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원의 초인지에 주목한 연구이다. 초인지는 자신의 지식과 사고 과정에 대한 인지, 인지와 사고 과정에 대한 조절이다. 초인지는 주로 학습을 계획, 점검, 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848636
2023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57-79(23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원의 초인지에 주목한 연구이다. 초인지는 자신의 지식과 사고 과정에 대한 인지, 인지와 사고 과정에 대한 조절이다. 초인지는 주로 학습을 계획, 점검, 조...
본 연구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원의 초인지에 주목한 연구이다. 초인지는 자신의 지식과 사고 과정에 대한 인지, 인지와 사고 과정에 대한 조절이다. 초인지는 주로 학습을 계획, 점검, 조절, 평가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원이 교수 전 단계, 교수 중 단계, 교수 후 단계에서 자신의 교수 활동을 살피며교수 활동에 긍정적인 변화를 주는 ‘초인지 교수 역량’ 개념을 도입하였다. 그리고한국어교원의 초인지 교수 역량을 높이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한국어교육 전공 과정에 ‘자기 수업 성찰’ 과목을 개설해야 한다.
둘째, 국립국어원에서 교원의 강의 공유, 강의참관, 모의수업 등이 포함된 ‘초인지 교수 역량 향상 배움이음터’를 실시해야 한다.
셋째, 한국어교육 기관에서 신임 교원과 경력 교원의 멘토링을 실시해야 한다.
멘토링은 멘티의 수업 영상을 멘토와 멘티가 함께 보며 성찰하고 자기 점검을 하는 것이다.
넷째, 교원은 수업 단계별 점검 항목으로 구성된 자기 점검표를 사용하거나, 학생으로부터 피드백을 수집하며 초인지 교수 역량을 활성화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metacognition of Korean language(as a foreign language) teachers. Metacognition refers to the awareness of one’s knowledge and thought processes, as well as the regulation of these processes. Metacognition is mainly rel...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metacognition of Korean language(as a foreign language) teachers. Metacognition refers to the awareness of one’s knowledge and thought processes, as well as the regulation of these processes.
Metacognition is mainly related to planning, monitoring (or inspecting), regulating, and evaluating one’s learning ability.
This study introduces the concept of “metacognitive teaching competency,” which allows teachers to make positive changes by examining their teaching activities in the pre-teaching, while-teaching, and post-teaching stages.
The following are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metacognitive teaching competencies of Korean language teachers.
First, “Self-reflective Teaching” subject should be created as a course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major.
Second,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should provide “a training program to improve metacognitive teaching competencies” that includes sharing lectures, observing lessons, and moak class.
Third, Korean language training institutions should provide mentoring for new and experienced teachers. Accordingly, the mentor and mentee would watch videos of the mentee in class.
Fourth, teachers can activate their metacognitive teaching competencies by using a self-monitoring checklist covering items to monitor in each stage of class, or by collecting feedback from stud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정희원, "한국어교원 양성과 재교육" 25-39, 2022
2 김태라, "한국어교사의 핵심역량에 대한 한국어교육 전공자의 인식 연구 -원어민과 비원어민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20
3 백인선, "한국어교사의 반성적 사고에 관한 질적 연구"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1 : 48-68, 2017
4 이민우, "한국어 교원 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분석 연구 -사이버대학 학위과정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33 (33): 147-166, 2022
5 김경주, "한국어 교사의 전문성 신장 방안 연구" 서울대학교국어교육연구소 8 : 69-91, 2001
6 김상수, "한국어 교사의 자기수업 관찰과 분석 연구" 우리말학회 (63) : 133-155, 2020
7 이정희, "한국어 교사 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이중언어학회 (47) : 713-733, 2011
8 이선영, "한국어 경력교사 대상 요구조사를 통한성찰적 교사교육 방안 모색 -수업 전문성 영역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9 (29): 109-137, 2018
9 김지혜, "초보 단계 한국어 교사의 수업 능력 제고를 위한 교사 일지 탐구" 동남어문학회 1 (1): 253-274, 2019
10 H. Douglas Brown, "원리에 의한 교수" 피어슨 에듀케이션 코리아 2001
1 정희원, "한국어교원 양성과 재교육" 25-39, 2022
2 김태라, "한국어교사의 핵심역량에 대한 한국어교육 전공자의 인식 연구 -원어민과 비원어민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20
3 백인선, "한국어교사의 반성적 사고에 관한 질적 연구"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1 : 48-68, 2017
4 이민우, "한국어 교원 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분석 연구 -사이버대학 학위과정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33 (33): 147-166, 2022
5 김경주, "한국어 교사의 전문성 신장 방안 연구" 서울대학교국어교육연구소 8 : 69-91, 2001
6 김상수, "한국어 교사의 자기수업 관찰과 분석 연구" 우리말학회 (63) : 133-155, 2020
7 이정희, "한국어 교사 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이중언어학회 (47) : 713-733, 2011
8 이선영, "한국어 경력교사 대상 요구조사를 통한성찰적 교사교육 방안 모색 -수업 전문성 영역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9 (29): 109-137, 2018
9 김지혜, "초보 단계 한국어 교사의 수업 능력 제고를 위한 교사 일지 탐구" 동남어문학회 1 (1): 253-274, 2019
10 H. Douglas Brown, "원리에 의한 교수" 피어슨 에듀케이션 코리아 2001
11 이선, "예비교사들의 모의수업 시연 후 자기성찰을 위한 자기점검표 개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54 (54): 1-18, 2017
12 박지선 ; 장경숙 ; 박재은 ; 백인환, "영어교육 정책에 대한 고등학교 교사의 인식" 한국영어교육학회 67 (67): 367-391, 2012
13 추광재,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사 평가 준거의 이론적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7) : 1-20, 2004
14 이민경, "성찰적 기법을 활용한 한국어 교사의 수업 전문성 향상 방안 연구" 우리말학회 (72) : 117-140, 2023
15 이지은, "반성적 교사 교육 모형 개발 및 적용을 위한 실행연구: 한국어 교사의구어 수정적 피드백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2016
16 "두산백과"
17 임칠성, "국어과 수업 자가 평가 연구" 국어교육학회(since1969) (48) : 141-172, 2011
18 "국립국어원 한국어교원"
19 이해영 ; 박석준 ; 방성원 ; 이미향 ; 최은지 ; 이정란, "국내 한국어 교원 재교육 현황 조사 및 시사점" 한국국어교육학회 (111) : 83-113, 2017
20 최은규, "교수 일지에 나타난 한국어 교사의 성찰과 전문성 개발" 이중언어학회 (72) : 281-314, 2018
21 고호경 ; 남가영 ; 맹은경, "교사의 반성적 수업 평가의 요소 및 수준에 관한 사례 연구" 교과교육연구소 17 (17): 839-868, 2013
22 Wallace, M. J., "Training foreign language teachers: A reflective approach"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
23 Brown, A. L., "Theoretical issues in reading comprehension" Erlbaum 453-481, 1980
24 Freeman, D., "Teacher training, development, and decision making : A model of teaching and related strategies for language teacher education" 23 (23): 27-45, 1989
25 Oxford, R. L., "Language Learning strategies: What every teacher should know" Heinle Heinle 1990
26 Dewey, J., "How we Think: A critical restatement of the relation of reflective thinking to the educative process" D.C. Heath 1993
27 기준성 ; 김민수, "4차 산업 시대 한국어교육의 발전을 위한 교사의 자세와 지원 방안 연구" 다문화연구소 10 : 65-85, 2022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한국 사회적응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 사회 문제점과 차별 경험을 중심으로-
귀환이민 유형화에 따른 재미 한인이민자의 귀환동기 연구
설화 <마고할미>를 활용한 한국어교육 방안 연구 -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중심으로-
충남지역 외국인 노동인력의 안정적 정착 지원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