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핵심 플랫폼인 모바일을 중심으로 소비자의 정보탐색행동을 소비자성향에 따라 발생하는 차이에 대하여 탐색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소비자 성향별로 구매직전까지에 이르는 탐색...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706386
서울 : 성균관대학교, 2015
학위논문(석사) -- 성균관대학교 경영대학원 , MS in Managemant , 2015. 2
2015
한국어
모바일 정보 탐색 ; 소비자 구매의사결정 ; 충동적 성향 ; 과시적 성향 ; 키워드 검색
658 판사항(22)
서울
(An) exploratory study on mobile information searching behaviour according to consumer's propensity
42 p. : 삽화, 도표 ; 30 cm
지도교수: 한상만
참고문헌: p.36-4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핵심 플랫폼인 모바일을 중심으로 소비자의 정보탐색행동을 소비자성향에 따라 발생하는 차이에 대하여 탐색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소비자 성향별로 구매직전까지에 이르는 탐색...
본 연구는 핵심 플랫폼인 모바일을 중심으로 소비자의 정보탐색행동을 소비자성향에 따라 발생하는 차이에 대하여 탐색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소비자 성향별로 구매직전까지에 이르는 탐색시기(탐색 초기, 탐색 중기, 구매 기간)에 나타나는 차이를 파악하였다. 이에 따른 분석을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소비자 성향을 충동과시적 성향, 충동실용적 성향, 계획실용적 성향, 계획과시적 성향인 4가지로 분류하였으며 각 성향에 해당되는 소비자들의 탐색시기별 정보탐색행동을 키워드 검색 수준(브랜드, 제품명, 제품군)으로 분류하였다. 충동과시적 성향의 소비자는 탐색 초기와 구매기간에는 정보탐색량이 크게 증가하여 탐색행동의 시기가 짧고 연속적이지 못하는 것으로 보이며, 충동실용적 성향은 정보탐색 자체가 탐색중기에만 활발히 이루어지는 것으로 볼 때 탐색활동 자체에 연속성이 없고 가장 탐색행동이 강하고 짧은 충동적인 성향을 보였다. 계획실용적인 성향은 전 탐색기간에 걸쳐 탐색량이 매우 낮다가 구매기간에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계획과시적인 성향은 전반적으로 모든 시기에 걸쳐 탐색량의 빈도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매기간으로 갈수록 상품명 검색에 대한 빈도는 줄고 제품군과 브랜드 검색이 점차적으로 급증하는 것으로 보아 구매 제품의 상품 자체의 효용보다 브랜드나 제품군이 가지는 이미지와 가치에 더 중점을 두는 것으로 과시적인 측면에 동시에 확인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분석결과는 기존 소비자를 세분화하여 키워드 검색 수준에 따른 정보탐색행동의 차이를 발견하였고 이는 마케팅 실무자와 유통업자에게 매우 유용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