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학력인정의 법체계와 법리의 검토 = Analysis on the legal issues of academic achievement accredit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5905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nalyzed the legal issues of academic achievement accreditation. Firstly, the study explained that concept of academic achievement is multiple legally. The term is used indicate academic ability, academic achievement, school career, of academic qualification. This literature categorized the system of academic achievement accreditation in Korea. The first way is to accreditate academic achievement by attendance of regular school. The second way is by examination. The third way is by selection of facility or person. The study suggested that we should improve irrationality of selective accreditation by facility condition, consider recognizing academic curriculum for recognition of academic achievement, legalize the studying abroad by condition of completing minimum curriculum, change the necessary subjects and selective ones of examination, and recognize the qualification outside school as academic achievement.
      번역하기

      This paper analyzed the legal issues of academic achievement accreditation. Firstly, the study explained that concept of academic achievement is multiple legally. The term is used indicate academic ability, academic achievement, school career, of acad...

      This paper analyzed the legal issues of academic achievement accreditation. Firstly, the study explained that concept of academic achievement is multiple legally. The term is used indicate academic ability, academic achievement, school career, of academic qualification. This literature categorized the system of academic achievement accreditation in Korea. The first way is to accreditate academic achievement by attendance of regular school. The second way is by examination. The third way is by selection of facility or person. The study suggested that we should improve irrationality of selective accreditation by facility condition, consider recognizing academic curriculum for recognition of academic achievement, legalize the studying abroad by condition of completing minimum curriculum, change the necessary subjects and selective ones of examination, and recognize the qualification outside school as academic achieve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학제개편이나 학력인정방안에 대한 연구가 종종 이루어졌지만 학력인정의 법체계와 법리에 대해 다룬 연구는 많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는 학력인정에 관한 법체계와 법적 쟁점을 분석하였다. 먼저 학력의 개념이 법적으로 다중적임을 밝혔다. 또한 우리나라의 학력인정체제는 정규학교 출석에 의한 학력인정, 시험에 의한 학력인정, 선별인정에 의한 학력인정으로 구분됨을 밝혔다. 학력인정의 법리를 검토한 결과 교육공간에 따른 선별인정의 불합리성 개선, 교육과정 이수를 기준으로 한 학력인정, 학력인정 교육과정의 일관성확보, 학력인정 최소기준 이수를 전제로 한 외국유학의 합법화, 검정고시 필수-선택과목의 조정, 학교밖 자격 취득의 학력인정 요건화 등이 필요한 것으로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학제개편이나 학력인정방안에 대한 연구가 종종 이루어졌지만 학력인정의 법체계와 법리에 대해 다룬 연구는 많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는 학력인정에 관한 법체계와 법적 쟁점을 분석하였...

      학제개편이나 학력인정방안에 대한 연구가 종종 이루어졌지만 학력인정의 법체계와 법리에 대해 다룬 연구는 많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는 학력인정에 관한 법체계와 법적 쟁점을 분석하였다. 먼저 학력의 개념이 법적으로 다중적임을 밝혔다. 또한 우리나라의 학력인정체제는 정규학교 출석에 의한 학력인정, 시험에 의한 학력인정, 선별인정에 의한 학력인정으로 구분됨을 밝혔다. 학력인정의 법리를 검토한 결과 교육공간에 따른 선별인정의 불합리성 개선, 교육과정 이수를 기준으로 한 학력인정, 학력인정 교육과정의 일관성확보, 학력인정 최소기준 이수를 전제로 한 외국유학의 합법화, 검정고시 필수-선택과목의 조정, 학교밖 자격 취득의 학력인정 요건화 등이 필요한 것으로 제안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정규, "한국사회에서의 학력의 가치 변화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2

      2 김성기, "학력인정제도 및 관련법제의 국제 비교 연구" 대한교육법학회 23 (23): 63-83, 2011

      3 이혜영, "학력인정제도 개선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9

      4 염철현, "학력인정의 다양화 방안을 위한 법제화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9

      5 "초・중등교육법 시행령"

      6 "초・중등교육법"

      7 "서울특별시중학교 입학자격 검정고시 규칙"

      8 박재윤, "미래사회에 대비한 학제 개편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2007

      9 김영철, "미래사회에 대비한 학제 개편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2006

      10 김성기, "대안학교 학력인정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31 (31): 117-136, 2004

      1 이정규, "한국사회에서의 학력의 가치 변화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2

      2 김성기, "학력인정제도 및 관련법제의 국제 비교 연구" 대한교육법학회 23 (23): 63-83, 2011

      3 이혜영, "학력인정제도 개선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9

      4 염철현, "학력인정의 다양화 방안을 위한 법제화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9

      5 "초・중등교육법 시행령"

      6 "초・중등교육법"

      7 "서울특별시중학교 입학자격 검정고시 규칙"

      8 박재윤, "미래사회에 대비한 학제 개편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2007

      9 김영철, "미래사회에 대비한 학제 개편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2006

      10 김성기, "대안학교 학력인정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31 (31): 117-136, 2004

      11 "고등학교 졸업학력 검정고시 규칙"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2 0.32 0.589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