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양손 협응력 훈련도구 활용에 따른 만성 뇌졸중 환자의 시지각 능력과 양손 기민성 효과검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6286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 본 연구는 양손 협응력 훈련도구의 활용과 평가를 적용하여 만성 뇌졸중 환자의 시지각 능력과 양손 기민성의 효과에 대해 검증하고 훈련도구로서의 역할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

      목적 : 본 연구는 양손 협응력 훈련도구의 활용과 평가를 적용하여 만성 뇌졸중 환자의 시지각 능력과 양손 기민성의 효과에 대해 검증하고 훈련도구로서의 역할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선정기준에 적합한 41명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실험군 21명과 대조군 20명으로 성별·연령별 동질성을 확보하여 분류한 후 실험군은 매일 양손훈련도구와 일반작업치료를 각각 15분간 실시하고, 대조군은 일반작업치료를 30분간 실시하였다. 훈련 제공기간은 주 5회 6주 동안 실시하였다. 평가는 Motor-free Visual Perception Test-3(MVPT-3)와 Complete Minnesota Dexterity Test(CMDT)를 활용하여 모든 집단에 실시하고 실험군은 양손 협응력 훈련도구의 수행능력 측정을 추가로 실시하였으며 평가는 총 3회(훈련 전, 3주후, 6주후)를 시행하였다. 결과 : 실험군에 대한 양손 협응력 훈련도구의 평가결과 수행시간에 대한 통계적 차이는 없었으나(p>.05) 수행시간은 평가 주차별로 감소하였으며, 오류수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MVPT –3에서 실험군은 훈련기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p<.05)로 증가하였고 대조군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또한, 집단간 분석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5)를 보인 훈련기간은 3주후와 6주 후 훈련이었다. CMDT에서는 집단과 훈련기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결론 : 양손 협응력 훈련도구의 활용 및 평가를 통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시지각 기능과 상지 기능향상에 효과적인 훈련도구로서의 적용이 가능함을 보였으며 향후 병실이나 가정에서도 누구나 쉽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the two-hand coordination training tool on visual perception and hand dexterity in chronic stroke patients and to propose the role of the tool as a training method Methods: Forty one par...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the two-hand coordination training tool on visual
      perception and hand dexterity in chronic stroke patients and to propose the role of the tool as a training method
      Methods: Forty one participants were recruited based on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of the study and they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The combination of the two-hand coordination training tool(15 minutes) and traditional occupational therapy(15 minutes) were provid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On the other hand, only the traditional therapy given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 lasted for six weeks and participants were required to attend the session for five days a week. Motor-free Visual Perception Test-3(MVPT-3) and Complete Minnesota Dexterity Test(CMDT) were used as outcome measures for both groups. Outcomes were measured every third weeks including intial measurement.
      Results: In the control group, completion time of CMD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ime periods (p>.05) while the time decreased over the period of experiment and the number of erro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ime periods (p<.05). There was increase in the scores of MVPT in the experimental group over time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5) in the experimental group. Furthermore, group differences were shown at third and sixth week.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ores of CMDT between groups and between time periods.
      Conclusion: Findings of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training tool for two-hand coordination is effective and applicable for rehabilitation for visual perception and functional ability of upper extremity. Therefore, we hope this tool could be utilized both at home and hospita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 론
      • Ⅱ. 연구 방법
      • 1. 연구대상
      • 2. 연구도구
      • 국문초록
      • Ⅰ. 서 론
      • Ⅱ. 연구 방법
      • 1. 연구대상
      • 2. 연구도구
      • 3. 훈련방법 및 절차
      • 4. 통계분석
      • Ⅲ. 연구 결과
      • 1. 양손 협응력 훈련도구 수행력
      • 2. 실험군·대조군의 비운동성 시지각 검사
      • 3. 실험군·대조군의 미네소타 양손 기민성 검사
      • 4. 실험군의 양손 수행력, 시지각 능력, 양손기민성간의 상관관계 분석
      • Ⅳ. 고 찰
      • Ⅴ. 결 론
      • References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희동, "양손 협응력 검사기 개발 및 평가" 대한작업치료학회 25 (25): 129-141, 2017

      2 이은희, "안구훈련이 뇌졸중환자의 시지각기능과 눈-손협응에 미치는 효과" 대한작업치료학회 23 (23): 39-52, 2015

      3 김동우, "성인 뇌졸중환자의 선택적 과제 지향적 활동이 상지운동기능에 미치는 영향"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10 (10): 55-65, 2016

      4 송창호, "비디오 게임을 기반으로 한 가상현실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상지근력, 시지각기능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0 (50): 155-180, 2011

      5 박미정, "반복적 단일 운동 치료와 과제 지향적 운동 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에 미치는 효과 비교" 대한작업치료학회 19 (19): 1-14, 2011

      6 김선호, "만성 뇌졸중 환자의 대칭적, 비대칭적 양측성 상지훈련의 상지기능회복 효과"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6 (6): 35-43, 2017

      7 오은주, "뇌졸중 환자의 편측무시에 대한 시각스캐닝훈련, 팔 활성화 훈련, 시각스캐닝 및 팔 활성화 병행훈련의 중재효과"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7 (7): 201-208, 2013

      8 김태훈, "뇌졸중 환자에서 양손 보완운동의 운동형상학" 한국콘텐츠학회 15 (15): 342-349, 2015

      9 정유진, "급성기 뇌졸중 환자에서의 로봇 보조 상지 훈련의 효과 : 무작위 대조 예비 연구" 대한작업치료학회 25 (25): 15-27, 2017

      10 박귀택, "가상현실기반 양손활동이 편측 뇌성마비 아동의 상지기능 및 시지각 발달에 미치는 영향 : 사례연구" 한국특수체육학회 23 (23): 103-117, 2015

      1 김희동, "양손 협응력 검사기 개발 및 평가" 대한작업치료학회 25 (25): 129-141, 2017

      2 이은희, "안구훈련이 뇌졸중환자의 시지각기능과 눈-손협응에 미치는 효과" 대한작업치료학회 23 (23): 39-52, 2015

      3 김동우, "성인 뇌졸중환자의 선택적 과제 지향적 활동이 상지운동기능에 미치는 영향"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10 (10): 55-65, 2016

      4 송창호, "비디오 게임을 기반으로 한 가상현실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상지근력, 시지각기능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0 (50): 155-180, 2011

      5 박미정, "반복적 단일 운동 치료와 과제 지향적 운동 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에 미치는 효과 비교" 대한작업치료학회 19 (19): 1-14, 2011

      6 김선호, "만성 뇌졸중 환자의 대칭적, 비대칭적 양측성 상지훈련의 상지기능회복 효과"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6 (6): 35-43, 2017

      7 오은주, "뇌졸중 환자의 편측무시에 대한 시각스캐닝훈련, 팔 활성화 훈련, 시각스캐닝 및 팔 활성화 병행훈련의 중재효과"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7 (7): 201-208, 2013

      8 김태훈, "뇌졸중 환자에서 양손 보완운동의 운동형상학" 한국콘텐츠학회 15 (15): 342-349, 2015

      9 정유진, "급성기 뇌졸중 환자에서의 로봇 보조 상지 훈련의 효과 : 무작위 대조 예비 연구" 대한작업치료학회 25 (25): 15-27, 2017

      10 박귀택, "가상현실기반 양손활동이 편측 뇌성마비 아동의 상지기능 및 시지각 발달에 미치는 영향 : 사례연구" 한국특수체육학회 23 (23): 103-117, 2015

      11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traditional medicine strategy 2014-2023" 2014

      12 Yang, B. I., "The effects of bimanual task training on recovery of hemiplegic patient's upper limb motor function" Yongin University 2016

      13 Hwang, J. H., "The effects of bilateral upper limb movement on the bilateral coordina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stroke patients" 5 (5): 13-25, 2011

      14 Hwang, K. C., "The effect of mental practice on the improvement of the visual motor coordination of the disabled with left-side hemiplegia caused by Stroke" 12 (12): 1-14, 2004

      15 Prange, G. B., "The effect of arm support combined with rehabilitation games on upper-extremity function in subacute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29 : 174-182, 2015

      16 Kim, J. W., "The effect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training on the visual perception capacity performance function of the stroke" 2 (2): 1-14, 2014

      17 Stinear, J. W., "The contribution of cervical propriospinal premotoneurons in recovering hemiparetic stroke patients" 21 : 426-434, 2004

      18 Weigelt, M., "Target-related coupling in bimanual reaching movements" 71 : 438-447, 2007

      19 Brokaw, E. B., "Robotic therapy provides a stimulus for upper limb motor recovery after stroke that is complementary to and distinct from conventional therapy" 28 : 367-376, 2014

      20 Dobkin, B. H., "Rehabilitation and functional neuroimaging dose-response trajectories for clinical trials" 19 : 276-282, 2005

      21 Sale, P., "Recovery of hand function with robot-assisted therapy in acute stroke patients: A randomized-controlled trial" 37 : 236-242, 2014

      22 Cauraugh, J. H., "Neural plasticity and bilateral movements: A rehabilitation approach for chronic stroke" 75 : 309-320, 2005

      23 Page, S. J., "Modified constraint-induced therapy in chronic stroke" 81 : 870-875, 2002

      24 Lafayette Instrument, "Lafayette instrument complete Minnesota manual dexterity test" Lafayette. Inc. 1969

      25 최성열, "Dynavision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과제수행동안 시각적 주의력에 미치는 효과: 개별실험연구" 대한작업치료학회 23 (23): 1-13, 2015

      26 Nakayama, H. J., "Compensation in recovery of upper extremity function after stroke: The Copenhagen stroke study" 75 : 852-857, 1994

      27 Shim, H. K., "A theoretical study on visual-perceptual characteristic of map cognition process" 7 (7): 1-13, 2007

      28 Cha, M. S., "A review of the effect of bilateral arm movement training" 6 (6): 15-21,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3-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8 0.78 0.8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86 0.929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