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유옥경, "조선후기 풍속화의 農繁期 들밥(饁)과 술(酒)"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7 : 371-408, 2013
2 차인배, "조선후기 포도청의 夜巡활동과 夜禁정책의 변통" 한국학연구소 (39) : 383-416, 2015
3 김대길, "조선후기 주금에 관한 연구" 한국사학회 50 : 1995
4 배진아, "조선후기 음주문화와 금주령"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5 김대길, "조선후기 우금 주금 송금 연구" 경인문화사 2006
6 李能和, "조선해어화사" 동문선 1992
7 강명관, "조선풍속사 3–조선사람들 혜원의 그림 밖으로 걸어 나오다-" 푸른역사 2010
8 강명관, "조선의 뒷골목 풍경" 푸른역사 2003
9 한상권, "조선시대의 교화와 형정" 한국역사연구회 (79) : 271-303, 2011
10 국립중앙박물관, "조선시대 풍속화" 2002
1 유옥경, "조선후기 풍속화의 農繁期 들밥(饁)과 술(酒)"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7 : 371-408, 2013
2 차인배, "조선후기 포도청의 夜巡활동과 夜禁정책의 변통" 한국학연구소 (39) : 383-416, 2015
3 김대길, "조선후기 주금에 관한 연구" 한국사학회 50 : 1995
4 배진아, "조선후기 음주문화와 금주령"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5 김대길, "조선후기 우금 주금 송금 연구" 경인문화사 2006
6 李能和, "조선해어화사" 동문선 1992
7 강명관, "조선풍속사 3–조선사람들 혜원의 그림 밖으로 걸어 나오다-" 푸른역사 2010
8 강명관, "조선의 뒷골목 풍경" 푸른역사 2003
9 한상권, "조선시대의 교화와 형정" 한국역사연구회 (79) : 271-303, 2011
10 국립중앙박물관, "조선시대 풍속화" 2002
11 김준혁, "조선시대 선비들의 탁주(濁酒) 이해와 음주문화" 한국역사민속학회 (46) : 131-158, 2014
12 서울문화사학회, "조선시대 서울 사람들 1, 2" 어진이 2003
13 한국고문서학회, "조선시대 생활사 3 : 의식주, 살아있는 조선의 풍경" 역사비평사 2006
14 박소영, "조선시대 금주령의 법제화 과정과 시행양상" 전북사학회 (42) : 137-166, 2013
15 박소영, "조선시대 금주령의 법제화 과정과 시행양상"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0
16 정대용, "조선 초기 금주령 연구" 청주대학교 대학원 1999
17 정구선, "조선 왕들, 금주령을 내리다 : 조선왕조실록으로 들여다보는 조선의 술 문화" 팬덤북스 2014
18 주영하, "식탁위의 한국사 –메뉴로 본 20세기 한국 음식문화사" 휴머니스트 2013
19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기산 김준근 조선풍속도-스왈른 수집본" 2008
20 정병설, "권력과 인간, 사도세자의 죽음과 조선 왕실" 문학동네 2012
21 "續大典"
22 "經書類抄"
23 "秋曹決獄錄"
24 "秋官志"
25 "眉庵先生集"
26 "朝鮮王朝實錄"
27 유옥경, "朝鮮 後期 風俗畵에 나타난 酒壚의 視覺的 再現" 한국미술연구소 (27) : 223-251, 2008
28 "星湖僿說"
29 "日省錄"
30 "承政院日記"
31 "建陽元年漢城府戶籍"
32 "大典通編"
33 朝鮮總督府法務局行刑課, "司法制度沿革圖譜"
34 "受敎輯錄"
35 "刑典事目"
36 "六典條例"
37 "備邊司謄錄"
38 "五龍齋遺稿"
39 차인배, "18~19세기 주금정책(酒禁政策) 추이와 주금형률(酒禁刑律) 제정" 한국법사학회 (65) : 49-94, 2022
40 유승희, "17~18세기 야금(夜禁)제의 운영과 범야자(犯夜者)의 실태: 한성부를 중심으로" 부산경남사학회 (87) : 85-109, 2013
41 이정수, "16세기의 금주령과 검약령" 한국중세사학회 14 :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