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신체활동 기반 긍정 심리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678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신체활동 기반 긍정 심리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 참여자는 대학생 54명(남자 25명, 여자 29명)을 대상으로 구성되었다. 신...

      본 연구의 목적은 신체활동 기반 긍정 심리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 참여자는 대학생 54명(남자 25명, 여자 29명)을 대상으로 구성되었다. 신체활동 기반 긍정 심리 프로그램은 선행연구, 전문가 의견, 학생 의견 등을 종합하여 구성되었다. 총 7회기의 신체활동 기반 긍정 심리 프로그램 내용은 오리엔테이션, 신체활동+강점파악하기, 신체활동+강점인식/개발하기, 신체활동+감사하기, 신체활동+용서하기, 신체활동+자기개발하기, 신체활동+실천계획수립/종결이다. 본 프로그램은 주 1회 60분씩 약 2개월 간 적용되었으며, 각 회기별로 30분의 신체활동을 시행한 뒤 30분의 긍정 심리 프로그램을 적용시켰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활동 기반 긍정 심리 프로그램은 대학생의 정신건강 수준을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체활동 기반 긍정 심리 프로그램은 대학생의 신체화, 강박증, 우울, 적대감 및 공포불안 수준을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체활동 기반 긍정 심리 프로그램은 대학생의 대인예민증, 불안, 편집증 및 정신증 수준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한 영향은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physical activity-based positive psychology program on the mental health of university students. The physical activity-based positive psychology program was composed by synthesizing previous stu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physical activity-based positive psychology program on the mental health of university students. The physical activity-based positive psychology program was composed by synthesizing previous studies, expert opinions, and student opinions. A total of seven sessions of the physical activity-based positive psychology program included orientation, understanding physical activity + strength, recognizing/developing physical activity + strength, appreciating physical activity + gratitude, forgiving physical activity + self-development, and establishing/closing physical activity + action plan. This program was applied for 60 minutes once a week for about 2 months, and after 30 minutes of physical activity for each session, a 30-minute positive psychology programl was applied. First, the positive psychology program based on physical activity significantly reduced the mental health leve of university students. Second, the physical activity-based positive psychology program significantly reduced the level of somatization(SOM), obsessive-compulsive(O-Q), depression(DEP), hostility(HOS), and phobic anxiety(PHOB) of university students. Third, the physical activity-based positive psychology program was found to reduce the level of interpersonal sensitivity(I-S), anxiety(ANX), prnoid ideation(PAR), and psychoticism(PSY) of university students, but it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논의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논의
      • Ⅴ.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요약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