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현대 중국의 의료 제도 엿보기 : 영화 『나는 약신이 아니다(我不是藥神)』를 중심으로 = A preliminary exploration of modern Chinese medical system: A study on the film <Dying to survive(我不是藥神)>*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143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18년 7월 18일 중국에서 개봉한 나는 약신이 아니다(我不是藥神)는 만성골수성백혈병(Chronic Myelogenous Leukemia, CML) 치료제인 글리벡(Glivec)을 매개로 벌어지는 백혈병 환자들의 애환을 다룬 영화이다. 이 영화는 백혈병 환자였던 ‘루용(陸勇)’이 글리벡의 인도산 복제약을 중국에 불법으로 들여와 환자들에게 공급하다 2013년 8월 체포되었던 실제 사건을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원무예(文牧野) 감독은 ‘루용’ 사건을 토대로 영화 속에서 다국적 제약회사의 항암치료제 독점 생산, 인도산 복제약의 유통, 질병과 빈곤의 악순환 등 다양한 중국의 의료 문제를 폭로하였다. 무엇보다 이 영화는 글로벌 제약회사의 환자 생명권을 담보로 한 지적재산권 행사 문제 및 중국 의료보험제도의 모순을 고발하고 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본고는 이 영화를 통해 의료와 관련된 두 가지 측면을 중점적으로 검토하였다. 첫째, 다국적 제약회사의 의료 시장 독점과 환자의 ‘생명권’ 보장이라는 문제를 검토하였다. 스위스의 다국적 제약회사인 노바티스사(Novartis)가 개발한 글리벡은 인류 최초의 표적 항암제로서 백혈병 환자들에게 생명의 희망을 안겨 주었지만, 천문학적인 약값으로 인해 환자들에게 ‘절망의 약’으로 불리게 되었다. 이와 같은 다국적 제약회사의 횡포에 대항하여, 중국에서는 루용으로 대표되는 백혈병 환우 집단이 자신들의 생명권을 수호하기 위해 인도산 복제약을 수입하여 비밀리에 유통시키는 불법적인 행동을 전개하였다. 이 사건을 계기로 중국 정부는 21세기 생명정치의 변동 속에서 환자의 생명권과 제약회사의 경제적 이익을 어떻게 양립시킬 것인가라는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다. 둘째, 권력의 병리학과 관련된 의료의 불평등 문제이다. 중국 의료보험제도의 계층적⋅지역적 불평등과 수입 항암제에 대한 높은 관세로 인해 환자들은 질병에 걸리면 높은 약값과 치료비를 충당하기 위해 경제적 빈곤에 허덕이고, 또한 경제적으로 어려운 사람들이 의료적으로 소외되어 더욱 쉽게 질병에 걸리는 악순환이 반복되었다. 루용 사건을 계기로 중국 정부는 의료보험의 보장성 확대, 수입 항암제에 대한 규제 완화, 복제약의 생산 증대 등 다양한 측면에서 의료제도의 개선을 위해 노력하였다. 그러나 중국 정부는 의약품에 대한 연구 개발 투자 확대, 제약회사의 이익 규제, 환자집단의 자율성 보장 등 측면에서 여전히 많은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역설적으로 사회주의 체제하에서 자본에 의해 독점되는 의료 시장과 질서가 ‘약신’을 필연적으로 만들어 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국가 권력이 의료의 불평등 문제 해결과 의약품의 공공성 확대를 위해 어떠한 노력을 전개해야 할 것인가라는 해답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2018년 7월 18일 중국에서 개봉한 나는 약신이 아니다(我不是藥神)는 만성골수성백혈병(Chronic Myelogenous Leukemia, CML) 치료제인 글리벡(Glivec)을 매개로 벌어지는 백혈병 환자들의 애환을 다룬 영...

      2018년 7월 18일 중국에서 개봉한 나는 약신이 아니다(我不是藥神)는 만성골수성백혈병(Chronic Myelogenous Leukemia, CML) 치료제인 글리벡(Glivec)을 매개로 벌어지는 백혈병 환자들의 애환을 다룬 영화이다. 이 영화는 백혈병 환자였던 ‘루용(陸勇)’이 글리벡의 인도산 복제약을 중국에 불법으로 들여와 환자들에게 공급하다 2013년 8월 체포되었던 실제 사건을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원무예(文牧野) 감독은 ‘루용’ 사건을 토대로 영화 속에서 다국적 제약회사의 항암치료제 독점 생산, 인도산 복제약의 유통, 질병과 빈곤의 악순환 등 다양한 중국의 의료 문제를 폭로하였다. 무엇보다 이 영화는 글로벌 제약회사의 환자 생명권을 담보로 한 지적재산권 행사 문제 및 중국 의료보험제도의 모순을 고발하고 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본고는 이 영화를 통해 의료와 관련된 두 가지 측면을 중점적으로 검토하였다. 첫째, 다국적 제약회사의 의료 시장 독점과 환자의 ‘생명권’ 보장이라는 문제를 검토하였다. 스위스의 다국적 제약회사인 노바티스사(Novartis)가 개발한 글리벡은 인류 최초의 표적 항암제로서 백혈병 환자들에게 생명의 희망을 안겨 주었지만, 천문학적인 약값으로 인해 환자들에게 ‘절망의 약’으로 불리게 되었다. 이와 같은 다국적 제약회사의 횡포에 대항하여, 중국에서는 루용으로 대표되는 백혈병 환우 집단이 자신들의 생명권을 수호하기 위해 인도산 복제약을 수입하여 비밀리에 유통시키는 불법적인 행동을 전개하였다. 이 사건을 계기로 중국 정부는 21세기 생명정치의 변동 속에서 환자의 생명권과 제약회사의 경제적 이익을 어떻게 양립시킬 것인가라는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다. 둘째, 권력의 병리학과 관련된 의료의 불평등 문제이다. 중국 의료보험제도의 계층적⋅지역적 불평등과 수입 항암제에 대한 높은 관세로 인해 환자들은 질병에 걸리면 높은 약값과 치료비를 충당하기 위해 경제적 빈곤에 허덕이고, 또한 경제적으로 어려운 사람들이 의료적으로 소외되어 더욱 쉽게 질병에 걸리는 악순환이 반복되었다. 루용 사건을 계기로 중국 정부는 의료보험의 보장성 확대, 수입 항암제에 대한 규제 완화, 복제약의 생산 증대 등 다양한 측면에서 의료제도의 개선을 위해 노력하였다. 그러나 중국 정부는 의약품에 대한 연구 개발 투자 확대, 제약회사의 이익 규제, 환자집단의 자율성 보장 등 측면에서 여전히 많은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역설적으로 사회주의 체제하에서 자본에 의해 독점되는 의료 시장과 질서가 ‘약신’을 필연적으로 만들어 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국가 권력이 의료의 불평등 문제 해결과 의약품의 공공성 확대를 위해 어떠한 노력을 전개해야 할 것인가라는 해답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ying to survive(我不是藥神)” released in China on July 18, 2018. This movie tells the sorrow and pain of chronic myeloid leukemia(CML) patients who use an expensive anticancer drug called Glivec. The film is made on the basis of actual events, that is, the real protagonist “Lu Yong(陆勇)” of the film is unable to pay for the expensive medicine because he suffers from leukemia. Since 2004, he has imported generic drugs produced in India and illegally circulated them to patients. He supplied India-made generic drugs to patients at the original price, but was arrested by the police in August 2013 for the crime of selling counterfeit drugs. Based on the “Lu Yong” incident, director Wen Muye(文牧野) exposed various Chinese medical problems in the film such as the exclusive production and sales of anti-cancer therapeutics by multinational pharmaceutical companies, the circulation of illegal generic drugs, the vicious circle of disease and poverty. Most importantly, this film exposes the conflicts between the pursuit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secured by multinational pharmaceutical companies and the Chinese medical insurance system. This article focuses on two issues through this film. First, this article analyzes the monopoly of the medical market by multinational pharmaceutical companies and the protection of patients “right to life”. Glivec, developed by Novartis of Switzerland, is the first new anti-cancer drug that targets the tumorigenesis mechanism in humans, it brings hope of life to leukemia patients. However, due to the excessively expensive drug fees, it is called by the patients “The Medicine of Despair”. Facing the rampant dominance of multinational pharmaceutical companies, China s leukemia patient group represented by “Lu Yong” imported Indian-made generic drugs for secret circulation in order to protect their right to life. After Lu Yong was arrested by the Procuratorate, the leukemia patient requested the Chinese government to release Lu Yong and exposed the difficult situation of the leukemia patient to the media. In this 21st century biopolitical change, the Chinese government is faced with the problem of how to balance the patient’s right to life with the economic interests of pharmaceutical companies. Second, this article explores the issue of medical inequality. Due to the inequality of China’s medical insurance system and the high tariffs on imported anti-cancer agents, leukemia patients become poor in order to pay high drug and treatment fees after suffering from the disease, and it is difficult for people with financial difficulties to enjoy medical services. So it is more likely to suffer from the vicious circle of disease recurring. After the “Lu Yong” case, the Chinese government has improved the medical security system in a number of ways, including expanding the coverage of medical insurance, relaxing restrictions on imported anticancer agents, and increasing the production of cloned drugs. However, the Chinese government still needs to solve many problems in terms of investment in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pharmaceuticals, control of the interests of pharmaceutical companies, and protection of activeness and behaviorality of the patient. Paradoxically, if one considers that the medical market and order monopolized by capital under the socialist system will inevitably create a “medicine god(藥神)”, the state power should do its utmost to solve the problem of medical inequality and expand the publicness of pharmaceutical products.
      번역하기

      “Dying to survive(我不是藥神)” released in China on July 18, 2018. This movie tells the sorrow and pain of chronic myeloid leukemia(CML) patients who use an expensive anticancer drug called Glivec. The film is made on the basis of actual even...

      “Dying to survive(我不是藥神)” released in China on July 18, 2018. This movie tells the sorrow and pain of chronic myeloid leukemia(CML) patients who use an expensive anticancer drug called Glivec. The film is made on the basis of actual events, that is, the real protagonist “Lu Yong(陆勇)” of the film is unable to pay for the expensive medicine because he suffers from leukemia. Since 2004, he has imported generic drugs produced in India and illegally circulated them to patients. He supplied India-made generic drugs to patients at the original price, but was arrested by the police in August 2013 for the crime of selling counterfeit drugs. Based on the “Lu Yong” incident, director Wen Muye(文牧野) exposed various Chinese medical problems in the film such as the exclusive production and sales of anti-cancer therapeutics by multinational pharmaceutical companies, the circulation of illegal generic drugs, the vicious circle of disease and poverty. Most importantly, this film exposes the conflicts between the pursuit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secured by multinational pharmaceutical companies and the Chinese medical insurance system. This article focuses on two issues through this film. First, this article analyzes the monopoly of the medical market by multinational pharmaceutical companies and the protection of patients “right to life”. Glivec, developed by Novartis of Switzerland, is the first new anti-cancer drug that targets the tumorigenesis mechanism in humans, it brings hope of life to leukemia patients. However, due to the excessively expensive drug fees, it is called by the patients “The Medicine of Despair”. Facing the rampant dominance of multinational pharmaceutical companies, China s leukemia patient group represented by “Lu Yong” imported Indian-made generic drugs for secret circulation in order to protect their right to life. After Lu Yong was arrested by the Procuratorate, the leukemia patient requested the Chinese government to release Lu Yong and exposed the difficult situation of the leukemia patient to the media. In this 21st century biopolitical change, the Chinese government is faced with the problem of how to balance the patient’s right to life with the economic interests of pharmaceutical companies. Second, this article explores the issue of medical inequality. Due to the inequality of China’s medical insurance system and the high tariffs on imported anti-cancer agents, leukemia patients become poor in order to pay high drug and treatment fees after suffering from the disease, and it is difficult for people with financial difficulties to enjoy medical services. So it is more likely to suffer from the vicious circle of disease recurring. After the “Lu Yong” case, the Chinese government has improved the medical security system in a number of ways, including expanding the coverage of medical insurance, relaxing restrictions on imported anticancer agents, and increasing the production of cloned drugs. However, the Chinese government still needs to solve many problems in terms of investment in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pharmaceuticals, control of the interests of pharmaceutical companies, and protection of activeness and behaviorality of the patient. Paradoxically, if one considers that the medical market and order monopolized by capital under the socialist system will inevitably create a “medicine god(藥神)”, the state power should do its utmost to solve the problem of medical inequality and expand the publicness of pharmaceutical produc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Ⅱ. 글리벡의 지적재산권과 환자의 생명권 Ⅲ. 영화의 현실적 모티브: ‘루용(陸勇)’ 사건 Ⅳ. 권력의 병리학: 질병과 국가 권력 Ⅴ. 맺음말
      • Ⅰ. 머리말 Ⅱ. 글리벡의 지적재산권과 환자의 생명권 Ⅲ. 영화의 현실적 모티브: ‘루용(陸勇)’ 사건 Ⅳ. 권력의 병리학: 질병과 국가 권력 Ⅴ. 맺음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공상철, "코끼리에게 말을 거는 법" 돌베개 2020

      2 이유정, "중국 의료보험 제도의 개혁과 특징" 중국인문사회연구소 13 (13): 63-90, 2019

      3 소준섭, "중국 법률전통에서의 ‘인정(人情)’의 요소와 그 현재적 계승" 아태지역연구센터 36 (36): 83-105, 2012

      4 "조선일보"

      5 Sen, Amartya, "자유로서의 발전" 갈라파고스 2013

      6 김일규, "인도 대법원의 글리벡 특허소송 최종 판결 및 인도 특허법의 WTO TRIPS 협정과의 합치성에 대한 고찰" 한국지식재산연구원 9 (9): 45-83, 2014

      7 "의협신문"

      8 이화진, "영화 『나는 약신이 아니다(我不是藥神)』의 중국 사회 재현 양상" 한국중어중문학회 (83) : 137-158, 2021

      9 "약사공론"

      10 김준기, "문화대혁명 시기 기층 의료 현장의 국가-사회관계 : 베이징(北京)교구농촌의 ‘맨발의 의사(赤脚醫生)’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0

      1 공상철, "코끼리에게 말을 거는 법" 돌베개 2020

      2 이유정, "중국 의료보험 제도의 개혁과 특징" 중국인문사회연구소 13 (13): 63-90, 2019

      3 소준섭, "중국 법률전통에서의 ‘인정(人情)’의 요소와 그 현재적 계승" 아태지역연구센터 36 (36): 83-105, 2012

      4 "조선일보"

      5 Sen, Amartya, "자유로서의 발전" 갈라파고스 2013

      6 김일규, "인도 대법원의 글리벡 특허소송 최종 판결 및 인도 특허법의 WTO TRIPS 협정과의 합치성에 대한 고찰" 한국지식재산연구원 9 (9): 45-83, 2014

      7 "의협신문"

      8 이화진, "영화 『나는 약신이 아니다(我不是藥神)』의 중국 사회 재현 양상" 한국중어중문학회 (83) : 137-158, 2021

      9 "약사공론"

      10 김준기, "문화대혁명 시기 기층 의료 현장의 국가-사회관계 : 베이징(北京)교구농촌의 ‘맨발의 의사(赤脚醫生)’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0

      11 정송희, "만성골수성백혈병 환자의 약물복용 이행과 관련 요인"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2015

      12 김윤아, "만성골수성백혈병 환자 온라인 자조집단 발전과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13 김대영, "만성골수성백혈병 한국 치료 가이드라인-대한혈액학회" 대한내과학회 88 (88): 406-419, 2015

      14 박혜경, "만성골수성백혈병 치료제의 비용-효과분석"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0

      15 고윤실, "드라마를 보다 중국을 읽다" 나름북스 2020

      16 김강태, "독점적 지적 재산권 가치 극대화를 위한 가격정책과 시장진입 전략 : 다국적 제약회사 노바티스의 글리벡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국제경영대학원 2007

      17 이수연, "다국적 제약자본의 지적재산권 보호 對 국민 건강권 보장간의 갈등"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3) : 139-167, 2004

      18 "나는 약신이 아니다(我不是藥神)"

      19 정창록, "글리벡 급여정지를 둘러싼 찬반논쟁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의료윤리학회 20 (20): 257-275, 2017

      20 이유정, "권위주의체제와 정당성 - 중국의 정치체제와 의료보험개혁" 한중관계연구원 7 (7): 33-56, 2021

      21 Farmer, Paul, "권력의 병리학" 후마니타스 2009

      22 보건복지부, "국가암등록사업연례보고서(2018년 암등록통계)" 보건복지부 2021

      23 "경향신문"

      24 이성기, "개혁개방 이후 중국 의료보험 개혁의 과정과 과제" 사회과학연구소 29 (29): 19-41, 2013

      25 張吟豐⋅文靜, "陸勇案:“我不是藥神”" 27 : 2019

      26 張磊, "誰才是真正的藥神"

      27 任婷, "總理批示≪我不是藥神≫及背後的抗癌藥物市場邏輯" (24) : 2018

      28 "經濟觀察報"

      29 于文, "生育與國家: 1950年代中國婦嬰衛生運動中的政治、科學與性別" 復旦大學 2008

      30 饒曙光, "現實底色與類型策略: 評『我不是藥神』" 2018

      31 劉春傑, "格列衛無效案中的證據應用思考" 15 (15): 2018

      32 陳蘇寧, "擴大醫保報銷對慢性髓性白血病治療的影響: 一項基於真實世界數據的衛生經濟研究" 2017

      33 戴國琳, "我國抗癌藥價格高昂的原因及相關措施研究" 34 (34): 2020

      34 楊悅, "我不是藥神: 過去的故事, 未來的思考" (8) : 2018

      35 劉藩, "我不是藥神: 社會英雄類型片的中國經驗" 2018

      36 李瑤, "國產仿制藥的尷尬現狀: 還沒到患者手中就倒在了醫院門口"

      37 "中國科學報"

      38 강양구, "21세기 생명정치와 시민권의 변동: 글리벡 정체성의 탄생" 비판사회학회 (97) : 39-64, 2013

      39 유연실, "1950년대 초기 中華人民共和國의 무통분만 담론" 호남사학회 (74) : 155-190, 2019

      40 유연실, "1950년대 중국의 파블로프 학설 수용과 의료 체계의 변화: 보호성(保護性) 의료 제도의 확립을 중심으로" 대한의사학회 29 (29): 613-672, 202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