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청소년의 자기표현과 또래관계 증진을 위한 소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 A Case Study on Small Group Art Therapy for Enhancement of Self-Expression and Peer Relationship of Adolesc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1469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enhancement of self-expression of first graders of middle school who had difficulty expressing themselves. Among the first graders of middle school who are attending D All-Male Middle School in P-si where a professional counselor is attend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7th graders) who were judged to need psychological intervention because he/she did not get along well with their peers due to lack of self-expression and had a hard time in school. Therefore, the researcher sent a guidebook of the program to the target student's family, obtained consent from the relevant adolescents and parents, and conducted a small group art therapy program to promote self-expression and peer relations.
      This study conducted a total of 12 sessions, 60 minutes each session once or twice a week from Sep 15, 2021 to Nov 24, 2021. The research tool used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this study is the self-expression measure of Byun Chang-Jin and Kim Sung-Hoe(1980), which reconstructed the self-expression rating scale of Schroeder(1979) to suit the cultural background of Korea, and used Kinetic School Drawing(KSD) for pre·post·future tests. Also, behavior observation was conducted to measure changes in self-expression, and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he program, 2 free-play sessions were held for 10 minutes each a week before the program started and filmed 10 minutes of free play before the program was implemented for behavior changes. In order to observe the maintenance of behavior, a video of free play was taken twice a week for 10 minutes 2 weeks after the program ended. Data processing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analyzed the self-expression scale and showed the pre·post·future test results according to scores by quantitatively analyzing the effect on enhancing self-expression.
      Secondly, after clarifying observation behavior through operational definition of self-expression behavior, this study filmed 10-minute free play video every session, observed the self-expression behavior of the adolescents, and showed the frequency measured for each session in a table and a broken-line graph.
      Thirdly, peer relationships and changes in school life shown in the figure were examined by comparing the pre·post·future illustrations of Kinetic School Drawing(KSD).
      Fourthly, after obtaining consent from adolescents and par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this study referred to the verbatim record and response diary of each session by recording the entire 12 sessions of the program and qualitatively analyzed the process of changes in self-exp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group art therapy was effective in enhancing self-expression of adolescents.
      Secondly, group art therapy by promoting self-expression made positive effects on changes in peer relationship and school like that appeared in Kinetic School Drawing(KSD).
      Therefor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empirically verified that small group art therapy has a positive effect on enhancing self-expression and peer relationship of adolescent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enhancement of self-expression of first graders of middle school who had difficulty expressing themselves. Among the first graders of middle school who are attending D Al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enhancement of self-expression of first graders of middle school who had difficulty expressing themselves. Among the first graders of middle school who are attending D All-Male Middle School in P-si where a professional counselor is attend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7th graders) who were judged to need psychological intervention because he/she did not get along well with their peers due to lack of self-expression and had a hard time in school. Therefore, the researcher sent a guidebook of the program to the target student's family, obtained consent from the relevant adolescents and parents, and conducted a small group art therapy program to promote self-expression and peer relations.
      This study conducted a total of 12 sessions, 60 minutes each session once or twice a week from Sep 15, 2021 to Nov 24, 2021. The research tool used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this study is the self-expression measure of Byun Chang-Jin and Kim Sung-Hoe(1980), which reconstructed the self-expression rating scale of Schroeder(1979) to suit the cultural background of Korea, and used Kinetic School Drawing(KSD) for pre·post·future tests. Also, behavior observation was conducted to measure changes in self-expression, and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he program, 2 free-play sessions were held for 10 minutes each a week before the program started and filmed 10 minutes of free play before the program was implemented for behavior changes. In order to observe the maintenance of behavior, a video of free play was taken twice a week for 10 minutes 2 weeks after the program ended. Data processing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analyzed the self-expression scale and showed the pre·post·future test results according to scores by quantitatively analyzing the effect on enhancing self-expression.
      Secondly, after clarifying observation behavior through operational definition of self-expression behavior, this study filmed 10-minute free play video every session, observed the self-expression behavior of the adolescents, and showed the frequency measured for each session in a table and a broken-line graph.
      Thirdly, peer relationships and changes in school life shown in the figure were examined by comparing the pre·post·future illustrations of Kinetic School Drawing(KSD).
      Fourthly, after obtaining consent from adolescents and par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this study referred to the verbatim record and response diary of each session by recording the entire 12 sessions of the program and qualitatively analyzed the process of changes in self-exp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group art therapy was effective in enhancing self-expression of adolescents.
      Secondly, group art therapy by promoting self-expression made positive effects on changes in peer relationship and school like that appeared in Kinetic School Drawing(KSD).
      Therefor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empirically verified that small group art therapy has a positive effect on enhancing self-expression and peer relationship of adolesc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표현에 어려움이 있는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소집단미술치료가 자기표현과 또래관계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P시 D남자 중학교의 전문상담교사가 재학 중인 중학생 1학년들 가운데 자기표현이 부족하여 또래들과 잘 어울리지 못하고 학교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이에 대한 심리적 중재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중학생 1학년 학생 4명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프로그램에 대한 안내서를 대상 학생의 가정에 보내어 해당 청소년 및 학부모 동의를 받아 자기표현과 또래관계 증진 소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2021년 9월 15일부터 2021년 11월 24일까지 주 1∼2회 매 회기 60분씩, 총 12회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효과 측정을 위해 사용한 연구 도구는 Rokos와 Schroeder(1979)의 자기표현 평정척도를 우리나라 문화적 배경에 맞게 재구성된 변창진과 김성회(1980)의 자기표현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학교생활화(KSD)를 프로그램 사전·사후·추후 검사에 사용하였다. 또한 자기표현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행동관찰을 실시하였는데 이는 프로그램 실시 1주일 전에 2회 자유놀이 시간을 10분씩, 프로그램 실시 과정 중 행동변화는 프로그램 실시 전 자유놀이 10분간을 동영상촬영을 하였다. 행동유지를 관찰하기 위해서 프로그램 종료 2주 후에 1주일 동안 2회 자유놀이 10분간을 동영상촬영을 실시하였다. 자료 처리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표현 척도를 분석하여 자기표현 증진에 미치는 영향을 양적 분석하여 점수에 따른 사전·사후·추후 결과를 막대그래프로 나타내었다.
      둘째, 자기표현 행동에 대한 조작적 정의를 통해 관찰행동을 명료화 한 후, 매 회기 자유놀이 10분 동영상 촬영을 통해 연구 대상 청소년들의 자기표현 행동을 관찰한 후 , 이를 매 회기별 측정한 빈도수를 표와 꺾은선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셋째, 학교 생활화(KSD)의 사전·사후·추후 그림을 비교하여 또래관계 변화를 살펴보았다.
      넷째, 프로그램에 참여한 청소년 및 학부모의 동의서를 받은 후 전체 12회기 프로그램 활동 과정을 촬영하여 축어록 및 회기별 반응 일지를 작성한 것을 참고하여 자기표현 변화 과정을 질적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집단미술치료는 청소년의 자기표현 증진에 효과적이었다.
      둘째, 자기표현과 또래관계 증진을 통한 집단미술치료가 학교생활화(KSD)에서 나타난 또래관계 변화에 긍정적 효과를 미쳤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자기표현과 또래관계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는 효과성을 실증적으로 입증하였음에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표현에 어려움이 있는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소집단미술치료가 자기표현과 또래관계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P시 D남자 중학교의 전...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표현에 어려움이 있는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소집단미술치료가 자기표현과 또래관계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P시 D남자 중학교의 전문상담교사가 재학 중인 중학생 1학년들 가운데 자기표현이 부족하여 또래들과 잘 어울리지 못하고 학교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이에 대한 심리적 중재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중학생 1학년 학생 4명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프로그램에 대한 안내서를 대상 학생의 가정에 보내어 해당 청소년 및 학부모 동의를 받아 자기표현과 또래관계 증진 소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2021년 9월 15일부터 2021년 11월 24일까지 주 1∼2회 매 회기 60분씩, 총 12회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효과 측정을 위해 사용한 연구 도구는 Rokos와 Schroeder(1979)의 자기표현 평정척도를 우리나라 문화적 배경에 맞게 재구성된 변창진과 김성회(1980)의 자기표현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학교생활화(KSD)를 프로그램 사전·사후·추후 검사에 사용하였다. 또한 자기표현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행동관찰을 실시하였는데 이는 프로그램 실시 1주일 전에 2회 자유놀이 시간을 10분씩, 프로그램 실시 과정 중 행동변화는 프로그램 실시 전 자유놀이 10분간을 동영상촬영을 하였다. 행동유지를 관찰하기 위해서 프로그램 종료 2주 후에 1주일 동안 2회 자유놀이 10분간을 동영상촬영을 실시하였다. 자료 처리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표현 척도를 분석하여 자기표현 증진에 미치는 영향을 양적 분석하여 점수에 따른 사전·사후·추후 결과를 막대그래프로 나타내었다.
      둘째, 자기표현 행동에 대한 조작적 정의를 통해 관찰행동을 명료화 한 후, 매 회기 자유놀이 10분 동영상 촬영을 통해 연구 대상 청소년들의 자기표현 행동을 관찰한 후 , 이를 매 회기별 측정한 빈도수를 표와 꺾은선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셋째, 학교 생활화(KSD)의 사전·사후·추후 그림을 비교하여 또래관계 변화를 살펴보았다.
      넷째, 프로그램에 참여한 청소년 및 학부모의 동의서를 받은 후 전체 12회기 프로그램 활동 과정을 촬영하여 축어록 및 회기별 반응 일지를 작성한 것을 참고하여 자기표현 변화 과정을 질적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집단미술치료는 청소년의 자기표현 증진에 효과적이었다.
      둘째, 자기표현과 또래관계 증진을 통한 집단미술치료가 학교생활화(KSD)에서 나타난 또래관계 변화에 긍정적 효과를 미쳤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자기표현과 또래관계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는 효과성을 실증적으로 입증하였음에 의의가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문제 3
      • Ⅱ. 이론적 배경 4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문제 3
      • Ⅱ. 이론적 배경 4
      • 1. 청소년의 자기표현과 또래관계 4
      • 2. 청소년의 자기표현 및 또래관계와 소집단 미술치료 5
      • Ⅲ. 연구 방법 8
      • 1. 연구 대상 8
      • 2. 연구 절차 9
      • 3. 연구도구 10
      • 4. 소집단 미술치료 프로그램 12
      • 5. 자료 처리 15
      • Ⅳ. 연구 결과 16
      • 1. 자기표현 변화 16
      • 2. 학교생활화(KSD)에서의 또래관계 변화 22
      • 3. 회기별 자기표현 변화 과정 26
      • Ⅴ. 논의 및 결론 43
      • 참고문헌 47
      • 영문초록 51
      • 부 록 5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