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국어方言史연구" 태학사 1995
2 "통시적 음성변화의 공시적 變異와 例外의 성격"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16 : 483-500, 1995
3 "중국조선어실태조사보고 집필조 ≪중국조선어실태조사보고≫" 료녕민족출판사 1985
4 "音韻變化와 音素의 分布 순경음 ‘’의 경우" 震檀學會 105-38 120, 1974
5 "音韻論的 變異의 類型과 要因 - 咸北 六鎭 方言을 中心으로" 韓國語文敎育硏究會 34 (34): 83-106, 2006
6 "現代國語의 움라우트 現象 - ‘아기’와 ‘애기’를 中心으로" 國語學會 145-6 160, 1978
7 "東海岸方言의 二重母音에 대하여" 震檀學會 135-36 147, 1973
8 "方言學 事典" 태학사 2001
9 "慶南 方言의 母音體系―特히 固城統營 附近을 中心으로―" 檀國大學校 國語國文學硏究部 59-79, 1968
10 "國語 UMLAUT의 硏究史的 檢討 共時性과 通時性의 問題를 中心으로" 震檀學會 63-65 80, 1988
1 "한국어方言史연구" 태학사 1995
2 "통시적 음성변화의 공시적 變異와 例外의 성격"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16 : 483-500, 1995
3 "중국조선어실태조사보고 집필조 ≪중국조선어실태조사보고≫" 료녕민족출판사 1985
4 "音韻變化와 音素의 分布 순경음 ‘’의 경우" 震檀學會 105-38 120, 1974
5 "音韻論的 變異의 類型과 要因 - 咸北 六鎭 方言을 中心으로" 韓國語文敎育硏究會 34 (34): 83-106, 2006
6 "現代國語의 움라우트 現象 - ‘아기’와 ‘애기’를 中心으로" 國語學會 145-6 160, 1978
7 "東海岸方言의 二重母音에 대하여" 震檀學會 135-36 147, 1973
8 "方言學 事典" 태학사 2001
9 "慶南 方言의 母音體系―特히 固城統營 附近을 中心으로―" 檀國大學校 國語國文學硏究部 59-79, 1968
10 "國語 UMLAUT의 硏究史的 檢討 共時性과 通時性의 問題를 中心으로" 震檀學會 63-65 80, 1988
11 "口蓋音化 規則의 發生과 그 擴散" 震檀學會 92 : 237-268, 2001
12 "≪嶺南 文獻語의 音韻史 硏究≫" -19, 1992
13 "≪咸北 六鎭方言의 音韻論-20世紀 러시아의 Kazan에서 刊行된 文獻資料에 依한-≫" -20, 1994
14 "≪19세기 후기 全羅方言의 음운현상과 그 역사성≫" 1986
15 "Universals in Linguistic Theory" Linguistic Universals and Linguistic Change 171-202, 1968
16 "Russian Sources on Korean Dialects" Unpublished Harvard University Ph
17 "Principles of Linguistic Change" 1994
18 "Phonology in Generative Grammar" 54-72, 1962
19 "Implementation of Phonological Change The Lexicon in Phonological Change" Mouton Publishers 148-158, 19771977
20 "Formalization as Degeneration in Historical Linguistics Readings in Historical Phonology"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348-376, 19741978
21 "Contribution toward a Theory of Sound Change Foundations of Language 8" 457-498, 1972
22 "Competing Changes as a Cause of Residue" 9-1 21, 1969
23 "Center for Applied Linguistics" 1973
24 "<露韓會話>와 咸北 慶興方言" 震檀學會 79-62 125, 1986
25 "<露韓小辭典>의 國語學的 價値" 서울大學校 國語國文學科 27-12 63, 1987
26 "1718세기 국어의 구개음화와 관련 음운현상에 대한 통시론적 연구"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