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제개발협력 사업에서의 환경복지개념 적용가능성 검토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9925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탐색적 연구로서 국제개발협력 사업에 있어 환경복지 개념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최근 국제사회는 SDGs(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지속가능발전목표)에서 기존...

      본 연구는 탐색적 연구로서 국제개발협력 사업에 있어 환경복지 개념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최근 국제사회는 SDGs(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지속가능발전목표)에서 기존의 경제발전을 넘어 포괄적 사회발전과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모두 포함하기 위해 사회적 불평등의 해소를 강조하고 있으나, 지금까지의 국제개발협력 사업이 수혜국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했는가는 확실치 않다. ‘환경복지’는 모든 사람이 기본적인 환경자원과 환경서비스에 접근 가능하고 환경오염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어야 한다는 개념으로 국제개발협력사업에서 전략과 정책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지속가능발전 담론이 가지고 있는 추상성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기존 연구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환경복지 개념이 어떤 특징을 가지는지 살펴보았다. 둘째, 국제개발협력에서의 환경복지 개념 도입의 필요성과 환경복지 개념을 국제개발협력 사업에 도입하고자 할 때 직면하는 현실적인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셋째, 환경복지개념을 국제개발협력 사업에 적용할 때 고려해야 할 보편적인 원칙들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환경복지가 효과적으로 실현될 수 있도록 국제개발협력 사업의 특성과 지역적 특성을 기준으로 사업유형을 구분하고 각 유형별로 고려되어야 할 점들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국제개발협력 사업에서 개도국 주민의 삶의 질을 저해하지 않는 최소한의 장치로서 환경복지 개념 적용의 긍정적 가능성을 검토하고, 이를 활용할 기준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the Environmental Welfare to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as an exploratory study. Recently, the global society emphasizes the social inequality for the Inclusive social development and...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the Environmental Welfare to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as an exploratory study. Recently, the global society emphasizes the social inequality for the Inclusive social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beyond the existing "Economic Growth". However, so far it is unclear whether the results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improve the quality of recipients" life.
      "Environmental Welfare" is a concept that everyone can access the basic environmental goods & service and must be protected from environmental pollution. Therefore, Environmental Welfare can overcome the abstraction of the Sustainable Development discourse in terms that it can be used as a strategy and policy in Int"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First, this study explores the meaning and necessity of Environmental Welfare in Int"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and discusses the practical limitations faced when introducing the concept of Environmental Welfare to Int"l Dev"t Cooperation Projects. Second, the universal principles of the Environmental Welfare are proposed when these are applied to projects. Finally, this paper tried to divide Int"l Dev"t Projects into 8 categories by project"s characteristic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also suggests considerations for each category. Overall,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way that introducing Environmental Welfare is a useful device not to lower the recipients" quality of life in many development projec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환경복지의 개념과 특징
      • 3. 국제개발협력 사업에서의 환경복지개념 도입의 필요성
      • 4. 국제개발협력 사업에의 환경복지 적용
      • 5. 국제개발협력 사업에서 환경복지 도입을 위한 과제
      • 1. 서론
      • 2. 환경복지의 개념과 특징
      • 3. 국제개발협력 사업에서의 환경복지개념 도입의 필요성
      • 4. 국제개발협력 사업에의 환경복지 적용
      • 5. 국제개발협력 사업에서 환경복지 도입을 위한 과제
      • 6.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토다기요시, "환경정의를 위하여" 창작과 비평사 1996

      2 윤순진, "환경정의 관점에서 본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 입지선정과정" 한국환경사회학회 10 (10): 7-42, 2006

      3 박재묵, "환경정의 개념의 한계와 대안적 개념화" 한국환경사회학회 10 (10): 75-114, 2006

      4 추장민, "환경불평등 실태와 환경복지 정책과제" 2012

      5 박순애, "환경복지실현을 위한 구상안"

      6 최경구, "환경복지국가: 공생의 길" 한국학술정보 2013

      7 고재경, "환경복지 개념 도입에 관한 시론적 연구" 한국환경정책학회 21 (21): 23-52, 2013

      8 이정필, "한국 사회 대안담론으로서의 ‘녹색복지’에 대한 평가와 전망" 50 : 88-110, 2011

      9 홍성태, "토건국가를 개혁하라 - 개발주의를 넘어 생태복지국가로" 한울아카데미 2011

      10 김만호, "지역사회복지에서 생태주의 이념의 특성과 유효성" 12 (12): 39-58, 2002

      1 토다기요시, "환경정의를 위하여" 창작과 비평사 1996

      2 윤순진, "환경정의 관점에서 본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 입지선정과정" 한국환경사회학회 10 (10): 7-42, 2006

      3 박재묵, "환경정의 개념의 한계와 대안적 개념화" 한국환경사회학회 10 (10): 75-114, 2006

      4 추장민, "환경불평등 실태와 환경복지 정책과제" 2012

      5 박순애, "환경복지실현을 위한 구상안"

      6 최경구, "환경복지국가: 공생의 길" 한국학술정보 2013

      7 고재경, "환경복지 개념 도입에 관한 시론적 연구" 한국환경정책학회 21 (21): 23-52, 2013

      8 이정필, "한국 사회 대안담론으로서의 ‘녹색복지’에 대한 평가와 전망" 50 : 88-110, 2011

      9 홍성태, "토건국가를 개혁하라 - 개발주의를 넘어 생태복지국가로" 한울아카데미 2011

      10 김만호, "지역사회복지에서 생태주의 이념의 특성과 유효성" 12 (12): 39-58, 2002

      11 김정태, "지역 연계성 및 특성을 고려한 사회복지 수준의 측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12 권기수, "중남미의 개발수요와 한국의 분야별ODA 추진방안"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

      13 이상훈, "주민 풍력발전, 유럽의 성공 사례와 국내 촉진 방안"

      14 구미현, "정책형성단계에서 생태계서비스에 관한 이론적 고찰"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5 (15): 85-102, 2012

      15 최병두, "생태학과 환경정의" 한울 아카데미 2009

      16 최재천 외, "생태복지의 개념 및 적용모델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2009

      17 홍성태, "생태복지국가 연대를 향하여" 61 : 48-63, 2009

      18 서해정, "새로운 녹색경기도를 위한 생태복지 실현 정책 방안"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2009

      19 윤순진, "사회정의와 환경의 연계, 환경정의: 원자력 발전소의 입지와 운용을중심으로 들여다보기" 7 (7): 93-143, 2006

      20 방영준, "사회생태주의의 윤리적 특징에 관한 연구- 머레이 북친을 중심으로 -" 한국윤리학회 53 (53): 12-308, 2003

      21 김형준, "사회복지의 대안적 이론체계로서의 사회생태주의"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29) : 91-123, 2010

      22 손혁상, "부산 세계개발원조총회-‘원조효과성’을 넘어 ‘효과적인 개발’로" 한국수출입은행 2011

      23 박영미, "복지개념의 생태주의적 접근" 서울행정학회 15 (15): 333-354, 2004

      24 추장민, "도시지역 저소득계층 보호를 위한 환경정책연구 I"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7

      25 박병도, "기후변화 취약성과 기후정의" 한국법제연구원 2013

      26 고재경, "경기도 생활환경복지지표개발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2013

      27 필립 맥마이클, "거대한 역설" 교양인 2013

      28 최나래, "강제이주가 도시빈민의 생계에 미치는 영향" 3 (3): 67-104, 2011

      29 UN Develop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The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30 ODA Watch, "SDGs를 둘러싼 다섯 가지 쟁점"

      31 정회성, "On Environmental Welfare Policy and Its Measurements" 2013

      32 OECD, "OECD STRATEGY ON DEVELOPMENT" 2012

      33 UNEP, "Millenium ecosystem assessment(MA)"

      34 박명지, "KOICA 사업의 녹색화 방안" 한국국제협력단 2009

      35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KEI 포커스"

      36 FAO., "Growing Greener Cities"

      37 Millenium Ecosystem Assesment, "Ecosystems and Human Well-being, A framework for assesment" 2005

      38 OECD, "Aid statistic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3 0.93 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2 0.97 1.244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