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궁중예술과 민간예술의 교류 메커니즘 = Mechanism of Interaction between Court and Folk Ar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867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조선시대를 중심으로 궁중예술과 민간예술의 교류사(交流史)를 살펴봄으로써 상층예술과 민간예술이 서로 섞이며 다양해지고 고급화되는 과정을 통해 예술의 발전이 이어져오고 있음을 밝히는 것이다.
      조선시대의 악(樂)은 시(時), 가(歌), 무(舞)를 통칭하는 용어였다. 그러므로 조선시대 악에 관한 기사 속에서 오늘날의 문학, 노래, 무용의 전반에 걸친 예술 문화를 살필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조선왕조실록을 비롯하여, 홀기, 개인의 문집 등을 총 망라하여 악(樂)에 관한 기사를 정리하고 이를 근거로 삼아 궁중예술과 민간예술의 교류 메커니즘을 밝혔다. 동시에, 본 연구자의 최고 관심사는 무용이므로 악에 관한 기사 중에서 특히 무용의 교류에 관해서 보다 깊이있게 살펴보았다.
      본 연구 에서는 궁중예술과 민간예술의 교류 메커니즘을 다섯 가지로 도출하였다.
      첫째, 선상조(選上條)에 의한 기녀(妓女)교류둘째, 사대부 관료들의 사적인 향락(享樂) 셋째, 전란 시기 장악원(掌樂院) 기능자들의 피란넷째, 민간에서 유래한 궁중정재다섯째, 국가 소속 음악기관의 공개연주이러한 다섯 가지의 궁중예술과 민간예술의 교류 메커니즘을 통해 이원화되었던 두 예술이 서로 융합되어 발전하였다. 이를 통해 궁중예술은 더 다양해지고 대중화되었으며 민간예술은 더 수준이 높아지고 완성도를 갖추며 고급화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예술의 발전이 이루어진 다양한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새로운 예술발전에 가치를 더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조선시대를 중심으로 궁중예술과 민간예술의 교류사(交流史)를 살펴봄으로써 상층예술과 민간예술이 서로 섞이며 다양해지고 고급화되는 과정을 통해 예술의 발전이 이...

      본 연구의 목적은 조선시대를 중심으로 궁중예술과 민간예술의 교류사(交流史)를 살펴봄으로써 상층예술과 민간예술이 서로 섞이며 다양해지고 고급화되는 과정을 통해 예술의 발전이 이어져오고 있음을 밝히는 것이다.
      조선시대의 악(樂)은 시(時), 가(歌), 무(舞)를 통칭하는 용어였다. 그러므로 조선시대 악에 관한 기사 속에서 오늘날의 문학, 노래, 무용의 전반에 걸친 예술 문화를 살필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조선왕조실록을 비롯하여, 홀기, 개인의 문집 등을 총 망라하여 악(樂)에 관한 기사를 정리하고 이를 근거로 삼아 궁중예술과 민간예술의 교류 메커니즘을 밝혔다. 동시에, 본 연구자의 최고 관심사는 무용이므로 악에 관한 기사 중에서 특히 무용의 교류에 관해서 보다 깊이있게 살펴보았다.
      본 연구 에서는 궁중예술과 민간예술의 교류 메커니즘을 다섯 가지로 도출하였다.
      첫째, 선상조(選上條)에 의한 기녀(妓女)교류둘째, 사대부 관료들의 사적인 향락(享樂) 셋째, 전란 시기 장악원(掌樂院) 기능자들의 피란넷째, 민간에서 유래한 궁중정재다섯째, 국가 소속 음악기관의 공개연주이러한 다섯 가지의 궁중예술과 민간예술의 교류 메커니즘을 통해 이원화되었던 두 예술이 서로 융합되어 발전하였다. 이를 통해 궁중예술은 더 다양해지고 대중화되었으며 민간예술은 더 수준이 높아지고 완성도를 갖추며 고급화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예술의 발전이 이루어진 다양한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새로운 예술발전에 가치를 더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온경, "한국춤총론" 2016

      2 성경린, "한국의무용"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4

      3 김매자, "한국무용사" 삼신각 1995

      4 송방송, "증보한국음악통사" 민속원 2007

      5 성무경, "조선후기 呈才와 歌曲의 관계―19세기 현상에 주목하여―" 한국시가학회 14 : 7-, 2003

      6 서신혜, "조선의 승부사들" 역사의아침 2008

      7 강명관, "조선시대 문학예술의 생성공간" 소명출판 1999

      8 성무경, "정재무도홀기" 보고사 2003

      9 이혜구, "신역악학궤범" 태학사 2000

      10 "국역대동야승" 민족문화추진회 1971

      1 김온경, "한국춤총론" 2016

      2 성경린, "한국의무용"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4

      3 김매자, "한국무용사" 삼신각 1995

      4 송방송, "증보한국음악통사" 민속원 2007

      5 성무경, "조선후기 呈才와 歌曲의 관계―19세기 현상에 주목하여―" 한국시가학회 14 : 7-, 2003

      6 서신혜, "조선의 승부사들" 역사의아침 2008

      7 강명관, "조선시대 문학예술의 생성공간" 소명출판 1999

      8 성무경, "정재무도홀기" 보고사 2003

      9 이혜구, "신역악학궤범" 태학사 2000

      10 "국역대동야승" 민족문화추진회 1971

      11 성무경, "교방가요" 보고사 2002

      12 전규태, "高麗歌謠" 정음사 1968

      13 차주환, "高麗史, 樂誌"

      14 "進宴儀軌"

      15 "經國大典" 아세아문화사 1983

      16 오희문, "瑣尾錄 下"

      17 오희문, "瑣尾錄" 사회평론아카데미 2018

      18 임재해, "民俗硏究 1" 安東大學民俗學硏究所 1991

      19 김승룡, "樂記集釋2" 2002

      20 김승룡, "樂記集釋1" 2002

      21 조남권, "樂記" 민속원 2000

      22 송방송, "樂掌謄錄硏究" 영남대학교출판부 1980

      23 "朝鮮王朝實錄音樂記事資料集"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6

      24 정현석, "敎坊歌謠"

      25 김천흥, "心韶金千興舞樂七十年" 민속원 1995

      26 "呈才舞蹈笏記, 癸巳"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1-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우리춤연구 -> 우리춤과 과학기술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6-1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양우리춤연구소 -> 우리춤연구소
      영문명 :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Traditional Dance in HanYang Univ ->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Traditional Dance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3 0.5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