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반응표면분석법(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과 효소 활성에 대한 귀리의 최적 로스팅 조건을 살펴보는데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 반응표면분석법의 중심합...
본 연구는 반응표면분석법(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과 효소 활성에 대한 귀리의 최적 로스팅 조건을 살펴보는데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 반응표면분석법의 중심합성 계획법 설계 방법에 따른 실험점을 이용하였으며, 최종적으로는 샘플 특성에 따른 귀리의 로스팅 결과를 비교하여 최적 조건을 살펴보았다.
실험점에 대한 분석 결과에 의하면, 로스팅 귀리의 total polyphenol 함량은 41.88∼90.65 mg TAE/g 범위로 나타났으며, 10번 샘플(온도 150℃, 시간 15분)이 90.65 mg TAE/g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otal flavonoid 함량은 20.47∼45.97 mg QE/g 범위로 나타났으며, 1번 샘플(온도 220℃, 시간 30분)이 가장 높고, 5번 샘플(온도 136℃, 시간 22.5분)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DPPH radical scavenging은 20.47∼45.97%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2번 샘플(온도 150℃, 시간 30분)이 99.2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ABTS radical scavenging은 86.19∼64.37%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5번 샘플(온도 136℃, 시간 22.5분)이 86.1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로스팅 귀리의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는 21.77∼11.27%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9번 샘플(온도 220℃, 시간 15분)이 21.7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는 82.90∼32.36%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1번 샘플(온도 220℃, 시간 15분)이 82.9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귀리 로스팅의 항산화 활성과 효소 활성이 최대로 나타나는 로스팅 온도는 196.19℃였으며, 시간은 21.02분임을 알 수 있었다. 온도와 시간의 최적점의 total polyphenol 함량은 55.18 mg TAE/g, total flavonoid 함량은 35.06 mg QE/g, DPPH radical 소거능은 54.59%, ABTS radical 소거능은 82.10%,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는 16.68%,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는 55.79로 예측되었고, 최적의 desirability는 0.659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귀리의 로스팅 온도와 시간은 항산화 활성과 효소 활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귀리 로스팅 환경에 따른 항산화 및 효소 활성의 최대화 조건을 확인한 결과, 귀리 로스팅의 최적화 조건은 온도의 경우 196.19℃이며, 시간의 경우 21.02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성과는 귀리의 특성을 고려한 제품을 다양화하고, 비건시장을 활성화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