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미술품 약탈과 위조의 역사에서 아트 아카이브를 활용한 프로비넌스(provenance) 연구의 필요성 = The Need for Provenance Research using Art Archives in the History of Art Looting and Forge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6777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미술품의 프로비넌스(Provenance) 연구의 중요성을 조명하고, 기록학적 접근을 통해 이를 체계적으로 확립하는 데 목적이 있다. 프로비넌스는 미술품의 단순한 소장이력을 넘어, 작품의 진위 검증, 미술시장의 투명성 확보, 문화유산 및 미술품 반환, 학제 간 연구의 핵심 개념으로 기능한다. 특히, 미국과 유럽에서는 1970년대 이후 도난 및 약탈 미술품의 반환과 연계하여 프로비넌스 연구가 본격적으로 발전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는 등 연구 성과가 축적되었다. 반면, 한국 미술계에서는 작품의 진위 확인이 주로 작품보증서나 감정서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러한 현상은 프로비넌스 개념이 충분히 정착되지 못한 한계를 드러낸다. 이는 미술품의 소장이력과 소장자 변화에 대한 종합적 분석 방법론의 부재로 이어져, 위작 논란과 미술시장 내 투명성 결여 등의 문제를 심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프로비넌스 연구의 체계적 정립을 위해 아카이브(Archive)를 활용한 기록학적 접근의 필요성을 주장한다. 기존 연구들이 미술사적 관점에 국한된 한계를 보였다면, 본 연구는 기록학의 방법론을 적용하여 다양한 기록을 활용함으로써 미술품의 이동 경로와 거래 맥락을 정밀하게 분석하고, 프로비넌스를 체계적으로 검증하고 명확히 규명하는 데 중점을 둔다. 이러한 관점을 실증적으로 검토하기 위해, 게티연구소(Getty Research Institute)의 아카이브와 매뉴스크립트 활용 사례를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연구의 필요성을 모색한다. 더불어 독립적인 감정위원회 운영, 아카이브 기반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정보 공유 체계 확립 등의 전략을 함께 언급함으로써, 미술품의 프로비넌스가 구조적으로 확립될 수 있는 제도적 기반 마련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이러한 접근은 한국 미술사의 발전을 더욱 입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학문적 토대를 마련하고, 동시에 기록학과 미술사의 학제 간 교류를 촉진하여 동시대 연구의 다층적 요구를 충족시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미술품의 프로비넌스(Provenance) 연구의 중요성을 조명하고, 기록학적 접근을 통해 이를 체계적으로 확립하는 데 목적이 있다. 프로비넌스는 미술품의 단순한 소장이력을 넘어, 작...

      본 연구는 미술품의 프로비넌스(Provenance) 연구의 중요성을 조명하고, 기록학적 접근을 통해 이를 체계적으로 확립하는 데 목적이 있다. 프로비넌스는 미술품의 단순한 소장이력을 넘어, 작품의 진위 검증, 미술시장의 투명성 확보, 문화유산 및 미술품 반환, 학제 간 연구의 핵심 개념으로 기능한다. 특히, 미국과 유럽에서는 1970년대 이후 도난 및 약탈 미술품의 반환과 연계하여 프로비넌스 연구가 본격적으로 발전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는 등 연구 성과가 축적되었다. 반면, 한국 미술계에서는 작품의 진위 확인이 주로 작품보증서나 감정서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러한 현상은 프로비넌스 개념이 충분히 정착되지 못한 한계를 드러낸다. 이는 미술품의 소장이력과 소장자 변화에 대한 종합적 분석 방법론의 부재로 이어져, 위작 논란과 미술시장 내 투명성 결여 등의 문제를 심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프로비넌스 연구의 체계적 정립을 위해 아카이브(Archive)를 활용한 기록학적 접근의 필요성을 주장한다. 기존 연구들이 미술사적 관점에 국한된 한계를 보였다면, 본 연구는 기록학의 방법론을 적용하여 다양한 기록을 활용함으로써 미술품의 이동 경로와 거래 맥락을 정밀하게 분석하고, 프로비넌스를 체계적으로 검증하고 명확히 규명하는 데 중점을 둔다. 이러한 관점을 실증적으로 검토하기 위해, 게티연구소(Getty Research Institute)의 아카이브와 매뉴스크립트 활용 사례를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연구의 필요성을 모색한다. 더불어 독립적인 감정위원회 운영, 아카이브 기반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정보 공유 체계 확립 등의 전략을 함께 언급함으로써, 미술품의 프로비넌스가 구조적으로 확립될 수 있는 제도적 기반 마련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이러한 접근은 한국 미술사의 발전을 더욱 입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학문적 토대를 마련하고, 동시에 기록학과 미술사의 학제 간 교류를 촉진하여 동시대 연구의 다층적 요구를 충족시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provenance research in artworks and explores its systematic establishment through an archival approach. Beyond ownership history, provenance plays a crucial role in authenticity verification, art market transparency, and cultural property restitution. While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have developed structured provenance research since the 1970s, Korea lacks a systematic framework, relying primarily on authenticity certificates and appraisals, increasing the risk of forgeries and market opacity. To address this, the study emphasizes archival methodologies as essential for structured provenance verification, utilizing diverse archives to trace ownership history. Case studies from the Getty Research Institute (GRI) illustrate how archival science strengthens provenance research.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poses strategies for Korea, including an independent appraisal committee, an archive-based provenance database, and an information-sharing system to enhance transparency and reliability in provenance verification. By bridging archival science and art history, this interdisciplinary approach contributes to a more structured and objective provenance research framework in Korea, while advancing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its art history.
      번역하기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provenance research in artworks and explores its systematic establishment through an archival approach. Beyond ownership history, provenance plays a crucial role in authenticity verification, art market transpar...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provenance research in artworks and explores its systematic establishment through an archival approach. Beyond ownership history, provenance plays a crucial role in authenticity verification, art market transparency, and cultural property restitution. While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have developed structured provenance research since the 1970s, Korea lacks a systematic framework, relying primarily on authenticity certificates and appraisals, increasing the risk of forgeries and market opacity. To address this, the study emphasizes archival methodologies as essential for structured provenance verification, utilizing diverse archives to trace ownership history. Case studies from the Getty Research Institute (GRI) illustrate how archival science strengthens provenance research.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poses strategies for Korea, including an independent appraisal committee, an archive-based provenance database, and an information-sharing system to enhance transparency and reliability in provenance verification. By bridging archival science and art history, this interdisciplinary approach contributes to a more structured and objective provenance research framework in Korea, while advancing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its art history.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