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인의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효과성에 대한 메타분석 = A Meta-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the Self-Esteem Enhancement Program for the Elderl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081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esent study aimed to present meta-analytic reviews of the effectiveness of self-esteem enhancement programs for the elderly by systematically examining previous research findings. Data were collected from 76 research articles and theses conducted from 1990 to 2013.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CMA 2.0. Major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program effect size was very high. Seco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ypes of self-esteem enhancement programs. Third, the magnitude of effect siz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terms of the number of a program session, showing that the highest effect size was presented in the self-esteem enhancement program with 10-19 session. However, the length of program implementation mad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agnitude of effect size. Lastly, the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magnitude of effect size was not found in the characteristics of program participants(general elders, dementia elders, sick elders/ facility elders, home-stay elders/urban, rural, others). These findings support the effectiveness of self-esteem enhancement programs and could be used in implementing and developing a self-esteem enhancement program.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findings were discussed.
      번역하기

      The present study aimed to present meta-analytic reviews of the effectiveness of self-esteem enhancement programs for the elderly by systematically examining previous research findings. Data were collected from 76 research articles and theses conducte...

      The present study aimed to present meta-analytic reviews of the effectiveness of self-esteem enhancement programs for the elderly by systematically examining previous research findings. Data were collected from 76 research articles and theses conducted from 1990 to 2013.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CMA 2.0. Major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program effect size was very high. Seco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ypes of self-esteem enhancement programs. Third, the magnitude of effect siz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terms of the number of a program session, showing that the highest effect size was presented in the self-esteem enhancement program with 10-19 session. However, the length of program implementation mad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agnitude of effect size. Lastly, the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magnitude of effect size was not found in the characteristics of program participants(general elders, dementia elders, sick elders/ facility elders, home-stay elders/urban, rural, others). These findings support the effectiveness of self-esteem enhancement programs and could be used in implementing and developing a self-esteem enhancement program.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findings were discu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노인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을 실시한 선행연구들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해 보다 면밀하고 통찰력 있는 지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분석대상은 1990년부터 2013년까지 국내에서 수행된 학술논문과 석․박사 학위논문을 중점으로 총 76편의 논문을 최종 선정하여 논문에 제시한 통계치들을 분석자료로 수집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전체평균효과크기는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프로그램 종류에 따른 효과크기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프로그램의 개입특성 중 개입횟수의 효과크기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10-19회기의 프로그램 진행이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프로그램의 개입기간의 효과크기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넷째, 프로그램 참여노인의 특성(일반노인, 치매노인, 질병노인 / 시설노인, 재가노인 / 도시, 농촌, 기타)에 따른 효과크기 차이의 유의성은 검증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경험적 근거가 될 것이며, 노인들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새로운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를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노인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을 실시한 선행연구들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해 보다 면밀하고 통찰력 있는 지식을 제공하...

      본 연구는 노인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을 실시한 선행연구들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해 보다 면밀하고 통찰력 있는 지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분석대상은 1990년부터 2013년까지 국내에서 수행된 학술논문과 석․박사 학위논문을 중점으로 총 76편의 논문을 최종 선정하여 논문에 제시한 통계치들을 분석자료로 수집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전체평균효과크기는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프로그램 종류에 따른 효과크기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프로그램의 개입특성 중 개입횟수의 효과크기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10-19회기의 프로그램 진행이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프로그램의 개입기간의 효과크기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넷째, 프로그램 참여노인의 특성(일반노인, 치매노인, 질병노인 / 시설노인, 재가노인 / 도시, 농촌, 기타)에 따른 효과크기 차이의 유의성은 검증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경험적 근거가 될 것이며, 노인들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새로운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를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안젤라, "회상을 주제로 한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2003

      2 김상민, "회상 집단프로그램이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한남대학교 대학원 2008

      3 송대현, "한국노인들의 자존심에 관한 연구" 12 (12): 79-96, 1992

      4 김상룡, "치료레크리에이션" 도서출판 좋은사람들 2010

      5 송예희, "집단회상프로그램이 노인의 우울, 생활만족도,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정책·산업대학원 2008

      6 유경금, "집단미술치료가 편마비노인의 우울감소와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9 (9): 173-192, 2009

      7 이애경, "집단미술치료가 시설 여성노인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2 (2): 51-69, 2006

      8 김연화, "집단 레크리에이션 요법이 시설노인의 우울 및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10 (10): 19-31, 1999

      9 이현주, "증거기반실천을 위한 정신보건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한 메타분석 : 정신장애인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3

      10 조중현, "중학생 대상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3

      1 김안젤라, "회상을 주제로 한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2003

      2 김상민, "회상 집단프로그램이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한남대학교 대학원 2008

      3 송대현, "한국노인들의 자존심에 관한 연구" 12 (12): 79-96, 1992

      4 김상룡, "치료레크리에이션" 도서출판 좋은사람들 2010

      5 송예희, "집단회상프로그램이 노인의 우울, 생활만족도,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정책·산업대학원 2008

      6 유경금, "집단미술치료가 편마비노인의 우울감소와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9 (9): 173-192, 2009

      7 이애경, "집단미술치료가 시설 여성노인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2 (2): 51-69, 2006

      8 김연화, "집단 레크리에이션 요법이 시설노인의 우울 및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10 (10): 19-31, 1999

      9 이현주, "증거기반실천을 위한 정신보건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한 메타분석 : 정신장애인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3

      10 조중현, "중학생 대상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3

      11 최신영,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초등학교 집단상담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2 이미현,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전주대학교 상담대학원 2010

      13 임지선,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인본주의적/인지·행동적 집단상담효과의 메타분석"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1

      14 김민석, "자살예방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사회복지연구소 30 : 27-56, 2012

      15 유현숙, "인지행동적 집단상담이 양로원 노인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40 (40): 117-137, 2012

      16 양혜경,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뇌졸중노인의 우울증 감소와 자아존중감 증진에 미치는 효과성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49) : 127-144, 2010

      17 장석진, "음악게임치료가 요양병원 노인환자의 인지기능, 우울감,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사)한국컴퓨터게임학회 25 (25): 117-127, 2012

      18 정효영, "원예치료가 주간보호시설을 이용하는 여성노인의 우울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13 (13): 53-61, 2010

      19 오현자, "원예치료가 독거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자아 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목포대학교 대학원 2009

      20 장유진, "원예치료 효과 검증을 위한 연구논문의 메타분석" 한국원예학회 28 (28): 701-707, 2010

      21 유용권,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시설노인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13 (13): 7-15, 2010

      22 박행단, "웃음치료프로그램의 노인 우울증 개선 효과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2013

      23 정진숙, "웃음치료가 시설거주 노인의 수면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1

      24 사영화, "요양시설 입소노인의 이용만족도와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우울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5 (15): 706-716, 2014

      25 공은숙, "외모가꾸기 프로그램이 여성치매노인의 자아존중감과 불안에 미치는 효과" 한국노년학회 30 (30): 815-830, 2010

      26 이종호, "온라인 학습에서 실재감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3

      27 정순둘, "여성노인과 남성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관한 인식 비교연구" 한국노년학회 27 (27): 829-845, 2007

      28 황성동, "알기쉬운 메타분석의 이해" 학지사 2014

      29 정인희, "성인 생애주기별 자아존중감과 영향요인 연구: 청년, 중년, 노년층의 비교"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8 (8): 235-250, 2012

      30 김영숙, "사회복지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교육과학사 2002

      31 이창희, "사회복지조사론" 창지사 2012

      32 황성철,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공동체 2008

      33 홍숙자, "미술치료를 활용한 노인 자아존중감 증진교육프로그램 효과 연구 - 생애회고 기법을 중심으로 -" 한국미술치료학회 15 (15): 627-642, 2008

      34 황성동, "메타분석의 이해와 활용"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연구방법 및 데이터분석센터 2013

      35 오성삼, "메타분석의 이론과 실제" 건국대학교출판부 2002

      36 서경현, "독거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우울"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9 (9): 115-137, 2003

      37 김태현, "독거노인의 자아존중감, 스트레스, 사회적 지원 경험유무에 따른 심리적 복지감" 한국가족관계학회 9 (9): 81-106, 2004

      38 이운선,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장로회신학대학교 목회전문대학원 2009

      39 권정희, "독거노인의 일상생활스트레스가 자아존중감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청주대학교 사회복지행정대학원 2014

      40 조추용, "노인의 죽음태도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63) : 203-227, 2014

      41 최인, "노인의 자살충동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 한국보건사회학회 25 (25): 35-58, 2009

      42 성기월, "노인의 인지기능, 자아존중감과 우울정도" 27 (27): 36-48, 1999

      43 김미선, "노인의 우울, 자아 존중감 및 삶의 질 연구" 한양대학교 임상간호정보대학원 2014

      44 이신숙, "노인의 연령 정체감, 노인에 대한 태도,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 연구" 한국생활과학회 22 (22): 57-73, 2013

      45 오종희, "노인의 여가활동과 자아존중감및 생활만족도의 관계" 7 (7): 161-186, 2010

      46 김재필, "노인의 스포츠참여에 따른 자아존중감, 고독감 및 우울간의 인과분석" 9 (9): 261-274, 2000

      47 윤명숙, "노인의 경제상태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한국노년학회 32 (32): 397-413, 2012

      48 정양숙, "노인에게 적용된 운동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49 정여주, "노인미술치료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노년학회 25 (25): 73-86, 2005

      50 최말옥, "노인 생활 만족도 및 자아존중감과 우울감에 대한집단 음악 프로그램 효과성 비교 연구- 시설.재가 노인을 대상으로 -" 한국노인복지학회 8 (8): 303-324, 2005

      51 이혜숙, "노인 대상의 교육 및 치료 프로그램 효과 연구의 메타분석" 한국노인복지학회 56 (56): 93-114, 2012

      52 권태연, "노년기 연소노인, 중고령노인, 초고령노인 집단의 스트레스 요인과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 2요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0 (40): 163-196, 2009

      53 최유호, "노년기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바디이미지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성" 한서대학교 대학원 2012

      54 이신숙, "남녀 노인의 경제상태, 건강상태, 성역할 정체감에 따른 자아존중감" 4 (4): 1-10, 2001

      55 진영선, "기억 향상 요소를 강화한 노인 집단 자서전 쓰기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노년학회 31 (31): 401-417, 2011

      56 임영아, "근거중심사회복지실천을 위한 노인미술치료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3

      57 한예희, "그림책을 활용한 회상중심 문학치료가 노인의 자기존중감과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2

      58 박소연, "국내 노인을 대상으로 한 낙상예방 운동프로그램이 근력증가에 미치는 효과: 메타분석"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 18 (18): 38-48, 2011

      59 Whall, A. L, "Self-esteemand themental health of older adults" 8 (8): 41-42, 1987

      60 Maslow, A, "Motivation and personality" Haper &RowPublishers Inc 1970

      61 Higgins, J. P, "Measuring inconsistency in metaanalyses" 327 : 557-560, 2003

      62 Rosenberg, M, "Black andwhite self-esteem: The urban school child" Ros-Monograph Seties 197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4 1.34 1.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4 2.08 2.242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