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귀환이민 유형화에 따른 재미 한인이민자의 귀환동기 연구 = A Case Study of Return Motives for Korean-American Migrants Based on the Typology of Return Migr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8486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으로 귀환한 재미한인이민자 4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귀환동기를파악하고자 했다. A의 사례는 귀환의 ‘성공’과 ‘실패’를 일방적으로 경제적 요인을중심으로 분류하는 것은 더 이상 적절하지 않다는 것을 드러냈다. A 가족에게 한국으로의 귀환은 이주 주기의 종결이 아니라, 또 다른 시작에 불과했다. 귀환이민‘이후’가 귀환이민 ‘이전’이 되는 경우는 C에게서도 드러났다. 본 연구는 Cerase 의 귀환이민 유형 분류에 따라, ‘실패의 귀환’관점에서 B의 사례를 분석했다. B의귀환은 수용사회에서 이민자가 느끼는 소속감의 문제와 함께 고려되어야 귀환동기에 접근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B의 귀환이 이민 ‘실패’의 결과라면, 그 실패는 경제적 실패가 아니라, 사회통합의 ‘실패’임을 강조하고자 했다. 마지막으로 Dienel 의 유형론을 빌려 귀환이민의 ‘정서적 동기’에 주목해 보았다. 특히 D와 C의 사례를 통해 귀환이민의 동기로서 정서적 요인이 이민자의 고령화와 맞물려, 그 의미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음을 확인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한국으로 귀환한 재미한인이민자 4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귀환동기를파악하고자 했다. A의 사례는 귀환의 ‘성공’과 ‘실패’를 일방적으로 경제적 요인을중심으로 분류하는 것...

      본 연구는 한국으로 귀환한 재미한인이민자 4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귀환동기를파악하고자 했다. A의 사례는 귀환의 ‘성공’과 ‘실패’를 일방적으로 경제적 요인을중심으로 분류하는 것은 더 이상 적절하지 않다는 것을 드러냈다. A 가족에게 한국으로의 귀환은 이주 주기의 종결이 아니라, 또 다른 시작에 불과했다. 귀환이민‘이후’가 귀환이민 ‘이전’이 되는 경우는 C에게서도 드러났다. 본 연구는 Cerase 의 귀환이민 유형 분류에 따라, ‘실패의 귀환’관점에서 B의 사례를 분석했다. B의귀환은 수용사회에서 이민자가 느끼는 소속감의 문제와 함께 고려되어야 귀환동기에 접근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B의 귀환이 이민 ‘실패’의 결과라면, 그 실패는 경제적 실패가 아니라, 사회통합의 ‘실패’임을 강조하고자 했다. 마지막으로 Dienel 의 유형론을 빌려 귀환이민의 ‘정서적 동기’에 주목해 보았다. 특히 D와 C의 사례를 통해 귀환이민의 동기로서 정서적 요인이 이민자의 고령화와 맞물려, 그 의미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음을 확인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motives of 4 Korean returnees from U.S.A.
      The case of A reveals that it does not any more appropriate to divide the “success” and “failure” of return migration solely by the economic motives.
      For family A, the return migration to Korea was not the end of migration cycle, but an another start. The motivation for B’s return can be accessible, only when the problem of inclusion or integration of emigrant in the host society should be considered. If B’s return would be the result of emigration “failure,” it is not an economic failure, but a “failure” to be integrated into the society. Lastly, based on Dienel’s typology theory,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emotional motives” of return migration. Especially in the case of D and C, the emotional factor as return motivation proves to become more significant, along with aging. These cases clearly demonstrated the inter-connectedness of aging and return migration.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motives of 4 Korean returnees from U.S.A. The case of A reveals that it does not any more appropriate to divide the “success” and “failure” of return migration solely by the economic motives. For family A, th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motives of 4 Korean returnees from U.S.A.
      The case of A reveals that it does not any more appropriate to divide the “success” and “failure” of return migration solely by the economic motives.
      For family A, the return migration to Korea was not the end of migration cycle, but an another start. The motivation for B’s return can be accessible, only when the problem of inclusion or integration of emigrant in the host society should be considered. If B’s return would be the result of emigration “failure,” it is not an economic failure, but a “failure” to be integrated into the society. Lastly, based on Dienel’s typology theory,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emotional motives” of return migration. Especially in the case of D and C, the emotional factor as return motivation proves to become more significant, along with aging. These cases clearly demonstrated the inter-connectedness of aging and return migr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통계청, "해외이주신고자현황"

      2 정용문, "한인 이민자 귀환이민 의향 결정요인: 호주 한인 사례" 한국사회정책학회 27 (27): 107-130, 2020

      3 프리즈, 루드거, "초국화: 국가적 경계를 넘어서는 사회화의 이론과 실제" 한국문화사 2023

      4 백은지, "역이민 재외동포 1.5세대의 문화재적응 과정 : 북미거주 경험자를 중심으로" 한국상담대학원 2019

      5 김영철, "아르헨티나 재외동포 1.5세의 역이민과 정착 연구" 한국민족문화연구소 (60) : 83-111, 2016

      6 신희정, "귀환이주자의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 북미지역에 거주했던 귀환이주자의 사례를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2021

      7 Hazán, Miryam, "Understanding return migration to Mexico: towards a comprehensive policy for the reintegration of returning migrants" Center for Comparative Immigration Studies

      8 Pries, L., "Transnationale Migration am Beispiel Deutschland und Türkei" Springer VS 2013

      9 Cassarino, Jean-Pierre, "Theorising Return Migration : The Conceptual Approach to Return Migrants Revisited" 6 (6): 253-279, 2004

      10 Dienel, "Rückwanderung als dynamischer Faktor für ostdeutsche Städte"

      1 통계청, "해외이주신고자현황"

      2 정용문, "한인 이민자 귀환이민 의향 결정요인: 호주 한인 사례" 한국사회정책학회 27 (27): 107-130, 2020

      3 프리즈, 루드거, "초국화: 국가적 경계를 넘어서는 사회화의 이론과 실제" 한국문화사 2023

      4 백은지, "역이민 재외동포 1.5세대의 문화재적응 과정 : 북미거주 경험자를 중심으로" 한국상담대학원 2019

      5 김영철, "아르헨티나 재외동포 1.5세의 역이민과 정착 연구" 한국민족문화연구소 (60) : 83-111, 2016

      6 신희정, "귀환이주자의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 북미지역에 거주했던 귀환이주자의 사례를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2021

      7 Hazán, Miryam, "Understanding return migration to Mexico: towards a comprehensive policy for the reintegration of returning migrants" Center for Comparative Immigration Studies

      8 Pries, L., "Transnationale Migration am Beispiel Deutschland und Türkei" Springer VS 2013

      9 Cassarino, Jean-Pierre, "Theorising Return Migration : The Conceptual Approach to Return Migrants Revisited" 6 (6): 253-279, 2004

      10 Dienel, "Rückwanderung als dynamischer Faktor für ostdeutsche Städte"

      11 Salaff, Janet W, "Routledge International Handbook of Migration Studies" Routledge 2012

      12 Lang, Thilo, "Return migration to Central and Eastern Europe: transnational migrants’ perspectives and local businesses’ needs" 2014

      13 Lee, J. Y., "Return migration of 1.5generation Korean New Zealanders: Long term and Short term reasons" 71 : 34-44, 2015

      14 Lang, Thilo, "Return migration in Central Europe : current trends and an analysis of policies supporting returning migrants" 2013

      15 Dumont, Jean-Christophe, "Return Migration: A New Perspective, International Migration Outlook" SOPEMI 2008

      16 Carling, Jørgen, "Return Migration and Transnationalism : How Are the Two Connected?" 52 (52): 2-12, 2014

      17 Markowitz, Fran, "Homecomings:Unsettling Paths of Return" Lexington Books 2004

      18 Pauli, Julia, "Handbook of Culture and Migration" Edward Elgar 95-109, 2021

      19 Cerase, F. P., "Expectations and reality: a case study of return migration from the United States to Southern Italy" 8 (8): 1974

      20 Tsuda, Takeyuki, "Diasporic Returns to the Ethnic Homeland: The Korean Diaspora in Comparative Perspective" Palgrave Macmillan 201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