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클라우드 환경 web OS 사용자 인증 스킴의 정형 명세 및 검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3843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클라우드 서비스 환경의 성장과 모바일 환경의 급격한 확대로 인하여 Web OS의 장점을 부각시킬 수 있는 환경이 부각되었다. Web OS는 웹이 브라우징 역할을 넘어, 운영체제 환경을 구현한 것이다. Web OS를 통해 사용자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자신의 정보가 저장된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여 자신의 컴퓨팅 환경을 지원 받을 수 있다. 인터넷을 기반으로 통신하므로, 사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버의 정보가 악의적인 공격자로 인하여 보안 위협을 받을 수 있다.
      현재 Web OS의 보안 스킴을 보안 프로토콜 검증 도구 Scyther를 이용하여 보안 위협을 검증한 결과, 기밀성, 메시지의 무결성, 세션 키의 보안, Aliveness, Weak agreement, Non-injective synchronization, Non-injective agreement 등의 보안 위협이 존재한다. 이로 인해 도청, MITM, Flooding, DDOS, Spoofing, 서버공격, 계정이나 서비스 및 세션 hijacking 등의 보안 공격이 예상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Web OS의 Server와 Client가 상호 인증하는 과정에서 보안 위협의 공격을 방지할 수 있는 개선된 보안 스킴을 제안하고 Scyther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번역하기

      클라우드 서비스 환경의 성장과 모바일 환경의 급격한 확대로 인하여 Web OS의 장점을 부각시킬 수 있는 환경이 부각되었다. Web OS는 웹이 브라우징 역할을 넘어, 운영체제 환경을 구현한 것이...

      클라우드 서비스 환경의 성장과 모바일 환경의 급격한 확대로 인하여 Web OS의 장점을 부각시킬 수 있는 환경이 부각되었다. Web OS는 웹이 브라우징 역할을 넘어, 운영체제 환경을 구현한 것이다. Web OS를 통해 사용자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자신의 정보가 저장된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여 자신의 컴퓨팅 환경을 지원 받을 수 있다. 인터넷을 기반으로 통신하므로, 사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버의 정보가 악의적인 공격자로 인하여 보안 위협을 받을 수 있다.
      현재 Web OS의 보안 스킴을 보안 프로토콜 검증 도구 Scyther를 이용하여 보안 위협을 검증한 결과, 기밀성, 메시지의 무결성, 세션 키의 보안, Aliveness, Weak agreement, Non-injective synchronization, Non-injective agreement 등의 보안 위협이 존재한다. 이로 인해 도청, MITM, Flooding, DDOS, Spoofing, 서버공격, 계정이나 서비스 및 세션 hijacking 등의 보안 공격이 예상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Web OS의 Server와 Client가 상호 인증하는 과정에서 보안 위협의 공격을 방지할 수 있는 개선된 보안 스킴을 제안하고 Scyther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1
      • 1.1 연구 배경 1
      • 1.2 연구 목적 2
      • 1.3 논문 구성 3
      • 1. 서론 1
      • 1.1 연구 배경 1
      • 1.2 연구 목적 2
      • 1.3 논문 구성 3
      • 2. 관련연구 4
      • 2.1 Web OS 4
      • 2.2 보안 프로토콜 검증 도구 6
      • 2.2.1 FDR/Casper 6
      • 2.2.2 AVISPA 7
      • 2.2.3 Proverif 8
      • 2.2.4 Scyther 10
      • 3. Web OS 사용자 인증 스킴 12
      • 3.1 등록 단계 13
      • 3.2 상호 인증 단계 14
      • 4. Web OS의 사용자 인증 스킴의 정형 검증 및 분석 15
      • 4.1 Web OS의 사용자 인증 스킴의 프로토콜 명세 15
      • 4.2 Web OS의 사용자 인증 스킴의 보안 속성 위협 19
      • 4.3 Web OS의 사용자 인증 스킴의 보안 취약점 24
      • 5. 개선된 Web OS의 사용자 인증 스킴 28
      • 5.1 등록 단계 30
      • 5.2 Client와 Server의 상호 인증 단계 31
      • 6. Scyther를 이용한 개선된 사용자 인증 스킴의 정형 검증 및 분석 35
      • 6.1 개선된 Web OS의 사용자 인증 스킴의프로토콜 명세 35
      • 6.2 검증한 보안 속성 40
      • 6.3 개선된 Web OS의 사용자 인증 스킴의 검증 44
      • 6.4 개선된 Web OS의 사용자 인증 보안 스킴의 보안 분석 45
      • 7. 결론 및 향후 연구 50
      • 8. 부록 52
      • 8.1 현재의 Web OS의 사용자 인증 프로토콜의 SPDL 명세 52
      • 8.2 개선된 Web OS의 사용자 인증 프로토콜의 SPDL 명세 56
      • 참고 문헌 6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