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화관에서의 관람 경험에 관하여: 바르트와 크라카우어의 주관적 관객론 = On the Experience of Viewing in the Movie Theater: the Subjective Spectatorship of Barthes and Kracau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6362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주류 영화 담론에서 주목되지 않았던 롤랑 바르트와 지그프리트 크라카우어의 영화 관객론을 재조명하여 영화관에서의 관람 경험의 주관성에 관해 고찰한다. 먼저 바르트의 논의를 면밀하게 고찰하여 영화관의 장소-특정적 환경이 관객의 최면 상태를 유도한다는 것을 밝힌다. 이어서 크라카우어의 논의를 통해 영화의 주변을 접촉하는 관객과 19세기 산보자와의 유사성을 주목한다. 또한 의식 이전의 생리적 반응을 주장한 크라카우어의 꿈꾸는 관객론 속에서 영화가 개별 실재와의 만남을 촉진한다는 것을 도출한다. 끝으로 보들레르의 상응 개념을 재해석한 벤야민에 기대어 영화 관람이 무의식 속에 억압된 무의지적 기억을 끌어내는 아우라적 경험임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20세기 주류 영화 담론의 일반화된 관객성을 형성했던 영화관의 위상을 재고하고 극장이 개별적이고 분산된 경험을 허용하는 제의적 장소로 기능한다는 것을 주장한다.
      번역하기

      본고는 주류 영화 담론에서 주목되지 않았던 롤랑 바르트와 지그프리트 크라카우어의 영화 관객론을 재조명하여 영화관에서의 관람 경험의 주관성에 관해 고찰한다. 먼저 바르트의 논의를 ...

      본고는 주류 영화 담론에서 주목되지 않았던 롤랑 바르트와 지그프리트 크라카우어의 영화 관객론을 재조명하여 영화관에서의 관람 경험의 주관성에 관해 고찰한다. 먼저 바르트의 논의를 면밀하게 고찰하여 영화관의 장소-특정적 환경이 관객의 최면 상태를 유도한다는 것을 밝힌다. 이어서 크라카우어의 논의를 통해 영화의 주변을 접촉하는 관객과 19세기 산보자와의 유사성을 주목한다. 또한 의식 이전의 생리적 반응을 주장한 크라카우어의 꿈꾸는 관객론 속에서 영화가 개별 실재와의 만남을 촉진한다는 것을 도출한다. 끝으로 보들레르의 상응 개념을 재해석한 벤야민에 기대어 영화 관람이 무의식 속에 억압된 무의지적 기억을 끌어내는 아우라적 경험임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20세기 주류 영화 담론의 일반화된 관객성을 형성했던 영화관의 위상을 재고하고 극장이 개별적이고 분산된 경험을 허용하는 제의적 장소로 기능한다는 것을 주장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examines the subjectivity of the viewing experience in the movie theater by revisiting Roland Barthes and Siegfried Kracauer’s theories of film spectatorship, which have been neglected in mainstream film discourse. First, I show that the site-specific environment of the movie theater, along with Barthes, induces a state of hypnosis in the audience. Next, I describe similarities between the audience’s contact with the filmic margins and the nineteenth-century flâneur in Kracauer’s discussion. In addition, I argue that films promote an encounter with individual reality from Kracauer’s theory of the dreaming audience, which asserts a physiological response prior to consciousness. Finally, I draw on Benjamin’s reinterpretation of Baudelaire's notion of correspondence to suggest that film viewing is an auratic experience that resuscitates involuntary memories repressed in the unconscious. From this perspective, I rethink the status of the movie theater that has structured the generalized spectatorship in mainstream twentieth-century film discourse, arguing that the theater functions as a cultuel site that allows for individualized and distracted experiences.
      번역하기

      This article examines the subjectivity of the viewing experience in the movie theater by revisiting Roland Barthes and Siegfried Kracauer’s theories of film spectatorship, which have been neglected in mainstream film discourse. First, I show that th...

      This article examines the subjectivity of the viewing experience in the movie theater by revisiting Roland Barthes and Siegfried Kracauer’s theories of film spectatorship, which have been neglected in mainstream film discourse. First, I show that the site-specific environment of the movie theater, along with Barthes, induces a state of hypnosis in the audience. Next, I describe similarities between the audience’s contact with the filmic margins and the nineteenth-century flâneur in Kracauer’s discussion. In addition, I argue that films promote an encounter with individual reality from Kracauer’s theory of the dreaming audience, which asserts a physiological response prior to consciousness. Finally, I draw on Benjamin’s reinterpretation of Baudelaire's notion of correspondence to suggest that film viewing is an auratic experience that resuscitates involuntary memories repressed in the unconscious. From this perspective, I rethink the status of the movie theater that has structured the generalized spectatorship in mainstream twentieth-century film discourse, arguing that the theater functions as a cultuel site that allows for individualized and distracted experience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