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행복한 미술교육을 통한 창의성 교육 - 종이염색을 중심으로 - = Creative Education through Happy Art activity: Focus on Paper Dye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757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at paper dyeing as part of happy art activity program, which is an elective program created by researcher as a chapter of formen & color experience can develop creativity is student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first explored current issues(bullying...) in schools and examined the meaning of creativity and happy modeling activity in the 21^(st) century. Following this, the researcher introduced a case study,suggest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reative process and happy modeling activity using paper dyeing.
      As the result of this study, we have learned that color exploration using cheap and easy paper dyeing before the use fabrics is very effective for developing creativity. Furthermore, experiencing the accidental effect in the process of paper dyeing increased their self confidence and the ability to express while experiencing the pleasure and passion of creating. Students’level of engagement in the process and satisfaction about final product in paper dyeing was also twice as high compared to fabric dyeing as they can see the beautiful results in a short amount of time.
      Students showed amazing creativity in the process of making and presenting their group portfolio. Group members’ level of communication,rapport and acceptance of each other’s artistic ability also increased. For this reason, happy art education through paper dying is effective for not only creative education but also character educa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at paper dyeing as part of happy art activity program, which is an elective program created by researcher as a chapter of formen & color experience can develop creativity is students. For this purpose, the r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at paper dyeing as part of happy art activity program, which is an elective program created by researcher as a chapter of formen & color experience can develop creativity is student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first explored current issues(bullying...) in schools and examined the meaning of creativity and happy modeling activity in the 21^(st) century. Following this, the researcher introduced a case study,suggest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reative process and happy modeling activity using paper dyeing.
      As the result of this study, we have learned that color exploration using cheap and easy paper dyeing before the use fabrics is very effective for developing creativity. Furthermore, experiencing the accidental effect in the process of paper dyeing increased their self confidence and the ability to express while experiencing the pleasure and passion of creating. Students’level of engagement in the process and satisfaction about final product in paper dyeing was also twice as high compared to fabric dyeing as they can see the beautiful results in a short amount of time.
      Students showed amazing creativity in the process of making and presenting their group portfolio. Group members’ level of communication,rapport and acceptance of each other’s artistic ability also increased. For this reason, happy art education through paper dying is effective for not only creative education but also character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연구자가 개설한 학부선택과목인 ‘포르멘과 색채체험’의 내용 중, 종이염색을 중심으로 행복한 미술교육을 통한 창의성교육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오늘날 학교폭력문제의 실태를 살펴보고 21세기 창의성의 의미와행복해지는 조형 활동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 다음에 종이염색을 통한 창의적 조형 활동에서 종이염색의 단계별 수업사례와 수업감상문을 소개하여 행복한 조형 활동이 학습자에게 창의성의 원동력이 되는 것임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현행 초등미술과 5·6학년 교과서 단원인 천 염색 전 단계에 경제적이고 손쉬운 종이 염색을 통해 충분히색채체험을 하는 것이 학생들의 창의성 신장에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종이염색과정에서 경험한 우연 효과의 아름다움은 학생들에게 놀라움과 기쁨, 창작에의 열정을 불러일으켜 작품 제작에 대한 자신감과 표현력을 현저하게 증진시켰다. 특히, 빠른 시간에 다채로운 결과물이 나오는 종이염색과정에서 학생들의 조형 활동 몰입도는 천 염색과정에 비해 높았고 작품결과에 대한 즐거운 기대와 반응, 만족도도 컸다. 종이 염색 후, 모둠별로 포트폴리오를 공동제작하여 발표·감상하는 과정에서도놀라운 창의성을 보여주었다. 팀원들간의 소통능력 향상과 아이디어 교환, 상호 예술성의 인지과정에서 친밀도 및 협동심, 사회성도 향상되었다. 따라서 종이 염색을 통한행복한 미술교육이 창의성 및 인성교육에도 매우 효과적임을 입증할 수 있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연구자가 개설한 학부선택과목인 ‘포르멘과 색채체험’의 내용 중, 종이염색을 중심으로 행복한 미술교육을 통한 창의성교육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

      본 연구는 연구자가 개설한 학부선택과목인 ‘포르멘과 색채체험’의 내용 중, 종이염색을 중심으로 행복한 미술교육을 통한 창의성교육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오늘날 학교폭력문제의 실태를 살펴보고 21세기 창의성의 의미와행복해지는 조형 활동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 다음에 종이염색을 통한 창의적 조형 활동에서 종이염색의 단계별 수업사례와 수업감상문을 소개하여 행복한 조형 활동이 학습자에게 창의성의 원동력이 되는 것임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현행 초등미술과 5·6학년 교과서 단원인 천 염색 전 단계에 경제적이고 손쉬운 종이 염색을 통해 충분히색채체험을 하는 것이 학생들의 창의성 신장에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종이염색과정에서 경험한 우연 효과의 아름다움은 학생들에게 놀라움과 기쁨, 창작에의 열정을 불러일으켜 작품 제작에 대한 자신감과 표현력을 현저하게 증진시켰다. 특히, 빠른 시간에 다채로운 결과물이 나오는 종이염색과정에서 학생들의 조형 활동 몰입도는 천 염색과정에 비해 높았고 작품결과에 대한 즐거운 기대와 반응, 만족도도 컸다. 종이 염색 후, 모둠별로 포트폴리오를 공동제작하여 발표·감상하는 과정에서도놀라운 창의성을 보여주었다. 팀원들간의 소통능력 향상과 아이디어 교환, 상호 예술성의 인지과정에서 친밀도 및 협동심, 사회성도 향상되었다. 따라서 종이 염색을 통한행복한 미술교육이 창의성 및 인성교육에도 매우 효과적임을 입증할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성숙, "행복한 미술교육을 통한 창의성 교육 - 종이염색을 중심으로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32 : 145-163, 2012

      2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행복교과서" 월드김영사 2012

      3 "한국경비지도사동우회 사이트"

      4 노영자, "초등학교 미술 5․6" (주)교학사 2011

      5 김용식, "초등학교 미술 5․6" (주)금성출판사 2011

      6 이규선, "초등학교 미술 5․6" (주)천재교육 2011

      7 정일, "초등학교 미술 5․6" (주)천재교육 2011

      8 "청소년행복지수 관련 사이트"

      9 김춘일, "창의․영재와 교육" 대구대학교출판부 2006

      10 공병호, "일본의 교내폭력․이지메 동향과 대책 시스템의 전개" 한국일본교육학회 3-9, 2012

      1 김성숙, "행복한 미술교육을 통한 창의성 교육 - 종이염색을 중심으로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32 : 145-163, 2012

      2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행복교과서" 월드김영사 2012

      3 "한국경비지도사동우회 사이트"

      4 노영자, "초등학교 미술 5․6" (주)교학사 2011

      5 김용식, "초등학교 미술 5․6" (주)금성출판사 2011

      6 이규선, "초등학교 미술 5․6" (주)천재교육 2011

      7 정일, "초등학교 미술 5․6" (주)천재교육 2011

      8 "청소년행복지수 관련 사이트"

      9 김춘일, "창의․영재와 교육" 대구대학교출판부 2006

      10 공병호, "일본의 교내폭력․이지메 동향과 대책 시스템의 전개" 한국일본교육학회 3-9, 2012

      11 문용린, "이제는 행복교육입니다, In ‘학교현장, 창의․인성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17-26, 2012

      12 김성숙, "생명사랑 미술교육을 통한 창의․인성교육, In ‘학교현장, 창의․인성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134-142, 2012

      13 김성숙, "생명력 회복을 위한 미술교육 -교수`학습 방법 연구: 일본 학교현장을 중심으로-" 한국예술교육학회 7 (7): 179-195, 2009

      14 김혜경, "미술과 교육과정과 창의성" (26) : 2012

      15 김정운, "노는 만큼 성공한다" 21세기 북스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5-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교육대학교 미술교육학회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영문명 : Art Education Society Of National Universities In Korea -> Korea Elementary Art Education Association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10-1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미술교육논총 -> 미술교육연구논총 KCI등재후보
      2005-10-1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미술교육논총 -> 미술교육연구논총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1 0.61 0.7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6 0.84 0.933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