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전위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인지적 재평가에 의한 적대적 귀인편향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582854
2025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01-221(2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전위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인지적 재평가에 의한 적대적 귀인편향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전위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인지적 재평가에 의한 적대적 귀인편향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대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응답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26.0과 SPSS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전위공격성 간의 관계에서 적대적 귀인편향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둘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적대적 귀인편향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인지적 재평가의 조절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적대적 귀인편향이 전위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인지적 재평가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했다. 즉, 인지적 재평가의 수준이 높을수록 적대적 귀인편향의 매개효과가 감소하였다. 본 연구는 해당 변인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이해를 넓히고, 나아가 부모의 심리적 통제로 인한 전위공격성을 완화할 수 있는 개입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근거자료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hostile attribution bias by cognitive reappraisal in the process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affecting displaced aggression. Data were collected from 400 ...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hostile attribution bias by cognitive reappraisal in the process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affecting displaced aggression. Data were collected from 400 college students and analyzed by SPSS 26.0 and SPSS PROCESS Macro.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mediating effect of hostile attribution bias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displaced aggression.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cognitive reappraisal was significant in the process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ffecting hostile attribution bias. Thir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reappraisal was significant in the process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hostile attribution bias affecting displaced aggression.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level of cognitive reappraisal, the lower the mediating effect of hostile attribution bia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expanded understanding by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and provided supporting data to prepare intervention measures to alleviate displaced aggression caused by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2030세대 근로자들의 추구가치확인이상태분노에 미치는 영향: 내면화된 수치심이 높은 집단을 중심으로
대학생의 기본심리욕구가 비자살적 자해에 미치는 영향: 일상적 스트레스와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기업상담자의 공공기관 EAP 센터장 역할수행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절충모형을 중심으로-
방어적 자기애와 공허감의 관계: 자기노출 방식으로 조절된 자기위로능력의 매개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