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코리안 디아스포라 소설의 증오인식과 공존의 가치 연구-조선족과 탈북자 서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Value of Hate Perception and Coexistence in Korean Diaspora Fiction- Focusing on the narrative of Joseonjok and North Korean defector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a change in South Korean society's perception of Korean-Chinese and North Korean defectors reproduced in modern novels, while promoting the possibility of harmony between them by confirming the production of hat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a change in South Korean society's perception of Korean-Chinese and North Korean defectors reproduced in modern novels, while promoting the possibility of harmony between them by confirming the production of hatred inherent between Korean-Chinese and North Korean defectors. This study focuses on the hatred, shame, and fear experienced by Korean-Chinese and North Korean defectors in the process of “migration and settlement” among Korean diaspora. In order to form a new perception and discourse on hatred, the pain and hatred experienced by North Korean refugee women following Korean- Chinese women were discussed through Georzo Agamben's concepts of “Homo Sacer” and “Exception Status.” Along with this, the reproduction of Korean diaspora was divided into ‘the migration background of Korean-Chinese women and North Korean defectors’, ‘Homo Sacer, who was thrown into an exceptional state due to migration’, ‘reproduction of hatred after settling down in Korean society’ and confirmed the perception between North Korean and Korean women.
      The change in Korean society's perception of Korean-Chinese and North Korean defectors is possible with a humanities response that understands the reproduction and meaning of diaspora in novels of Korean writers, Korean-Chinese writers, and North Korean defectors from various angles. Therefore,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the migration experience was promoted for Heo Ryeonsun's 󰡔A Chinese Bride󰡕 describ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Korean-Chinese, Kim Yoo-kyung's 󰡔Youth Sonata󰡕 from the perspective of North Korean defectors, Yoo Kyung-eun's 󰡔Old Promise󰡕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And the posi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and Korean-Chinese looking at each other was confirmed by targeting Korean-Chinese writer Geum-hee's 「Okhwa」 and North Korean defector's 「Seogigol Loban」. I am confident that this study will be a starting point for designing future orientation by promoting the exchange and solidarity of Korean diaspora in Korean society. This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establish the value of coexistence of Korean diaspora in Korean socie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현대소설에 재현된 중국재외한인조선족과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남한 사회의 인식 변화를 모색하는 한편, 조선족과 탈북자 사이에 내재한 증오의 발생 양상을 확인함으로써 이들 ...

      본 연구는 현대소설에 재현된 중국재외한인조선족과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남한 사회의 인식 변화를 모색하는 한편, 조선족과 탈북자 사이에 내재한 증오의 발생 양상을 확인함으로써 이들 간의 화합 가능성을 가늠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고는 코리안 디아스포라 중 조선족과 탈북자 사이에 연관된 ‘이주와 정착’ 과정에서 겪은 혐오와 수치심, 공포에 주목한다. 그리고 증오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담론 형성을 위해 조선족 여성에 이어 탈북여성이 겪은 고통과 증오의 담론은 조르조 아감벤의 ‘호모 사케르와 예외공간’과 마사 누스바움의 ‘혐오’ 개념을 통해 논의하였다. 이와 함께, 코리안 디아스포라의 재현 양상을 ‘조선족 여성과 탈북 여성의 이주배경, 이주로 인해 예외상태로 던져진 호모 사케르, 한국사회에서의 정착과 증오의 재생산’으로 구분하여 논의함으로써 이들의 이주과정에 드러난 교차점을 확인하고, 탈북 여성과 조선족 여성 서로 간의 인식양상을 확인한 바이다.
      조선족과 탈북자에 대한 한국사회의 인식변화는 조선족 작가, 탈북 작가, 한국 작가의 소설에 나타난 디아스포라의 재현 양상과 의미를 다각도로 이해하는 인문학적 대응으로써 가능하다. 따라서 한국 작가, 조선족 작가, 그리고 탈북 작가의 소설에 나타난 디아스포라의 재현 양상과 의미를 다각도로 이해함으로써 이들의 이주에 대한 교차점과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는 한국에 정착한 조선족과 탈북자의 대립구도 완화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한국사회에서 조선족, 탈북자 간의 왜곡된 정체성 인식 양상을 개진하고 사회통합력을 제고하는 데에 의의가 있다. 따라서 조선족과 탈북자 소재의 서사 재현양상 분석 및 비교를 통해 이들의 정체성을 규명하되, 조선족 작가의 󰡔중국색시󰡕, 탈북 작가의 󰡔청춘예찬󰡕, 한국 작가의 󰡔오래된 약속󰡕을 대상으로 이주 경험에 대한 총체적 이해를 도모하였으며, 조선족 작가의 「옥화」와 탈북 작가의 「서기골 로반」을 대상으로 한국 사회가 탈북자와 조선족을 바라보는 관점과 탈북자와 조선족 서로가 견지해 온 증오의 발생과 인식 양상을 확인하였다. 이는 한국 사회에서 코리안 디아스포라의 공존의 가치를 정립하기 위한 계기가 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르조 아감벤, "호모 사케르" 새물결 2008

      2 신은화, "혐오와 지배" 대한철학회 143 : 189-214, 2017

      3 마사 너스바움, "혐오와 수치심" 민음사 2015

      4 전수일, "탈북자구출 실화소설 ‘오래된 약속’ 펴낸 인권활동가 윤정은 작가"

      5 김세령, "탈북자 소재 한국 소설 연구" 한국현대소설학회 (53) : 35-86, 2013

      6 서세림, "탈북 작가 김유경 소설 연구 - 탈북자의 디아스포라 인식과 정치의식의 변화를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소 (52) : 81-104, 2017

      7 김희경, "탈북 여성의 방어기제와 정신건강의 관계" 한국여성심리학회 15 (15): 155-173, 2010

      8 윤인진, "코리안 디아스포라 : 재외한인의 이주, 적응, 정체성" 한국사회학회 37 (37): 101-142, 2003

      9 윤인진, "코리안 디아스포라" 고려대학교출판부 2017

      10 김유경, "청춘예찬" 웅진지식하우스 2012

      1 조르조 아감벤, "호모 사케르" 새물결 2008

      2 신은화, "혐오와 지배" 대한철학회 143 : 189-214, 2017

      3 마사 너스바움, "혐오와 수치심" 민음사 2015

      4 전수일, "탈북자구출 실화소설 ‘오래된 약속’ 펴낸 인권활동가 윤정은 작가"

      5 김세령, "탈북자 소재 한국 소설 연구" 한국현대소설학회 (53) : 35-86, 2013

      6 서세림, "탈북 작가 김유경 소설 연구 - 탈북자의 디아스포라 인식과 정치의식의 변화를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소 (52) : 81-104, 2017

      7 김희경, "탈북 여성의 방어기제와 정신건강의 관계" 한국여성심리학회 15 (15): 155-173, 2010

      8 윤인진, "코리안 디아스포라 : 재외한인의 이주, 적응, 정체성" 한국사회학회 37 (37): 101-142, 2003

      9 윤인진, "코리안 디아스포라" 고려대학교출판부 2017

      10 김유경, "청춘예찬" 웅진지식하우스 2012

      11 모로오카 야스코, "증오하는 입" 오월의 봄 2018

      12 자크 아순, "증오의 모호한 대상" 동문선 2002

      13 전신자, "중국조선족여성과 북한여성의 “국제결혼” 비교연구" 북한학연구소 10 (10): 171-205, 2014

      14 정운찬, "중국조선족사회의 변화" 서울대학교출판부 2005

      15 허련순, "중국색시" 북치는마을 2016

      16 홍기혜, "중국 조선족 여성과 한국 남성간의 결혼을 통해 본 이주의 성별 정치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17 이귀행, "자살의 심리학적 측면"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10 (10): 11-14, 2004

      18 조두영, "자살심리" 대한법의학회 25 : 134-165, 2001

      19 서세림, "인터넷 연재소설에 나타난 탈북자 재현 양상 연구" 상허학회 56 : 97-127, 2019

      20 윤정은, "오래된 약속" 양철북 2012

      21 조르조 아감벤, "예외상태" 새물결 2009

      22 금 희, "세상에 없는 나의 집" 창비 2017

      23 금 희, "세상에 없는 나의 집" 창비 2017

      24 윤희순, "성노예: 중국 내 탈북 여성 및 여아들의 성매매, 사이버섹스 및 강제결혼" 한국여성인권진흥원 22 : 89-100, 2019

      25 김정애, "서기골 로반" 글도 2018

      26 김성경, "북한이탈주민의 월경과 북·중 경계지역: ʻ감각ʼ되는 ʻ장소ʼ와 북한이탈여성의 ʻ젠더ʼ화된 장소 감각" 한국사회학회 47 (47): 221-253, 2013

      27 박영자, "북한 녀자-탄생과 굴절의 70년사" 앨피 2017

      28 박재규, "농촌총각 장가보내기운동"

      29 최병우, "김금희 소설에 나타난 조선족 이주에 관한 인식" 한중인문학회 (61) : 149-172, 2018

      30 백영서, "근대 국민국가와 민족문제" 지식산업사 1995

      31 김명현, "결혼이주여성의 생활세계" 경인문화사 2013

      32 오경희, "‘중국 조선족’ 이주 담론에 나타난 디아스포라의 삶과 정체성" 아시아여성연구원 7 (7): 35-61, 2014

      33 이지은, "‘교환’되는 여성의 몸과 불가능한 정착기 -장해성의 『두만강』과 김유경의 『청춘연가』를 중심으로" 구보학회 (16) : 517-542, 2017

      34 우명숙 ; 이나영, "ʻ조선족ʼ 기혼여성의 초국적 이주와 생애과정 변동: 시간성과 공간성의 교차 지점에서" 한국사회학회 47 (47): 139-169, 2013

      35 김복수, "21세기 디아스포라 북한이탈주민"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4

      36 전월매, "2000년대 한국여성소설에 나타나는 조선족 여성상 연구" 겨레어문학회 (55) : 235-258, 2015

      37 이미림, "2000년대 소설에 나타난 조선족 이주여성의 타자적 정체성" 한국현대소설학회 (48) : 645-672,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04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문학논총
      외국어명 : Theses on Korean Literature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9 0.29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1 0.739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