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도시와 농어촌 지역 초등학생 학부모들이 음악교육에 대해 갖는 태도와 교육지원행위의 차이점을 파악하고, 공교육과 사교육의 차이를 중심으로 음악교육 지원에 긍정적 영향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도시와 농어촌 지역 초등학생 학부모들이 음악교육에 대해 갖는 태도와 교육지원행위의 차이점을 파악하고, 공교육과 사교육의 차이를 중심으로 음악교육 지원에 긍정적 영향을 ...
본 연구는 도시와 농어촌 지역 초등학생 학부모들이 음악교육에 대해 갖는 태도와 교육지원행위의 차이점을 파악하고, 공교육과 사교육의 차이를 중심으로 음악교육 지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학부모 172명을 대상으로 학부모의 음악교육에 대한 태도 및 교육지원행위의 차이점을 양적 연구 도구를 사용하여 분석하고, 음악 교육지원을 위한 긍정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6명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지역에 따라 음악 사교육 및 공교육에 비용을 지불하는 학부모 비율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학교 음악교육에 대한 만족도’, ‘연간 음악 공연 관람 횟수’, ‘교내외 음악 활동 개수’에서 두 지역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학부모들은 저렴한 비용, 꾸준함, 즐기는 분위기가 공교육의 긍정요인이라고 생각하는 반면, 효율성과 효과성을 사교육의 긍정요인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differences in parental attitudes and involvement in music education in urban and rural elementary schools, and to explore factors that have a positive impact on music education support, focusing on differences between publ...
This study aims to identify differences in parental attitudes and involvement in music education in urban and rural elementary schools, and to explore factors that have a positive impact on music education support, focusing on differences between public and private music education. Results from a survey of 172 parents were analyzed by quantitative research tools to identify differences in parents' attitudes toward music education and parental involvement.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6 parents to find out positive factors for music education support.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atio of parents who pay for private education and public education between two area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regions in ‘satisfaction with school music education’, ‘the number of concerts attendance per a year’ and ‘the number of music activities inside and outside of school.’ Third, parents think of low cost, consistency, and enjoying atmosphere as positive factors for public education, whil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as positive factors for private education.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창동, "한국의 편집증적 교육열과신분 욕망에 대한 사회사적 고찰" 안암교육학회 14 (14): 5-32, 2008
2 오욱환, "한국사회의 교육열에 대한 고유 이론 모형의 탐색" 37 (37): 1-28, 1999
3 최샛별, "한국사회에서의 문화자본의 체화 과정에 관한 연구 : 서양고전음악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가족학회 14 (14): 5-5, 2002
4 김경근, "한국사회 교육격차의 실태 및 결정요인" 한국교육사회학회 15 (15): 1-27, 2005
5 이종각, "한국 학부모 교육열의 정책적 시사점과 새 연구 방향의 탐색" 한국교육개발원 40 (40): 121-153, 2013
6 민은기, "한국 청소년의 음악교육 실태" 서양음악연구소 2000
7 김경희, "한 자녀 가정의 자녀교육 지원행위와 학업 성취도와의 관계" 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 1997
8 맹지영, "학원음악교육에 대한 아동 및 학부모의 요구분석 : 분당 신도시를 중심으로" 梨花女子大學校 社會福祉大學院 1996
9 정슬기, "학원 끝나고 밤 10시 농구교실로... 대치동은 지금 ‘체육학원 열풍’"
10 권슬기, "학생이 지각하는 음악학습에 대한 부모의 학습관여와 음악적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예술교육학회 19 (19): 183-198, 2021
1 강창동, "한국의 편집증적 교육열과신분 욕망에 대한 사회사적 고찰" 안암교육학회 14 (14): 5-32, 2008
2 오욱환, "한국사회의 교육열에 대한 고유 이론 모형의 탐색" 37 (37): 1-28, 1999
3 최샛별, "한국사회에서의 문화자본의 체화 과정에 관한 연구 : 서양고전음악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가족학회 14 (14): 5-5, 2002
4 김경근, "한국사회 교육격차의 실태 및 결정요인" 한국교육사회학회 15 (15): 1-27, 2005
5 이종각, "한국 학부모 교육열의 정책적 시사점과 새 연구 방향의 탐색" 한국교육개발원 40 (40): 121-153, 2013
6 민은기, "한국 청소년의 음악교육 실태" 서양음악연구소 2000
7 김경희, "한 자녀 가정의 자녀교육 지원행위와 학업 성취도와의 관계" 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 1997
8 맹지영, "학원음악교육에 대한 아동 및 학부모의 요구분석 : 분당 신도시를 중심으로" 梨花女子大學校 社會福祉大學院 1996
9 정슬기, "학원 끝나고 밤 10시 농구교실로... 대치동은 지금 ‘체육학원 열풍’"
10 권슬기, "학생이 지각하는 음악학습에 대한 부모의 학습관여와 음악적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예술교육학회 19 (19): 183-198, 2021
11 최홍규, "학부모의 교육지원행위와 아동인식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延世大學校 管理科學大學院 1999
12 이두휴, "학부모 문화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7
13 김경근 ; 변수용, "평준화제도에 대한 학부모의 태도 결정요인 분석: 서울시 강남과 강북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14 (14): 81-100, 2004
14 한국교육개발원, "통계로 본 초·중등 교육재정과 사교육비" 한국교육개발원 2011
15 박성현, "치솟는 사교육비 무너진 공교육"
16 구양은, "초등학생들의 음악 사교육 실태조사 : 경기도 죽전구 소재 학부모 대상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7 이윤영 ; 최호성, "초등학생 어머니들의 자녀 영어교육에 대한 인식과 경험" 교과교육연구소 13 (13): 343-368, 2009
18 심미옥, "초등학교 학부모의 자녀 교육지원활동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교육학회 16 (16): 333-358, 2003
19 박대권 ; 남석희 ; 박창범, "초등학교 학부모들의 학교체육에 대한 인식" 한국체육학회 45 (45): 53-62, 2006
20 유지선, "초등학교 음악 사교육 실태 조사 및 경감 방안 탐색" 한국문화예술교육학회 (19) : 33-53, 2022
21 박영예, "초등자녀 영어교육에 대한 취업 학부모 면담에서 나타난 인식 및 태도" 교육연구원 39 (39): 83-105, 2019
22 박송이, "초등음악수업에서 학생이 지각한 교사지지, 자기효능감, 음악학습동기의 관계" 한국음악교육학회 51 (51): 47-74, 2022
23 조현희 ; 최미영, "초등 예비교사의 영어-음악 교과 통합에 대한 인식" 초등교육연구소 39 (39): 83-104, 2023
24 황성희, "중산층 학부모의 학교교육 인식과 사교육 선택" 2 (2): 93-117, 2015
25 이민경, "중산층 어머니들의 자녀교육 담론: 자녀교육 지원태도에 대한 의미 분석" 한국교육사회학회 17 (17): 159-181, 2007
26 김향숙, "음악적성 및 음악흥미와 정서지능과의 관련성 연구" 3 (3): 50-71, 2001
27 한송이, "음악 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부모의 지원활동 및 특성 분석" 한국교육과정학회 30 (30): 377-401, 2012
28 신명호, "왜 잘사는 집 아이들이 공부를 더 잘하나? 사회 계층간 학력자본의 격차와 양육관행" 한울아카데미 2011
29 유상석 ; 김영식, "부모의 사회적 지원 수준에 따른 6학년 여학생들의 신체활동에 대한 태도의 차이"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2 (12): 317-338, 2012
30 백욱현, "면접법" 교육과학사 2006
31 구병두, "메타분석을 통한 한국형 학업성취 관련변인의 탐색" 37 (37): 99-122, 1999
32 최성연 ; 민천식, "리코더 연주활동이 학교생활부적응 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초등교육연구소 37 (37): 1-17, 2021
33 박성호, "도농 간 중학생 학력격차 감소에 미치는 학교교육의 영향" 한국교육사회학회 22 (22): 77-108, 2012
34 김성숙 ; 송미영 ; 김준엽 ; 이현숙,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의 지역간 학력 차이에 따른 초·중·고 학교특성 분석" 한국교육평가학회 24 (24): 51-72, 2011
35 남미자 ; 배정현 ; 오수경, "교육열, 능력주의 그리고 교육 공정성 담론의 재고(再考): 드라마
36 김희삼, "교육경제적 측면에서 본 방과후학교" 1 (1): 107-126, 2014
37 고선미, "가창 연습 과정에 있어서 학생의 자기조절 도구로서의 구두행동규칙 고찰" 대구교육대학교 33 (33): 239-255, 2017
38 고영자 ; 김민정, "가정의 음악 환경과 부모의 음악 관심도, 유아의 노래 흥미도 및 노래 이해도의 관계" 한국음악교육학회 41 (41): 41-66, 2012
39 金喜福, "學父母 文化 연구 : 釜山地域 中産層의 敎育熱"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2
40 전은지, "“취미생활 즐기러 학원가요” 초중고 예체능 사교육 ‘재능계발’ 집중"
41 Howe, M. J. A., "Young musicians’ accounts of significant influences in their early lives, 1. The family and the musical background" 8 (8): 39-52, 1991
42 Cho, E., "What do mothers say? Korean mothers’ perceptions of children’s participation in extra-curricular musical activities" 17 (17): 162-178, 2015
43 Lareau, A., "Unequal childhood: Class, race and family lif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3
44 Jenkins, J. D.,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parents’ musical experience and the musical development of two and three-year old girls" University Microfilms International 1976
45 Desforges, C., "The impact of parental involvement, parental support and family education on pupil achievement and adjustment: A literature review"
46 Zdzinski, S., "The Underlying Structure of Parental Involvement–Home Environment in Music" 198 : 69-88, 2013
47 Singly(de), F., "Sociologie de la famille contemporaine" Nathan 1993
48 Crowther, R., "Sex-and age-related differences in the musical behavior, interests, and attitudes towards music of 232 secondary school students" 8 : 131-139, 1982
49 Dörnyei, Z., "Research methods in applied linguistics: Quantitative, qualitative, and mixed methodologies"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50 Youm, H. K., "Parents’ goals, knowledge, practices, and needs regarding music education for their children in South Korea" 61 (61): 280-302, 2013
51 Zdzinski, S. F., "Parental involvement, selected student attributes, and learning outcomes in instrumental music" 44 (44): 34-48, 1996
52 "Oxford English Dictionary"
53 Morse, J. M., "Nursing research: The application of qualitative approaches" Stanley Thornes 1995
54 Sloboda, J. A., "Musical beginnings: Origins and development of musical competence" Oxford University Press 171-190, 1996
55 Dell, C., "Musical Home Environment, Family Background, and Parenting Style on Success in School Music and in School" 40 : 71-89, 2014
56 Paille, P., "L’analyse qualitative en sciences humaines et sociales" Armand Colin 2003
57 Kvale, S., "Interviews: Learning the craft of qualitative research interviewing" Sage 2015
58 Freedson, P. S., "Familial aggregation in physical activity" 62 (62): 384-389, 1991
59 Baharudin, R., "Factors related to the quality of the home environment and children’s achievement" 19 (19): 375-403, 1998
60 Ghazali, G. M., "Factors influencing Malaysian children's motivation to learn music"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2006
61 Kim, J. S., "Education fever: Korean parents’ aspirations for their children’s schooling and future career" 25 (25): 207-224, 2016
62 Carolan, B. V., "Does Parenting Style Matter? Concerted Cultivation, Educational Expectations, and the Transmission of Educational Advantage" 58 (58): 168-186, 2015
63 Bourdieu, P., "Distinction: A social critique of the judgment of taste" Routledge 1984
64 Brand, M.,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home musical environmental scale for use at the early elementary level" 13 (13): 40-48, 1985
65 Irwin, S., "Concerted cultivation? Parenting values, education and class diversity" 45 (45): 480-495, 2011
66 Ilari, B., "Concerted cultivation and music learning : Global issues and local variations" 35 (35): 179-196, 2013
67 Reay, D., "Classwork: Mothers’ involvement in their children’s primary schooling" UCL Press 1998
68 Strauss, A.,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Sage 1990
69 교육부, "2021년 사교육비 조사 결과 주요 특징 및 대응 방안" 교육부 2022
70 이종각 ; 김기수, "'교육열' 개념의 비교와 재정의" 한국교육학회 41 (41): 191-214, 2003
저경력 초등교사들의 과학 학습 지도 상황은 어떠하고, 무엇을 어려워하는가?-과학 학습 지도를 위한 지원 방안 모색-
데이터기반교수의 적용 가능성 탐색: 의사결정 및 교수 변경 단계를 중심으로
아들러 심리학 기반 핵심역량 교육과정 재구성이 초등학생의 Crucial Cs와 사회적 관심에 미치는 영향
NTACT 질적 지표에 기반한경계선 지능 아동 중재 단일대상연구 분석
Parental Involvement
Teachers TV Teachers TV정신적 해방: 공교육 & 사회적 변화
Dartmouth Mari MatudaInvolving Parents: Making a Difference: Parental Involvement Worker
Teachers TV Teachers TV수면관련 영아급사 조사교육: 갑작스런 아기 사망 사례, 무엇을 어떻게 조사할까?
K-MOOC 인하대학교 안영미수면관련 영아급사 조사교육: 갑작스런 아기 사망 사례, 무엇을 어떻게 조사할까?
K-MOOC 인하대학교 안영미