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기초조형 중심의 미술활동프로그램이 정신지체아동의 시지각발달에 미치는 효과 = A case study through Art Therapy Program Centered on Basic Formation for EMR Child`s Development of Visual-Percep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1983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fine arts therapy program on the development of visual-perception in order to improve the mentally retarded child``s visual perception who were able to receive education. The specific purpose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above program on the 정신지체 child``s visual perception according to sessional activities. Second,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the child``s development of visual perception through evaluation instrument. In order to prove the above purposes, the results of before and after the research utilized DTVP were compared with the effect by applying the fine arts therapy to the mentally retarded child who were capable of learning during total 31 weeks for 50 minutes every 2 times per week from July 5th, 2001 to Oct. 21s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rogram had an effect on the child``s visual perception after analyzing the effect according to sessions. Second, there had been some effect on the child``s development of visual perception. The functions of sub-areas such as Visual-motor coordination, perceptual constancy on a formation, perception of position in space and spatial relationships except Figure-ground discrimination were improved.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the progra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hild``s development of visual-perception. This study was limited to one child, so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the other normal and retarded children were not proved. My research suggested a point, line, surface and figure among the components of basic formation to improve the mentally retarded child``s visual-perception development. Various fine arts therapy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by applying more sophisticated moulding elements and the principle of basic formation.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fine arts therapy program on the development of visual-perception in order to improve the mentally retarded child``s visual perception who were able to receive education. The specific purposes of...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fine arts therapy program on the development of visual-perception in order to improve the mentally retarded child``s visual perception who were able to receive education. The specific purpose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above program on the 정신지체 child``s visual perception according to sessional activities. Second,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the child``s development of visual perception through evaluation instrument. In order to prove the above purposes, the results of before and after the research utilized DTVP were compared with the effect by applying the fine arts therapy to the mentally retarded child who were capable of learning during total 31 weeks for 50 minutes every 2 times per week from July 5th, 2001 to Oct. 21s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rogram had an effect on the child``s visual perception after analyzing the effect according to sessions. Second, there had been some effect on the child``s development of visual perception. The functions of sub-areas such as Visual-motor coordination, perceptual constancy on a formation, perception of position in space and spatial relationships except Figure-ground discrimination were improved.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the progra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hild``s development of visual-perception. This study was limited to one child, so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the other normal and retarded children were not proved. My research suggested a point, line, surface and figure among the components of basic formation to improve the mentally retarded child``s visual-perception development. Various fine arts therapy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by applying more sophisticated moulding elements and the principle of basic form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회화영역의 조형요소·원리 이해지도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0

      2 "한국판 시지각발달검사(K-DTVP-2)" 학지사 2002

      3 "집단미술활동의 EMR아동의 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광주교육대학교교육대학원 2001

      4 "정신지체아의 그리기 능력에 관한 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1991

      5 "정신지체아교육" 신아출판사 1991

      6 "정신박약아의 지각-운동발달특성"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1989

      7 "정신박약아의 심리연구" 대구대학교 출판부 1983

      8 "정신박약아의 시지각 발달특성에 관한 연구" 특수교육연구소 1976

      9 "점, 선, 면, 형에 있어서 시지각을 통한 조형성 연구" 동국대학교교육대학원 1997

      10 "장애아동의 그리기 지도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1 "회화영역의 조형요소·원리 이해지도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0

      2 "한국판 시지각발달검사(K-DTVP-2)" 학지사 2002

      3 "집단미술활동의 EMR아동의 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광주교육대학교교육대학원 2001

      4 "정신지체아의 그리기 능력에 관한 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1991

      5 "정신지체아교육" 신아출판사 1991

      6 "정신박약아의 지각-운동발달특성"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1989

      7 "정신박약아의 심리연구" 대구대학교 출판부 1983

      8 "정신박약아의 시지각 발달특성에 관한 연구" 특수교육연구소 1976

      9 "점, 선, 면, 형에 있어서 시지각을 통한 조형성 연구" 동국대학교교육대학원 1997

      10 "장애아동의 그리기 지도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11 "인간을 위한 미술교육" 미진사 1995

      12 "아동화의 시지각적 분석연구" 건국대학교교육대학원 1998

      13 "아동과 미술교육" 배영사 1986

      14 "시지각훈련 프로그램이 정신지체아의 시지각과 지각-운동능력에 미치는 효과"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15 "시지각 훈련 프로그램이 중도 뇌성마비아동의 문자학습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특수교육대학원 2000

      16 "시지각 훈련 프로그램" 대구대학교 출판부 1993

      17 "시지각 발달 검사(DTVP)." 도서출판 특수교육 1989

      18 "시각-운동훈련이 정신지체아의 주의집중과 지각발달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1997

      19 "꼴라쥬 활동이 정신지체아의 시지각 발달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1997

      20 "기초조형을 통한 시지각 향상 학습지도방안"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2002

      21 "Teacher's Guide for the Frostig Program for the Development of Visual Perception" Follett Educational Corporation 1964

      22 "TMR아동의 부적응행동에 미치는 미술치료프로그램의 효과" 한국미술치료학회 1 (1): 85-100, 1994

      23 "PMDT에 의한 정신지체아의 지각-운동발달특성"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1992

      24 "KEDI-WiSC 개인지능검사" 특수교육 1991

      25 "Developing Learning Readiness : A Visyal-Motor Tactile Skills Program" Mcgraw Hill 1968

      26 "Clinical assessment of visual perceptional abilities in the mentally retarded" 74 : 203-205, 1970

      27 "Clinical Teaching ; Methods of Instruction for the Retarded" Mcgraw Hill Book CO 196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4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영문명 : Daegu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 Special Education ->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5-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영문명 :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n Special Education -> Daegu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8-16 학회명변경 한글명 : BK21특수교육교육연구단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영문명 : Bk21 Project Force Of Special Education ->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n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6-06-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KCI등재
      2006-05-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BK21특수교육교육연구단 -> 대구대학교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영문명 : Bk21 Project Force Of Special Education -> Daegu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3 1.33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18 1.518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