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하천이나 광역상수원에 대해서 댐관리자가 댐 호수관리와 함께 취수원에 대한 관리도 같이 하면서 일관된 의사결정을 하고 있으나 유독 2,500만 수도권 주민들의 상수원인 팔당...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일반적으로 하천이나 광역상수원에 대해서 댐관리자가 댐 호수관리와 함께 취수원에 대한 관리도 같이 하면서 일관된 의사결정을 하고 있으나 유독 2,500만 수도권 주민들의 상수원인 팔당...
일반적으로 하천이나 광역상수원에 대해서 댐관리자가 댐 호수관리와 함께 취수원에 대한 관리도 같이 하면서 일관된 의사결정을 하고 있으나 유독 2,500만 수도권 주민들의 상수원인 팔당호 만큼은 서로 다른 기관들이 분절된 물 관리 기능을 수행하고 있어 체계적인 물 관리를 하기에는 매우 미흡한 구조로 매년 물 문제의 심각성이 노출되고 있다. 특히, 2011년과 2012년, 팔당상수원 주변의 기초지방자치단체 하수처리장의 일부 적절하지 못한 운영과 북한강 수계의 녹조현상, 그리고 북한측에서 유입되는 북한강의 유량이 대폭 감소하고 있는 상황에서 현행 물 관리체계에 대한 근본적인 개선책이 시급히 마련되지 않으면 물의 안전성과 안정성을 심각히 위협하는 상황에 이르게 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그동안 발전(發電)이라는 단순한 목적을 충실히 해 온 팔당댐을 기후변화에 대비하고 변화된 물 환경에 맞게 이제는 다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다목적댐화 하여 팔당상수원의 수질을 보호하고 예측 불가능한 미래의 환경변화에 대비하여 용수 공급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역할을 충실히 하면서 지역사회와의 협력을 통한 물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an attempt to raise an issue of inefficient water management system in Paldang Lake which is the major water source for 25 million peoples. In last summer, they suffered from serious algal bloom which could jeopardize public health as we...
This paper is an attempt to raise an issue of inefficient water management system in Paldang Lake which is the major water source for 25 million peoples. In last summer, they suffered from serious algal bloom which could jeopardize public health as well as drinking water quality. In addition, an illegal spillage of untreated sewage to the Paldang basin seems due to the institutional problem of water management. In the context of adaption for climate change, a decrease of water flow to Paldang basin by the Innam dam in North Korea and unfavourable environmental situations around Paldang area, it is strongly recommended that the fundamental reformatory measure is urgently needed. In that any prospective solutions without switchover Paldang hydropower dam into a multipurpose dam fall in practical effects, present water institutional responsibility and authority may lead to the water safety and stability situations worse.
참고문헌 (Reference)
1 환경부, "환경통계포털"
2 고무성, "팔당호 상수원보호구역에 염화칼슘 수십톤 살포"
3 권형준, "팔당지역의 상생을 위한 물 관리방향" 팔당호수질정책협의회 2008
4 한국수자원공사, "팔당댐 운영 합리화방안 타당성 조사 보고서" 1996
5 차형선, "추계학적 모의유량을 이용한 한강유역 용수공급 시스템의 가뭄 영향 평가"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1
6 한국수자원공사, "수력발전댐의 다목적댐화에 따른 효과분석 연구" 2001
7 감사원, "수도권 수질오염원 관리실태 감사결과 처분요구서" 2011
8 이재응, "북한강 수계 발전댐의 다목적댐 활용" 2009
9 장혜준, "댐관리 일원화 하라"
10 환경부, "남양주시 화도하수처리장 미처리 하수 불법배출 특정감사 진행상황 중간발표"
1 환경부, "환경통계포털"
2 고무성, "팔당호 상수원보호구역에 염화칼슘 수십톤 살포"
3 권형준, "팔당지역의 상생을 위한 물 관리방향" 팔당호수질정책협의회 2008
4 한국수자원공사, "팔당댐 운영 합리화방안 타당성 조사 보고서" 1996
5 차형선, "추계학적 모의유량을 이용한 한강유역 용수공급 시스템의 가뭄 영향 평가"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1
6 한국수자원공사, "수력발전댐의 다목적댐화에 따른 효과분석 연구" 2001
7 감사원, "수도권 수질오염원 관리실태 감사결과 처분요구서" 2011
8 이재응, "북한강 수계 발전댐의 다목적댐 활용" 2009
9 장혜준, "댐관리 일원화 하라"
10 환경부, "남양주시 화도하수처리장 미처리 하수 불법배출 특정감사 진행상황 중간발표"
11 권형준, "기후변화에 대응한 물 관리제도 개선방안" 14 : 74-92, 2010
12 김익재, "공유하천 물 안보체계 구축을 위한 협력방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0
13 환경부, "2012 환경통계연감"
14 경기도, "2011 팔당백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3 | 0.33 | 0.3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2 | 0.32 | 0.589 | 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