냉 전구조 해체방안(1): 장기 포괄적 접근전략」. 통일연구원 29차 국내학술회의. 년 2월 26일, 1992

      83 이상옥, "『전환기의 한국외교: 이상옥 전 외무장관 외교 회고록』", 서울: 삶과 꿈, 2002

      84 홍석률, "『분단의 히스테리: 공개문서로 보는 미중관계와 한반도』", 서울: 창 비, 2012

      85 노명준, "『유 엔 씨의 해체 시에 고려해야할 제 문제에 대한 연구』", 국통정 77-12-1362. 서울: 국토통일원, 1977

      86 신범철, "“-2019 비핵화 프로세스를 통해 본 북한의 전략적 의도 분석”", 『전략연구』, 제26권 2호.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019.7, 2018

      87 김구섭, "“유엔사 북한군간 장성급 대화 재개와 정전협정체제의 재음미”", 『북 한』. 서울: 북한연구소, 1998

      88 윤덕민, "「한반도 평화협정에 관한 연구: 평화협정의 쟁점사항을 중심으로」", 『정책연구시리즈 99-10』, 2000

      89 장광현,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에 따른 유엔군사령부 재활성화에 관한 연구”", 아주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90 김명기, "“북한 붕괴시 흡수통일에의 미국 개입의 법적 근거와 개입배제 대 책”", 『국제법학회 논총』. 제43권 1호, 1989

      91 남성욱, "“한반도 급변사태와 우리의 효율적 대응방안: 경제 분야를 중심으 로”", 『북한 급변사태와 우리의 대응』. 서울: 한울아카데미, 2007

      92 김태현, "“미국, 대북정책 변화의 숨은 디자이너, 필립 젤리코 전 국무부 자문관”", 『신동아』제571호, 년 4월호, 2007

      93 아나톨리, "토르쿠노프 저. 허남성 이종판 역. 『한국전쟁의 진실: 기원, 과정, 종결』", 국방대 안보문제연구소, 2002

      94 서유상, "“리틀 펜타곤은 명령만 떨어지면 언제든지 한반도 향해 방아쇠 당길 것”", 『민족 21』. 106-111, 년 1월호, 2006

      95 강성학, "“합의서 발효 이후 남북한 군비통제와 주한미군 및 유엔사 역할과 전 망”", 『군비통제』. 제9집, 연대 미상, null

      96 정재욱, "“전시작전통제권 전환과 한미동맹: 유엔군사령부의 역할 정립을 중심으 로”", 『JPI 정책포럼』. 제주평화연구원, 2014

      97 김창형, "“미제 침략자들을 철거시키는 것은 조국의 자주적 평화통일을 위한 선 결문제”", 『근로자』제11호. 평양: 근로자사, 1972

      98 정신영, "“한국전쟁 시 북 중 연합사에 대한 연구: 기원, 전쟁수행, 해체 요인 을 중심으로”", 국방대학교 안전보장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99 김명기, "“국제법상 작전통제권의 환수에 따라 제기되는 법적 제 문제와 그에 대한 대책방안”", 『입법과 정책』. 제7권 2호. 국회 입법조사처, 2015

      100 김경일, "지음. 홍면기 옮김. 『중국의 한국전쟁 참전 기원: 한중관계의 역사적지정학적 배경을 중심으로』", 서울: 논형,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