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아동이 지각한 부자유친성정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정서지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s of Parent-Child Affective Bonding perceived by Child on the School Adjustment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by Emotional Intellig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5777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ent-child affective bonding reflecting Korean traditional culture on the school adjustment. This study, also, determine whether parent-child affective bonding perceived by child, mediated by emotional intel...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ent-child affective bonding reflecting Korean traditional culture on the school adjustment. This study, also, determine whether parent-child affective bonding perceived by child, mediated by emotional intelligence, has effects on the school adjust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a total of 512 students of 5th and 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Kyungki-do. The scale and questionnaire used for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Parent-Child Affective Bonding Scale for Children by Park Sooyoung(2005) which revised one, by Lee Jangjoo(2002), based on a theory, by Choi Sangjin, reflecting Korean cultural aspects; the School Adjustment Questionnaire, by Song-miwon, revised ones by Lim Jungsoon and Jeon Hotaek; and the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for higher grades, by Moon Yongrin(1996), developed based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model by Mayer and Salovey(1990).
      The data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nalysed using SPSS, a statistics programme. The frequencies and the percentages were calculated to deter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and the Cronbach's α coefficient is used to validate the reliability of each scales, and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parent-child affective bonding has positive effects on the school adjustment. It showed that the higher ranks of parent-child affective bonding have more positive effects on the subfactors of school adjustment; relationship with teacher, relationship with peers, class engagement, and rule compliance; a child with higher bonding power with his/her parents is likely to be more adjustable to overall school settings, compared to others with lower one.
      Second,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ren has effects on their school adjustment. The emotional ability and emotion control ability, among subfactors of emotional intelligence, showed effects on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 and peers, class engagement. The Empathy ability, among them, showed effects on all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 relationship with peers, class engagement, and rule compliance. The emotional expression showed no significant effects.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 has effects on his/her overall school life; a child with higher emotional intelligence keeps harmonious relations with teacher or teacher, engage in classes, and comply with school rules, more effectively compared to others with lower emotional intelligence.
      Third, the parent-child affective bonding perceived by child not only has direct effects on school adjustment but also indirect effects on it mediated by emotional intelligence. The parent-child affective bonding, mediated by empathy ability, emotion control ability, and emotion utilization ability among subfactors of emotional intelligence, showed direct effects on school adjustment. This results implies that a child with higher parent-child affective bonding has higher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at a child with higher emotional intelligence has higher school adjust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우리문화의 전통적인 부모자녀관계를 반영하는 부자유친성정이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아동이 지각한 부자유친성정이 정서지...

      본 연구는 우리문화의 전통적인 부모자녀관계를 반영하는 부자유친성정이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아동이 지각한 부자유친성정이 정서지능을 매개로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 소재의 초등학교 5,6학년 아동 513명이며 사용한 척도는 다음과 같다. 부자유친성정 척도는 한국의 문화적 측면을 고려한 최상진(1999)의 이론을 기초로 이장주(2002)가 제작한 부자유친성정 척도를 수정 보완하여 박수영(2005)이 제작한 아동용 부자유친성정척도를 사용하였고, 학교생활 적응 척도는 임정순의 ‘학교생활 적응에 관한 검사지’와 전호택의 ‘학교생활 검사지’를 참고로 하여 송미원(1999)이 수정 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정서지능 척도는 Mayer와 Salovey(1990)의 정서지능 모형에 입각하여 문용린(1996)이 개발한 검사도구 중 고학년(3-6학년)용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는데,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각 척도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Cronbach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자료분석을 위해 상관관계, 중다회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자유친성정은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부자유친성정이 높을수록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의 각 하위요인인 교사관계, 교우관계, 학교수업, 학교규칙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일체감과 헌신을 바탕으로 한 부모와의 심정적 결속이 높은 아동일수록 교사 및 또래 관계, 학교수업, 규칙준수 등 전반적인 학교생활에서도 적응을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정서지능은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쳤다. 정서지능의 각 하위요인 중 정서인식 능력과 정서조절 능력은 학교생활적응의 교사관계, 교우관계, 학교수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감정이입 능력은 교사관계, 학교규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서활용 능력은 교사관계, 교우 관계, 학교수업, 학교규칙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표현은 유의한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는 아동의 정서지능이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에 전반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정서지능이 높은 아동일수록 교사나 또래와의 관계가 원만하고 학교수업에도 흥미를 가지고 효율적으로 참여하며 학교규칙에도 잘 적응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아동이 지각하는 부자유친성정은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아동의 정서지능에 의해 매개되어 학교생활 적응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자유친성정은 정서지능의 하위요인 중 감정이입 능력, 정서조절 능력, 정서활용 능력에 의해 매개되어 학교생활 적응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부자유친성정이 높은 아동일수록 정서지능이 높고 정서지능이 높은 아동일수록 학교생활에 잘 적응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과 같은 결론을 통해 서구문화에서 개별화와 독립을 강조하는 부모자녀관계와 달리, 충분한 의존과 결속을 강조하는 한국적 부모자녀관계인 부자유친성정은 우리문화에서 대인관계 및 적극적인 사회 참여, 규칙준수 등 전반적인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문제 = 6
      • 3. 연구모형 = 6
      • 4. 용어정의 = 7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문제 = 6
      • 3. 연구모형 = 6
      • 4. 용어정의 = 7
      • Ⅱ. 이론적 배경 = 9
      • 1. 부자유친성정 = 9
      • 1) 부모-자녀 관계의 사회 문화적 접근 = 9
      • 2) 한국 문화에서의 부모-자녀 관계: 부자유친성정 = 10
      • 2. 정서지능 = 13
      • 1) 개념 = 13
      • 2) 정서지능의 구성요소 = 16
      • 3. 학교생활적응 = 18
      • 1) 적응의 개념 = 18
      • 2)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 20
      • 4. 부자유친성정, 정서지능,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 = 21
      • 1) 부자유친성정과 학교생활적응 = 21
      • 2) 부자유친성정과 정서지능 = 23
      • 3) 아동의 정서지능과 학교생활적응 = 24
      • Ⅲ. 연구방법 = 27
      • 1. 연구대상 = 27
      • 2. 측정도구 = 30
      • 1) 부자유친성정 척도 = 30
      • 2) 학교생활적응 척도 = 31
      • 3) 정서지능 척도 = 32
      • 3. 연구절차 = 33
      • 4. 자료처리 및 분석 = 34
      • Ⅳ. 연구결과 및 해석 = 36
      • 1. 아동이 지각한 부자유친성정과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정서지능 간의 관계 = 36
      • 2. 아동이 지각한 부자유친성정이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38
      • 3. 정서지능이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40
      • 4. 아동이 지각한 부자유친성정이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 43
      • Ⅴ.결론 및 제언 = 47
      • 1. 결론 = 47
      • 2. 제언 = 51
      • 참고문헌 = 53
      • 부록 = 63
      • Abstract = 8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