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어린이 영자 신문을 활용한 초등 영어 읽기 지도 = Teaching Elementary English Reading Using Children's English Newspap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6608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에서는 초등 영어를 정규 교과로 도입하여 1997년에 3학년 학생들로부터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가르쳐오고 있다. 초등 영어 교육은 아동의 특성상 재미있고 흥미로운 내용과 방법으로 학습자의 동기와 관심을 유발함으로써 이후의 중등 영어 교육을 위한 발판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다양한 교수법의 연구가 그 동안 꾸준히 진행되어져 왔다. 그러나 현행 초등학교의 영어 수업을 보면 교과서 위주의 CD-ROM을 통한 대화 연습, 노래, 게임, 챈트 등의 활동을 매 단원마다 반복하여 지도하고 있으나 고학년이 될수록 지루함을 느끼게 된다. 초등학교 영어 교육의 목표가 어린이들이 영어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갖게 하고 기초 영어를 이해하고 표현하는 능력을 기르며, 다른 문화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것이라고 볼 때, 영어 읽기를 지도하는 최선의 방법은 이해 가능한 많은 자료들을 읽을 수 있도록 학습시키는 것과 어린이들이 영어에 대한 흥미를 갖고 자기 주도적으로 메시지를 취사 선택할 수 있도록 학습시키는 것이라고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교과서 중심의 영어 읽기 수업에서 탈피하여 어린이 영자 신문을 활용한 교육활동이 우리나라 초등학교 영어 학습자들에게는 영어 읽기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줄 것인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미 신문을 이용한 교육 활동의 효과에 대해서는 타 교과에서 많이 연구되어 왔지만,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영자신문을 이용한 교육활동의 효과나 적용방법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 미흡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 영자신문을 활용한 읽기 지도가 초등학교 학습자의 읽기 능력과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실험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영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14주간 실시되었다. 실험집단에서는 1차시를 제외한 2, 3, 4차시에 각 20분씩 어린이 영자신문을 활용하여 읽기 수업을 하였고, 통제집단에서는 기존의 수업 방식대로 놀이 중심의 읽기 수업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을 상·하위집단으로 구분하고, 실험 이전·이후에 실시한 읽기 능력 평가와 읽기 활동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계 처리한 결과, 영자신문을 활용한 읽기 지도가 학습자의 읽기 능력과 읽기 활동에 대한 태도에 미친 영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 이후 평가 점수를 바탕으로 읽기 능력의 향상 정도를 살펴본 결과, 어린이 영자 신문을 활용한 수업을 받은 실험 집단은 교과서를 중심적 매체로 활용한 전통적 수업을 받은 통제집단에 비해 영어과 읽기 점수 향상도에 있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내 상·하위 집단의 읽기 능력 변화에서도 어린이 영자 신문을 활용한 실험집단의 상·하위 집단 학습자들이 전통적 영어 수업 집단인 통제집단의 상·하위 학습자들에 비하여 읽기 능력 향상에도 각각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린이 영자신문을 활용한 영어 읽기 수업을 받은 실험집단 내 상위집단은 어휘와 문장 찾아 읽기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4개 영역 즉, 소리-철자와의 관계이해, 단어의 의미이해, 글의 내용이해, 진위 파악 영역에서 크게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집단 내 하위 집단은 단어의 의미 이해를 제외한 나머지 4개 영역 즉, 소리-철자와의 관계이해, 어휘와 문장 찾아 읽기, 글의 내용이해, 진위 파악 영역 읽기의 모든 하위 영역에서 읽기 문항 점수가 크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실험 후 설문조사의 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이 영자신문을 활용한 수업에 만족하였으며, 신문을 활용한 수업이 영어 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와 호기심을 유발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론을 바탕으로 앞으로의 연구에 대한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영자 신문활용교육은 단기간에 끝내는 것이 아니라 장기간에 걸쳐 그 효과를 기다려야 할 것이다. 실험 기간동안 영자 신문활용교육을 받은 학생들이 신문활용교육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으므로 실험기간이 연장되었을 때 그 효과는 더욱 크게 나타날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영자 신문활용교육에서 학생들의 참여의식의 폭을 더욱 넓힌다면 학생스스로 영자 신문에서 자료를 찾고 그것을 정리해 나가는 과정을 통해 자기 주도적인 학습능력을 기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영어에 대한 가치를 깨닫게 될 것이다.
      넷째, 영어 학습자들이 영자 신문을 통하여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영자 신문 발간 측에서는 활자와 사진·삽화·컬러의 적절한 사용, 쉬운 문장의 어휘 등 교사와 학생들이 영자 신문과 친숙해지도록 다양하고 흥미로운 영자신문 프로그램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우리나라에서는 초등 영어를 정규 교과로 도입하여 1997년에 3학년 학생들로부터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가르쳐오고 있다. 초등 영어 교육은 아동의 특성상 재미있고 흥미로운 내용과 방법으...

      우리나라에서는 초등 영어를 정규 교과로 도입하여 1997년에 3학년 학생들로부터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가르쳐오고 있다. 초등 영어 교육은 아동의 특성상 재미있고 흥미로운 내용과 방법으로 학습자의 동기와 관심을 유발함으로써 이후의 중등 영어 교육을 위한 발판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다양한 교수법의 연구가 그 동안 꾸준히 진행되어져 왔다. 그러나 현행 초등학교의 영어 수업을 보면 교과서 위주의 CD-ROM을 통한 대화 연습, 노래, 게임, 챈트 등의 활동을 매 단원마다 반복하여 지도하고 있으나 고학년이 될수록 지루함을 느끼게 된다. 초등학교 영어 교육의 목표가 어린이들이 영어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갖게 하고 기초 영어를 이해하고 표현하는 능력을 기르며, 다른 문화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것이라고 볼 때, 영어 읽기를 지도하는 최선의 방법은 이해 가능한 많은 자료들을 읽을 수 있도록 학습시키는 것과 어린이들이 영어에 대한 흥미를 갖고 자기 주도적으로 메시지를 취사 선택할 수 있도록 학습시키는 것이라고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교과서 중심의 영어 읽기 수업에서 탈피하여 어린이 영자 신문을 활용한 교육활동이 우리나라 초등학교 영어 학습자들에게는 영어 읽기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줄 것인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미 신문을 이용한 교육 활동의 효과에 대해서는 타 교과에서 많이 연구되어 왔지만,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영자신문을 이용한 교육활동의 효과나 적용방법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 미흡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 영자신문을 활용한 읽기 지도가 초등학교 학습자의 읽기 능력과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실험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영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14주간 실시되었다. 실험집단에서는 1차시를 제외한 2, 3, 4차시에 각 20분씩 어린이 영자신문을 활용하여 읽기 수업을 하였고, 통제집단에서는 기존의 수업 방식대로 놀이 중심의 읽기 수업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을 상·하위집단으로 구분하고, 실험 이전·이후에 실시한 읽기 능력 평가와 읽기 활동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계 처리한 결과, 영자신문을 활용한 읽기 지도가 학습자의 읽기 능력과 읽기 활동에 대한 태도에 미친 영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 이후 평가 점수를 바탕으로 읽기 능력의 향상 정도를 살펴본 결과, 어린이 영자 신문을 활용한 수업을 받은 실험 집단은 교과서를 중심적 매체로 활용한 전통적 수업을 받은 통제집단에 비해 영어과 읽기 점수 향상도에 있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내 상·하위 집단의 읽기 능력 변화에서도 어린이 영자 신문을 활용한 실험집단의 상·하위 집단 학습자들이 전통적 영어 수업 집단인 통제집단의 상·하위 학습자들에 비하여 읽기 능력 향상에도 각각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린이 영자신문을 활용한 영어 읽기 수업을 받은 실험집단 내 상위집단은 어휘와 문장 찾아 읽기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4개 영역 즉, 소리-철자와의 관계이해, 단어의 의미이해, 글의 내용이해, 진위 파악 영역에서 크게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집단 내 하위 집단은 단어의 의미 이해를 제외한 나머지 4개 영역 즉, 소리-철자와의 관계이해, 어휘와 문장 찾아 읽기, 글의 내용이해, 진위 파악 영역 읽기의 모든 하위 영역에서 읽기 문항 점수가 크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실험 후 설문조사의 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이 영자신문을 활용한 수업에 만족하였으며, 신문을 활용한 수업이 영어 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와 호기심을 유발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론을 바탕으로 앞으로의 연구에 대한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영자 신문활용교육은 단기간에 끝내는 것이 아니라 장기간에 걸쳐 그 효과를 기다려야 할 것이다. 실험 기간동안 영자 신문활용교육을 받은 학생들이 신문활용교육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으므로 실험기간이 연장되었을 때 그 효과는 더욱 크게 나타날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영자 신문활용교육에서 학생들의 참여의식의 폭을 더욱 넓힌다면 학생스스로 영자 신문에서 자료를 찾고 그것을 정리해 나가는 과정을 통해 자기 주도적인 학습능력을 기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영어에 대한 가치를 깨닫게 될 것이다.
      넷째, 영어 학습자들이 영자 신문을 통하여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영자 신문 발간 측에서는 활자와 사진·삽화·컬러의 적절한 사용, 쉬운 문장의 어휘 등 교사와 학생들이 영자 신문과 친숙해지도록 다양하고 흥미로운 영자신문 프로그램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best method of teaching English reading will be to encourage students to read understandable materials and to let them choose the message subjectively with the interest in Eng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ading instruction using children's English newspapers(The Kids Time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ading abilities and interest in learning English.
      The participants(6th grade) in the study who were found to be the most homogeneous were put into an experimental and a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he reading instructions using children's English newspapers, and the control group received the reading instructions focusing on games in accordance with the guidelines and the teachers manual of the textbook. The experimental instructions were done on the 2nd, 3rd, and 4th periods for 20 minutes each time for 14 week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nalyzed with SPSS statistics program.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on reviewing the improvement level of reading ability, the experimental group that received lessons using English newspapers showed greater improvement on reading abilit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at received traditional lessons using the textbook as a main means.
      Second, according to the questionnaire analysis, most of the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class using children's English newspapers. This showed effectiveness in raising students' interest and curiosity in learning English.
      Third, the each of the high and low level students group in the experiment group showed a greater improvement in reading ability than those groups in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to use children's English newspapers in English reading instructions can be effective for improving elementary students' English reading skills and interests in learning English. Thus, further methods to use children's English newspapers should be developed.
      번역하기

      The best method of teaching English reading will be to encourage students to read understandable materials and to let them choose the message subjectively with the interest in Eng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ading...

      The best method of teaching English reading will be to encourage students to read understandable materials and to let them choose the message subjectively with the interest in Eng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ading instruction using children's English newspapers(The Kids Time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ading abilities and interest in learning English.
      The participants(6th grade) in the study who were found to be the most homogeneous were put into an experimental and a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he reading instructions using children's English newspapers, and the control group received the reading instructions focusing on games in accordance with the guidelines and the teachers manual of the textbook. The experimental instructions were done on the 2nd, 3rd, and 4th periods for 20 minutes each time for 14 week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nalyzed with SPSS statistics program.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on reviewing the improvement level of reading ability, the experimental group that received lessons using English newspapers showed greater improvement on reading abilit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at received traditional lessons using the textbook as a main means.
      Second, according to the questionnaire analysis, most of the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class using children's English newspapers. This showed effectiveness in raising students' interest and curiosity in learning English.
      Third, the each of the high and low level students group in the experiment group showed a greater improvement in reading ability than those groups in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to use children's English newspapers in English reading instructions can be effective for improving elementary students' English reading skills and interests in learning English. Thus, further methods to use children's English newspapers should be develop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 목차 = ⅳ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 내용 = 2
      • 국문초록 = ⅰ
      • 목차 = ⅳ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 내용 = 2
      • 3. 연구 문제 = 3
      • 4. 연구 가설 = 3
      • Ⅱ. 이론적 배경 = 5
      • 1. 신문활용교육의 개념 및 국제적 동향 = 5
      • 2. 교육매체로서의 신문의 기능 = 9
      • 3. 초등 영어 읽기 교육과 어린이 영자 신문활용의 필요성 = 12
      • 4. 영어 읽기 학습 모형 = 14
      • 5. 선행 연구의 고찰 = 21
      • Ⅲ. 연구 방법 = 25
      • 1. 연구 대상 = 25
      • 2. 연구 기간 = 25
      • 3. 실험 설계 = 26
      • 4. 실험 도구 = 26
      • 5. 실험 절차 = 31
      • Ⅳ. 연구결과 및 논의 = 47
      • Ⅴ. 결론 = 63
      • 참고문헌 = 66
      • Abstract = 69
      • 부록 어린이 영자 신문을 활용한 초등 영어 읽기 지도 = 7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