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본인들의 K-뷰티 선호도에 관한 감성언어 분석 ― 일본인들이 이용하는 화장품 관련 SNS의 헤시테그(#) 키워드 번역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the emotional expressions on K-beauty by Japanese ―focusing on Hashtag(#) translations used in cosmetics related Social network site by Japanes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877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young Japanese peoples’ emotional expressions toward “K-beauty” culture. This was achieved by analyzing their emotional expressions regarding their preferences of Korean cosmetics, Hashtags(#) mentioned in related posts on Instagram. Japanese Hashtags, related to Korean cosmetics in young Japanese peoples’ Instagram posts, were extracted as related words and emotional keywords. Further they were translated and analyzed using “TF-IDF”. As a result, cute, “communication, tint, pink etc”. are appeared to be the expressions related to the perception of Korean cosmetics among young Japanese people. Moreover, It was observed that keywords related to price, purchase, color, and K-pop were used to describe “K-beauty” in the form of new compound words. Consequently, it was found that the Korean wave (Hallyu) cultural communication keywords towards regarding “K-beauty” preferred by young Japanese people on SNS’s were “petite, and cute”. This study focused on K-cosmetics, which is a new Korean wave that has recently drawn a lot of attention from young Japanese people. The emotional preferences of young Japanese people toward this new Korean wave were analyzed empirically, by reviewing their emotional expressions and communication keyword towards “K-beauty” on Instagram, through big data analytics.
      번역하기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young Japanese peoples’ emotional expressions toward “K-beauty” culture. This was achieved by analyzing their emotional expressions regarding their preferences of Korean cosmetics, Hashtags(#) m...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young Japanese peoples’ emotional expressions toward “K-beauty” culture. This was achieved by analyzing their emotional expressions regarding their preferences of Korean cosmetics, Hashtags(#) mentioned in related posts on Instagram. Japanese Hashtags, related to Korean cosmetics in young Japanese peoples’ Instagram posts, were extracted as related words and emotional keywords. Further they were translated and analyzed using “TF-IDF”. As a result, cute, “communication, tint, pink etc”. are appeared to be the expressions related to the perception of Korean cosmetics among young Japanese people. Moreover, It was observed that keywords related to price, purchase, color, and K-pop were used to describe “K-beauty” in the form of new compound words. Consequently, it was found that the Korean wave (Hallyu) cultural communication keywords towards regarding “K-beauty” preferred by young Japanese people on SNS’s were “petite, and cute”. This study focused on K-cosmetics, which is a new Korean wave that has recently drawn a lot of attention from young Japanese people. The emotional preferences of young Japanese people toward this new Korean wave were analyzed empirically, by reviewing their emotional expressions and communication keyword towards “K-beauty” on Instagram, through big data analytic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현겸, "화장품 인스타그램의 정보성, 유용성, 소비자태도, 구매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55) : 183-194, 2017

      2 고정민, "한류 콘텐츠의 경쟁원천에 대한 연구" 5 (5): 5-18, 2005

      3 유재웅, "한국의 국가이미지 연구 경향 - 200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12 (12): 300-326, 2010

      4 "한국 미인 기준"

      5 김해옥, "한국 대중가요 분석과 언어문화 교육을 위한 활용"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15 (15): 55-78, 2019

      6 한국경제, "트위터 제친 인스타그램…월간 사용자 3억명 돌파"

      7 연합뉴스, "트위터 제친 인스타그램…월간 사용자 3억명 돌파"

      8 박승리,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한 빅 데이터의 신뢰도 검증에 대한 연구" 한국경영정보학회 2017 (2017): 524-529, 2017

      9 강미, "지속가능 패션 브랜드 광고의 색채와 표현형식이 소비자의 감정과 인식에 미치는 영향- 인스타그램 중심으로-" 한국의류산업학회 21 (21): 432-451, 2019

      10 고길희, "일본의 '한류'와 '혐한류'로 본 한일관계- '다원화 내셔널리즘'을 모색하며 -" 한국일본근대학회 (17) : 77-92, 2007

      1 서현겸, "화장품 인스타그램의 정보성, 유용성, 소비자태도, 구매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55) : 183-194, 2017

      2 고정민, "한류 콘텐츠의 경쟁원천에 대한 연구" 5 (5): 5-18, 2005

      3 유재웅, "한국의 국가이미지 연구 경향 - 200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12 (12): 300-326, 2010

      4 "한국 미인 기준"

      5 김해옥, "한국 대중가요 분석과 언어문화 교육을 위한 활용"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15 (15): 55-78, 2019

      6 한국경제, "트위터 제친 인스타그램…월간 사용자 3억명 돌파"

      7 연합뉴스, "트위터 제친 인스타그램…월간 사용자 3억명 돌파"

      8 박승리,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한 빅 데이터의 신뢰도 검증에 대한 연구" 한국경영정보학회 2017 (2017): 524-529, 2017

      9 강미, "지속가능 패션 브랜드 광고의 색채와 표현형식이 소비자의 감정과 인식에 미치는 영향- 인스타그램 중심으로-" 한국의류산업학회 21 (21): 432-451, 2019

      10 고길희, "일본의 '한류'와 '혐한류'로 본 한일관계- '다원화 내셔널리즘'을 모색하며 -" 한국일본근대학회 (17) : 77-92, 2007

      11 "일본은 가와이이?!"

      12 "인스타바에 (インスタ映え)"

      13 조정식, "인스타그램을 활용한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전략 : 패션 브랜드를 중심으로" 한국 PR 학회 2019 (2019): 91-92, 2019

      14 정다혜, "인스타그램에서 해시태그와 이미지를 활용한 감정 분석 방법" 한국정보기술학회 2018 (2018): 302-304, 2018

      15 옥여원, "인스타그램(Instagram)에서 브랜드 화장품 정보 제공 유형에 따른 콘텐츠 정보 속성과 이용자의 태도 분석"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6 (16): 399-407, 2018

      16 남민지, "인스타그램 해시태그를 이용한 사용자 감정 분류 방법" 한국멀티미디어학회 18 (18): 1391-1399, 2015

      17 박민영, "인스타그램 해시태그(Hashtags) 분석을 통한 방문객들의 지오사이트 인식에 대한 분석" 한국지형학회 24 (24): 93-104, 2017

      18 박지현, "인스타그램 해시태그 기반의 전시관람 경험에 대한 반응 분석"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6 (26): 369-372, 2018

      19 오세정, "인스타그램 이용자의 인식 유형 연구" 한국주관성연구학회 (39) : 73-97, 2018

      20 임성연, "인스타그램 외식관련정보의 특성이 만족과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호텔리조트학회 18 (18): 241-260, 2019

      21 남민지, "인스타그램 기반 이미지와 텍스트를 활용한 사용자 감정정보 측정" 한국멀티미디어학회 17 (17): 1125-1133, 2014

      22 우수희, "인스타그램 IGTV 의 사용자 경험 연구 -패션·뷰티 콘텐츠 서비스를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7 (17): 405-411, 2019

      23 양승찬, "인스타그램 #막걸리 해시태그 분석" 한국 HCI 학회 2019 (2019): 817-821, 2010

      24 정다혜, "이미지와 해시태그를 이용한 인스타그램의 감정 분석 연구" 한국정보기술학회 17 (17): 123-131, 2019

      25 이언주, "융합적 관점에서의 접근한 뮤지엄 인스타그램 해시태그 분석에 대한 연구 : 루브르박물관과 퐁피두센터를 중심으로"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37 (37): 211-222, 2019

      26 서민송, "오피니언 마이닝 기법을 이용한 사회적 재난의 시민 감성도 분석" 대한공간정보학회 25 (25): 37-46, 2017

      27 "연합뉴스"

      28 "여성 | 요우커는 왜 한국화장품에 열광하는가?"

      29 윤창준, "신조어 의미 분석을 통한 80后 문화 양상 고찰" 인문학연구원 110 : 75-104, 2017

      30 장경현, "신조어 연어의 형성 원리" 인문학연구원 66 : 269-297, 2011

      31 안명숙, "신조어 ‘청소년 혐오’에 관한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 분석"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6 (16): 167-176, 2018

      32 김민수, "소셜빅데이터를 이용한 레저스포츠관광 트렌드 분석" 한국체육학회 58 (58): 259-270, 2019

      33 노희경, "소셜미디어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북한관광 인식 연구" 한국호텔관광학회 21 (21): 16-28, 2019

      34 노연우, "소셜 네트워크 환경에서 변형된 TF-IDF를 이용한 핫 토픽 예측 기법" 한국정보과학회 23 (23): 217-225, 2017

      35 정병국, "소비자의 감성어휘를 통한 아파트 브랜드이미지 평가 - 심볼마크에 대한 감성이미지 변화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15 (15): 273-286, 2017

      36 서봉군, "소비자 감성 기반 뷰티 경험 패턴 맵 개발: 화장품을 중심으로"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5 (25): 179-196, 2019

      37 남길임, "상품평 텍스트에 나타난 감성표현 연구: 감성분석과 국어학 연구의 접점" 언어과학회 (78) : 101-123, 2016

      38 김건아, "빅 데이터를 이용한 제품디자인의 감성반응 분석 - 스마트폰을 대상으로 -"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7 : 31-48, 2017

      39 조민선, "버티컬 SNS의 관심사 기반 계정과 놀이 공동체 - 인스타그램을 중심으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9 (9): 351-363, 2019

      40 이민행, "독일어 텍스트의 감성분석 연구" 한국독일언어문학회 (85) : 21-48, 2019

      41 "다큐 ‘한국 화장 변천사’, 옛 여인들은 어떻게 화장했을까?" 동아TV

      42 문효진, "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한류 인식과 한류콘텐츠 만족도 및 제품 선호도, 국가 호감도 관계 연구" 한국광고홍보학회 (100) : 142-171, 2014

      43 "日本女性の化粧、100年のスゴい進化"

      44 "化粧文化史の変遷と流行した化粧の受け入れ方についての研究"

      45 "「化粧は時代を映し出す」 ~時代とともに女性は変わる~"

      46 뉴스 1, "[다시보는 K뷰티⑦]이번엔 K팝 타고 전세계로…‘방탄소년단’ 후광효과"

      47 Liu, Bing, "Sentiment Analysis and Opinion Mining" 5 (5): 1-167, 2012

      48 김고은, "SNS 쇼핑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연구 -인스타그램을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7 (17): 407-413, 2019

      49 류은주, "K-Pop의 한류 지속을 위한 소셜 미디어 활용 방안에 대한 고찰 - 방탄소년단의 활동 패턴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문화융합학회 41 (41): 167-218,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3-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문화와 융합 -> 문화와융합 KCI등재
      2022-03-1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Culture and Convergence -> The Society of Korean Culture and Convergence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4-03-04 학회명변경 한글명 : 문학과언어학회 -> 한국문화융합학회
      영문명 : Munhak Kwa Eoneo Hakhoi -> The Korean Society of Culture and Convergence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