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대중음악축제의 기획에 관한 연구 : 주요 대중음악축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lanning of pop music festiva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8988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초기 단계인 '대중음악전문축제 기획'에 관한 연구이다. 대중음악축제는 지역예술축제로서의 역할 뿐만 아니라 국가의 음악산업 활성화에 일조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국내외 대중음악축제들의 현황과 운영사례 분석, 성공요인과 문제점 분석을 통하여 대중음악축제 기획의 바람직한 모델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둔다.
      본 논문의 구성으로 '해외 대중음악축제의 현황과 운영사례 분석' 부분에서는 각각 명확한 성격을 갖고 있는 후지록 페스티벌과 SXSW 페스티벌을 중심으로 축제 행사기획, 개최도시 환경, 운영조직, 재원조성, 프로그램, 무대구성, 홍보물, 운영전략을 제시하고 성공요인을 탐구하였다. '국내 대중음악축제의 현황과 운영사례 분석' 부분에서는 7개의 대중음악전문축제를 중심으로 축제 행사기획, 개최도시 환경, 운영조직, 재원조성, 프로그램, 무대구성을 분석하였다.
      결론 부분에서는 해외 대중음악축제의 성공요인과 운영전략을 요약, 정리하고 국내 대중음악축제의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외 대중음악축제 들의 현황과 운영사례 분석, 성공요인과 운영전략 분석, 문제점 분석을 통해서 '대중음악축제의 기획요소들'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초기 단계인 '대중음악전문축제 기획'에 관한 연구이다. 대중음악축제는 지역예술축제로서의 역할 뿐만 아니라 국가의 음악산업 활성화에 일조하는 역할도 할 수 ...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초기 단계인 '대중음악전문축제 기획'에 관한 연구이다. 대중음악축제는 지역예술축제로서의 역할 뿐만 아니라 국가의 음악산업 활성화에 일조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국내외 대중음악축제들의 현황과 운영사례 분석, 성공요인과 문제점 분석을 통하여 대중음악축제 기획의 바람직한 모델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둔다.
      본 논문의 구성으로 '해외 대중음악축제의 현황과 운영사례 분석' 부분에서는 각각 명확한 성격을 갖고 있는 후지록 페스티벌과 SXSW 페스티벌을 중심으로 축제 행사기획, 개최도시 환경, 운영조직, 재원조성, 프로그램, 무대구성, 홍보물, 운영전략을 제시하고 성공요인을 탐구하였다. '국내 대중음악축제의 현황과 운영사례 분석' 부분에서는 7개의 대중음악전문축제를 중심으로 축제 행사기획, 개최도시 환경, 운영조직, 재원조성, 프로그램, 무대구성을 분석하였다.
      결론 부분에서는 해외 대중음악축제의 성공요인과 운영전략을 요약, 정리하고 국내 대중음악축제의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외 대중음악축제 들의 현황과 운영사례 분석, 성공요인과 운영전략 분석, 문제점 분석을 통해서 '대중음악축제의 기획요소들'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bout 'the planning of pop music festival' which is at the beginning stage in Korea. The pop music festival can contribute to vitalize nation's music industry as well as plays a roll as a local art festival. Also the goal of this study is presenting the desirable model of the planning of pop music festival through the status and operation case analysis, success factors and problems analysis of domestic and overseas pop music festivals.
      'The status and operation case analysis of overseas pop music festival ' in the main subject of this study researched the overview of festival, environment of the city holding the festival, operation body, financing, program, stage design, advertisements, operation strategy with Fuji Rock Festival and SXSW Festival. Success factors are reviewed from here. 'The status and operation case analysis of domestic pop music festival' also analyzed the overview of festivals, environment of the cities holding festivals, operation body, financing, program, stage design with seven pop music festivals.
      Finally, the conclusion part summarizes success factors and operation strategy of overseas pop music festivals and presents fundamental problems of domestic pop music festivals. Also 'planning factors of pop music festivals' are extracted from the consideration of the status and operation case analysis, success factors and operation strategy analysis, and problems analysis of domestic and overseas pop music festivals.
      번역하기

      This study is about 'the planning of pop music festival' which is at the beginning stage in Korea. The pop music festival can contribute to vitalize nation's music industry as well as plays a roll as a local art festival. Also the goal of this study i...

      This study is about 'the planning of pop music festival' which is at the beginning stage in Korea. The pop music festival can contribute to vitalize nation's music industry as well as plays a roll as a local art festival. Also the goal of this study is presenting the desirable model of the planning of pop music festival through the status and operation case analysis, success factors and problems analysis of domestic and overseas pop music festivals.
      'The status and operation case analysis of overseas pop music festival ' in the main subject of this study researched the overview of festival, environment of the city holding the festival, operation body, financing, program, stage design, advertisements, operation strategy with Fuji Rock Festival and SXSW Festival. Success factors are reviewed from here. 'The status and operation case analysis of domestic pop music festival' also analyzed the overview of festivals, environment of the cities holding festivals, operation body, financing, program, stage design with seven pop music festivals.
      Finally, the conclusion part summarizes success factors and operation strategy of overseas pop music festivals and presents fundamental problems of domestic pop music festivals. Also 'planning factors of pop music festivals' are extracted from the consideration of the status and operation case analysis, success factors and operation strategy analysis, and problems analysis of domestic and overseas pop music festival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 목차 = ⅱ
      • Ⅰ. 서론 = 1
      • 1. 연구의 배경 = 1
      • 2. 대중음악축제와 관련된 기존의 연구 = 3
      • 국문초록 = ⅰ
      • 목차 = ⅱ
      • Ⅰ. 서론 = 1
      • 1. 연구의 배경 = 1
      • 2. 대중음악축제와 관련된 기존의 연구 = 3
      • 3. 연구 대상 및 방법 = 5
      • 1) 해외 대중음악축제 현황과 운영사례 분석, 성공요인 고찰 = 5
      • 2) 국내 대중음악축제 현황과 운영사례 분석, 문제점 고찰 = 6
      • 3) 광명음악밸리축제 운영사례 검토 = 7
      • Ⅱ. 대중음악축제의 유형과 역할 = 8
      • 1. 대중음악축제의 유형 = 8
      • 1) 록(Rock) 음악 축제 = 9
      • 2) 블루스(Blues) 음악 축제 = 9
      • 3) 재즈(Jazz) 음악 축제 = 10
      • 4) 포크(Folk) 음악 축제 = 10
      • 5) 컨트리(Countury) 음악 축제 = 11
      • 6) 팝(Pop) 음악 축제 = 11
      • 7) 댄스 & 일레트로닉(Dance & Electronic) 음악 축제 = 12
      • 8) 힙합(HipHop) 음악 축제 = 12
      • 9) 레게(Reggae) 음악 축제 = 13
      • 10) 크로스-장르(Cross-Genre) 음악 축제 = 13
      • 2. 대중음악축제의 기능과 역할 = 14
      • Ⅲ. 해외 대중음악축제의 현황과 운영사례 분석 = 19
      • 1. 해외 대중음악축제의 현황 = 19
      • 2. 후지록 페스티벌과 SXSW 페스티벌의 운영사례 분석 = 22
      • 1) 사례분석 대상 축제의 선정이유 = 22
      • 2) 축제 행사기획 분석 = 23
      • 3) 축제 개최도시 환경 분석 = 28
      • 4) 축제 운영조직 분석 = 32
      • 5) 축제 재원조성 분석 = 35
      • 6) 축제 프로그램 분석 = 40
      • 7) 축제 무대구성 분석 = 47
      • 8) 축제 홍보물 분석 = 50
      • 9) 축제 운영전략 분석 = 51
      • 3. 후지록 페티벌과 SXSW 페스티벌의 성공요인과 시사점 = 58
      • Ⅳ. 국내 대중음악축제의 현황과 운영사례 분석 - 광명음악밸리축제를 중심으로 - = 62
      • 1. 사례분석 대상 축제의 선정이유 = 62
      • 2. 국내 대중음악축제의 운영사례 분석 = 63
      • 1) 축제 행사기획 분석 = 63
      • 2) 축제 개최도시 환경 분석 = 68
      • 3) 축제 운영조직 분석 = 69
      • 4) 축제 재원조성 분석 = 70
      • 5) 축제 프로그램 분석 = 73
      • 6) 축제 무대구성 분석 = 75
      • 3. 국내외 대중음악축제 현황 비교를 통한 시사점 도출 = 77
      • 4. 광명음악밸리축제 운영사례 검토 = 81
      • 1) 광명시의 음악도시 정책에 따른 대중음악축제 기획 = 81
      • 2) 대중음악전문축제 = 82
      • 3) 음악창작자와 음악마니아 중심의 프로그램 기획 = 83
      • Ⅴ. 대중음악축제의 기획요소 = 89
      • 1. 행사기획 = 90
      • 2. 프로그램 = 93
      • 3. 무대구성 = 95
      • 4. 운영조직 = 96
      • 5. 운영전략 = 97
      • 6. 재원조성 = 97
      • 7. 홍보물 = 98
      • 8. 개최도시 환경 = 99
      • Ⅵ. 결론 및 제언 = 101
      • 참고문헌 = 106
      • ABSTRACT = 111
      • 부록 = 113
      • 1. 해외 대중음악축제 소개 = 1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